KDS 설계기준 44 30 00 도로토공

1. 일반사항

1.1 목적

  • 도로의 특성에 맞는 토공 기준 적용
  • 지형, 토질, 지질, 기상 조건 등을 충분히 파악하여 설계 및 시공
  • 공사 중 또는 공사 후 발생 가능한 손상에 대한 대책 수립

1.2 적용 범위

  • 도로 건설을 위한 일반적인 토공 설계

1.3 참고 기준

  • KCS 61 10 15 현장조사
  • KDS 44 00 00 도로설계기준
  • KDS 44 10 00 도로설계 일반사항
  • KDS 11 10 10 지반조사
  • KDS 11 70 05 쌓기, 깍기
  • KDS 11 70 10 비탈면 보호공법
  • KDS 11 70 25 비탈면 배수시설

1.4 용어의 정의

  • 갓길(길어깨): 도로를 보호하고 비상시 및 유지관리 시 사용되는 도로의 부분
  • 흙쌓기부: 원지반부터 노상면까지 흙을 쌓아 올린 부분
  • 땅깎기부: 원지반부터 노상면까지 원지반의 흙을 굴착한 부분
  • 노체: 흙쌓기부에서 포장 및 노상 이외의 부분, 노상 및 포장층을 지지
  • 노상: 포장층 아래 1.0m 두께의 균일한 토층, 교통하중을 지지하고 노체 또는 원지반에 전달
  • 땅깎기부 노상: 원지반이 설계 노상지지력비(CBR) 이상인 경우 원지반 흙을 그대로 사용, 미만인 경우 치환 또는 안정처리
  • 포장층: 노면부터 노상 윗면까지, 교통하중을 지지하고 하중을 분산
  • 비탈면: 흙쌓기 및 땅깎기에 의해 형성되는 비탈면, 흙쌓기 및 땅깎기 비탈면이라고 함
  • 소단: 비탈면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한 수평 단
  • 층따기: 1:4 경사보다 급한 경사 지반 위 흙쌓기 시 원지반을 직각으로 일정 높이와 폭으로 깎는 것, 쌓기 재료와 원지반을 밀착시키고 지반 변형 및 활동 방지

1.5 기호의 정의

  • 내용 없음

2. 조사 및 계획

2.1 조사 및 계획 일반

2.1.1 개요

  • 기상, 지형, 토질, 지질, 환경, 재료, 하천, 문화재, 토지 이용, 관련 공공사업 등을 조사하여 설계에 반영
  • 현지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
  • 경제성과 시공성을 고려, 유지관리비 포함
  • 장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
  • 노면 부등침하, 비탈면 세굴 및 붕괴 방지, 유지관리 시설 설계
  • 산악지 도로의 경우 산악지 도로 설계 매뉴얼 참조

2.1.2 토공부의 표준구성

  • 도로 땅깎기 및 흙쌓기 부위의 명칭 및 표준구성: 그림 2.1-1 땅깎기 및 흙쌓기 부위의 명칭

2.2 조사

  • 지반정보 획득을 위한 지반조사 및 토질시험
  • 한국산업표준(KS)에 제시된 시험방법 적용, 명시되지 않은 시험은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방법 적용
  • 시험 장비 및 기구는 적합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교정 및 검증
  • 기술자는 시험의 목적과 과정을 숙지하고 자격을 갖춰야 함
  • 표준적인 방법에서 벗어난 사항 또는 특수여건 발생 시 발주처에 보고 및 승인
  • 조사 계획은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수립
  • 조사 위치는 현지 지질 및 지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지점 선정
  • 지반조사를 통해 현장 및 주변 지반, 지하수 상태 관련 자료 획득
  • 시료 채취, 운반, 보관은 국내 표준 우선 적용, 국내 표준 없는 경우 국제적인 공인 절차 적용
  • 품질관리 계획 수립, 조사 및 평가 단계에서 품질보증

2.3 계획

2.3.1 개요

  • 토공 계획은 노선 선정에 따라 크게 좌우됨
  • 지형, 지질, 기후 등 자연 조건과 도로, 철도, 하천, 문화재 등 사회적 조건 고려
  • 지형, 지질, 지장물 등은 현지답사를 통해 확인
  • 연약지반, 비탈면 붕괴 위험 지역, 대규모 땅깎기 구간, 경사지 흙쌓기 구간, 집단 촌락지역 및 특수 지역은 계획 단계에서 충분히 검토

2.3.2 노선 선정

  • 경제성, 비용/편익, 주행안전성, 환경 보전, 시공 및 유지관리 등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적 노선 선정
  • 지형, 지질, 흙쌓기 재료 조건, 토공 구조물 안정성, 환경, 문화재 등 지반 조건 및 사회적 조건 고려
  • 산사태 위험 지역, 눈사태 위험 지역, 지질 위험 지역, 대규모 땅깎기 비탈면, 경사 지반, 문화재 매장 지역, 폐광 지역 등은 주의하여 검토

2.3.3 토량 배분

  • 땅깎기와 흙쌓기 계획의 기본, 지형, 지질, 현지 상황, 경제성, 시공성 고려
  • 평면 및 종단 선형 계획은 토공량 최소화, 땅깎기와 흙쌓기량 균형, 구조물과의 연관성 고려
  • 땅깎기 및 흙쌓기 비탈면 경사는 활동 파괴에 대한 안정성 고려
  • 토량 배분은 노선 전체 및 구간별 균형 고려, 구간별 균형이 곤란할 경우 인접 구간과 조정 또는 공구 분할 검토
  • 공사 중 토량 균형을 고려, 토량 변화율을 점검하여 잔토 처리 또는 순수한 흙쌓기량 최소화
  • 땅깎기에서 발생하는 토공 재료는 품질 시험을 시행하여 흙쌓기 각 부위에 적합하게 배분
  • 토적도(mass curve) 작성 시 유의 사항:
    • 토량 계산은 토사, 리핑암, 발파암으로 구분하여 산출
    • 토량 변화율은 땅깎기 지반 특성과 흙쌓기 부위 별로 검토
    • 암석의 변화율은 주변 시공 실적 등을 참고하고 시험 시공으로 확인
    • 토량 배분은 운반 거리 최소화, 장비는 현지 조건 고려
    • 토적도는 종방향 토량 이동만 표시, 횡방향 이동은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

2.3.4 공사용 도로 계획

  • 공사 전체의 공정, 시공성, 경제성에 영향을 주므로 사용 목적, 지형, 주변 도로 상황, 경제성 등을 고려
  • 주변 지형 또는 토지 이용 계획 현황 고려
  • 재료, 장비의 반출입에 적합하도록 계획
  • 공사용 도로 선정은 현장 내 공사용 도로, 기존 도로, 신설 공사용 도로 순으로 검토
    • 현장 내 공사용 도로: 본선 또는 부체도로로 계획된 부분 우선 사용, 위치 및 계획 고는 땅깎기 및 흙쌓기 공정 고려
    • 기존 도로 이용: 충분한 조사 및 도로 관리자와 협의, 교통량, 차로수, 기하 구조, 폭, 노면, 연도 상황 등 조사, 필요 시 구조물 안전진단 실시
    • 신설 공사용 도로: 주변에 적합한 기존 도로가 없거나 사용 불가능 시 경제적인 노선 선택, 철거 시 원형 복구는 불가능하므로 존치 가능 형상 고려, 대규모 공사용 도로는 가교 등 임시 구조물 설치 검토
    • 현장 외 공사용 도로: 차로수는 일교통량 기준으로 결정, 1차로 도로의 경우 대피소 설치

2.3.5 토취장 계획

  • 토질, 채취 가능 토량, 방재 대책, 법적 규제, 운반로, 현지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후 선정
  • 지형, 토질 특성, 채취 가능량, 운반로, 방재, 문화재, 보상, 환경, 토지 이용 현황 및 법적 규제 등을 고려
  • 토량 배분 계획과 관련하여 토량 뿐만 아니라 노상재, 뒤채움재, 운반로 가설재, 교통성 확보 등 필요한 재료 획득 가능 장소 선정
  • 문화재 보호법 등의 법적 규제를 받는 곳은 관련 기관과 협의
  •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한 소유자와 협의, 사용 동의서 작성
  • 땅깎기에 의한 비탈면 발생 시 비탈면 경사 및 보호공 검토
  • 시공 시 토량 변화율 등에 따라 채취 가능 토량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토량 여유를 두고 설계
  • 배수는 현재의 배수 계통 및 주변 배수 상황 조사
  • 운반로는 운반 거리 뿐만 아니라 연도 상황, 교통량, 보도 등을 고려
  • 토취장 지역에 땅깎기 비탈면이 발생할 경우 비탈면 보호공 및 조경 계획 수립

2.3.6 사토장 계획

  • 사토 가능량, 방재 대책, 법적 규제, 운반로, 현지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후 계획
  • 잔토 및 불량토 사토 시 사토 가능량, 토사 유출 및 붕괴 방지 대책, 법적 규제, 흙 운반로, 토지 이용 계획, 용지 보상, 문화재, 환경 등을 고려
  • 사토장 선정 시 고려 사항:
    • 과업 구간 인근으로 선정, 토석정보공유시스템 이용
    • 법적 규제를 받는 장소는 관련 공공기관과 협의, 해제 절차 수립
    • 토사 유출 또는 붕괴 위험 방지를 위한 배수, 옹벽, 비탈면 보호 계획, 계획적인 매립, 배수 경사 확보
    • 흙 운반로는 운반 거리, 연도 상황, 교통량, 보도 등을 고려
    • 토량 변화율, 토질 및 암질 변화, 사토량 변화, 차량 소통을 위한 모래, 자갈 등의 토량을 고려

2.3.7 토공 준비

  • 준비 공: 땅깎기 및 흙쌓기 비탈면 정확한 마무리를 위한 규준틀 설치
  • 준비 배수: 시공 전 물 배제, 시공 중 배수 시설 설치
  • 수목 제거: 종류, 분포 정도, 뿌리 깊이 등 현장 상황 고려, 유해 물질 제거, 폐기물 처리 방법 제시
  • 구조물 및 지장물 제거: 시공성 및 관계법령 등을 고려하여 제거 여부 결정

3. 재료

3.1 재료 일반

3.1.1 흙과 암반의 분류

  • 현지 관찰, 조사, 시험을 통해 설계 자료 획득
  • 분류 용도:
    • 지질 및 토질 조사 결과 표시 (토질 주상도, 토성도 등 작성)
    • 노상 및 뒤채움재의 적부 판단 (안정처리 여부, 사토 판정)
    • 흙쌓기 또는 구조물 기초 지반 적부 판단
    • 시공 방법 및 건설 기계 선정
    • 땅깎기와 흙쌓기 토량 변화율 산정
    • 땅깎기 및 흙쌓기 비탈면 경사 계획
    • 비탈면 보호공, 옹벽, 기초공, 터널 등 계획

3.1.2 흙의 분류

  • 흙의 공학적 분류 방법: 통일 분류법 (KS F 2324), 보조적으로 AASHTO 분류법 사용

3.1.3 통일 분류법

  • 개요: 입도 시험, 액성 한계, 소성 한계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분류, 2개의 영문 대문자 조합으로 표시
  • 기호: 표 3.1-1 통일 분류법에서 사용되는 기호 참조
  • 흙의 분류: 표 3.1-2 통일 분류법에 의한 흙의 분류 참조
  • 그림 3.1-1 통일 분류법에 의한 흙의 분류 참조

3.1.4 AASHTO 분류법

  • 개요: 입도, 액성 한계, 소성 지수, 군지수(Group Index)에 따라 흙을 A-1에서 A-7군으로 분류
  • 군지수(GI): 식 3.1-1 참조

3.1.5 흙쌓기 재료 사용성

  • 아터버그 한계, 입도 시험, 다짐 시험, CBR 시험 등을 통해 사용성 평가
  • 통일 분류법 및 AASHTO 분류법으로 토질별 CBR 및 노상 반력 계수(K치) 추정
  • 그림 3.1-2 흙의 종류별 노상토 지지력 특성 참조

3.1.6 암반의 분류

  • 토공 작업 기준으로 토사, 리핑암, 발파암으로 구분
  • 풍화 잔류토는 토사, 풍화암은 리핑암, 연/경암은 발파암으로 규정
  • 표준 관입 시험, 암석의 풍화 정도, 코어 회수율, 암질 지수, 탄성파 속도, 암 시편 강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구분
  • 풍화 잔류토와 풍화암 층은 표준 관입 시험치(N치)와 탄성파 속도(P파) 기준으로 구분
  • 풍화암과 연암은 코어 회수율, 암질 지수, 탄성파 속도, 일축 압축 강도 등 기준으로 구분
  • 별도 시험, 검토 없이 문헌에 제시된 굴착 난이도 기준으로 분류
  • 표준 관입 시험치, 불연속면 발달 빈도, 탄성파 속도 등은 종합적으로 검토

3.2 재료 특성

3.2.1 흙쌓기 재료

  • 일반 사항:
    • 흙쌓기에 사용되는 재료는 도로 공사 재료 중 가장 많은 양이 취급되므로 경제적인 설계
    • 초목, 그루터기, 덤불, 뿌리 등 유기물 및 쓰레기 제거
    • 사용 재료의 특성은 지역에 따라 상이하며, 토공 구조물의 안정성과 지지력에 영향
    • 안정성은 지반 조사 결과로부터 정량적으로 판단, 과거 실적 및 경험 비교
  • 노체:
    • 토사를 이용하는 경우 재료 규정에 적합한 재료 사용: 최대 치수, 다짐도, 다짐 후 건조 밀도, 시공 함수비, 수정 CBR
    • 토사 또는 암버력 이외의 재료는 안정적인 노체를 형성할 수 있다면 적용 가능, 품질은 안정성, 환경 안전성, 기능 수행 적합성, 시공성 고려
  • 노상:
    • 흙쌓기 최상부 1m, 포장과 함께 교통하중 지지, 재료 규정에 적합한 재료 우선 사용: 최대 치수, 4.75mm 체 통과량, 75μm 체 통과량, 소성 지수, 다짐도, 시공 함수비, 수정 CBR
    • 원지반을 땅깎아 노상을 형성하는 경우 원지반 재료가 노상재료 기준에 적합하면 활용 가능, 부적합할 경우 CBR 기준으로 치환
  • 암성토:
    • 암버력 사용 시 최대 치수는 600mm 이하, 시험 시공으로 조절 가능
    • 노체 완성면 600mm 하부에만 허용, 최대 치수는 600mm 초과 불가
    • 노체 상부 600mm에는 필터층 또는 소일 시멘트 중간층 설치
    • 암버력 쌓기는 대소 입경이 고르게 섞이도록 하여 큰 입경의 암편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시공
    • 1층 마무리 두께가 600mm인 경우 진동 다짐 장비 사용

3.2.2 구조물 뒤채움 재료

  • 보조 기층 재료 SB-1의 품질 기준에 적합한 것을 기준, 현지 재료 활용 및 경제성 고려
  • 재료 품질 기준: 최대 치수, 4.75mm 체 통과량, 75μm 체 통과량, 소성 지수, 시방 다짐을 실시한 흙의 수정 CBR

4. 설계

4.1 개요

  • 도로의 토공 부분은 차량 통행을 위한 공간을 안전하게 보호, 유지, 포장을 매개로 전달되는 교통하중 지지
  • 땅깎기, 흙쌓기, 암발파, 비탈면 보호, 연약지반 상의 흙쌓기, 구조물 뒤채움, 동상 방지 대책 등 포함
  • 자연의 기상 조건 하에서 시공, 계절적 특성과 강우, 침투 등에 대한 대책 수립
  • 땅깎기 및 흙쌓기 비탈면의 경사는 지표 지질 조사, 지반 조사 및 실내/현장 시험 성과를 이용하여 안정 해석
  • 경사의 안정성 검토는 안정 계산 뿐만 아니라 인접 시설의 비탈면 설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 토공 설계에 사용되는 지반 정수는 실내 및 현장 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 실험 불가능하거나 개략적인 검토 시 문헌 또는 인근 현장 설계 및 시공 자료 참고
  • 토공 설계는 개략 설계, 예비 설계, 상세 설계 단계로 구분

4.2 땅깎기

4.2.1 비탈면 경사

  • KDS 11 70 05를 따르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비탈면 안정 대책 검토:

    • 두꺼운 붕적층 또는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불안정한 구간
    • 붕괴 이력이 있고 붕괴 발생 가능성이 있는 구간
    • 지하수위가 높고 용출수가 많은 구간
    • 갈라진 틈이 있고 지반의 활동 가능성이 있는 구간
    • 액상화 발생이 예측되는 지반
    • 비탈면 부근에 기존 구조물이 위치하는 구간
    • 기타 불안정 요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구간
  • 땅깎기 비탈면의 불안정 요인이 없고 소규모 일 때는 표준 경사 적용 가능:

    • 토사층인 경우 표 4.2-1 참조
    • 리핑암 이상 암반 비탈면은 평사투영 해석, 파괴 형태에 대한 안정 해석, 풍화 상태, 코아 회수율, 암질 지수 등을 고려하여 경사 결정, 표 4.2-2 참조
    • 토사층과 암반층이 섞여 있거나 암반층이 간헐적으로 나타날 경우 토사층 경사에 따름

4.2.2 소단

  • 땅깎기 높이가 높은 비탈면에 설치,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 및 보수용 통로, 침식 방지를 위한 배수 시설 설치 공간 확보
  • 높이 5.0m 마다 폭 1.0m로 설치, 높이, 지반 종류, 암질 상태, 침식 작용에 대한 안전성, 배수 시설 등을 고려하여 조정 가능
  • 상호 연결성을 고려하여 설치
  • 배수 시설을 설치하는 소단은 배수 계획에 의하여 경사 유지
  • 투수층과 불투수층 경계에는 종방향으로 일정한 높이에 소단 설치, 횡단 기울기 4.0%
  • 땅깎기 비탈면 높이가 10m 이상인 비탈면에서는 5~20m 높이마다 폭 1~3m의 소단 설치

4.2.3 비탈면 모따기

  • 땅깎기 비탈면 상단이나 양단부는 불안정하여 식생의 정착이 어렵고 침식 받기 쉬우므로 모따기
  • 상단 모따기는 원지반과 비탈면 경계면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접선장 1.0m 범위, 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
  • 양단부 모따기는 지형, 지반 상태, 미관 등 고려

4.2.4 표면수 및 용출수 처리

  • 지하수위는 비탈면 안정에 영향, 표면수 및 용출수는 세굴 및 붕괴 원인
  • 비탈면 상부에서 표면수 유입이 예상되는 구간은 산마루 측구 등 설치
  • 용출수가 예상되는 부위에는 맹암거, 유공관 등에 의한 처리 또는 수평 천공에 의한 배수공 설계
  • 세굴 또는 붕괴 우려가 있는 경우 비탈 어깨나 소단에 배수로 설치, 배수로 경사와 규모 결정
  • 용출수 처리 방법은 지반 종류, 예상 수량 등 고려, 충적층과 붕적층은 표면 처리 공법, 풍화토 및 암반에는 수평 배수공
  • 수평 배수공은 수평 하향으로 약 5°의 경사 유지
  • 기타 상세 배수 시설은 KDS 11 70 05 따름

4.2.5 비탈면 안정 분석

  • 땅깎기 비탈면은 지형, 지질, 지층 분포 상태 등을 고려한 대표 단면을 선정하여 안정성 분석, 소규모 비탈면은 생략 가능
  • 지층별 지반 정수 산정 근거와 적용된 값 명기
  • 안정성 분석에 적용되는 최소 안전율은 비탈면 깍기/쌓기 설계 기준 따름
  • 지하수위는 지층 분포 상태, 지층별 투수성, 원지반 지하수위, 강우 강도 및 지속 시간 등 고려
  • 비가 많이 오는 시기의 지하수위 조건은 지표면과 일치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 투수 계수가 낮고 풍화대 두께가 두꺼울 경우 습윤대 두께를 검토하여 안정 검토
  • 토사 비탈면 안정 분석은 한계 평형 해석 또는 수치 해석, 암반은 평사투영 해석, 한계 평형 해석, 수치 해석 이용
  • 풍화가 빠른 암석, 균열이 많은 암석, 지질 구조선이 있는 암반 비탈면은 붕괴 요인 있으므로 반드시 안정성 검토
  • 높이가 20.0m 이상 대규모 땅깎기는 지반 조사 및 시험을 통해 지반 상태 확인, 지층 변화 및 암반 불연속성 등을 조사하여 안정성 확인

4.2.6 비탈면 안정 대책

  • 땅깎기 비탈면 안정 분석 결과, 불안정한 구간에 대해서는 비탈면 경사 완화, 보강 공법 등 대책 검토
  • 비탈면 안정 대책 공법은 경사 완화 공법, 지반 보강 공법, 구조물 설치 공법으로 구분, 지형, 지질 조건 적합 여부, 경제성, 시공성, 자연 환경 훼손 정도 등 고려
  • 대책 공법 종류가 결정되면 설계에 대한 안정 검토 수행
  • 시공 중 지반 조건이 설계와 다른 경우 변화된 상황을 고려하여 비탈면 경사 재검토
  • 지하수위는 비탈면 안정에 큰 영향, 배수 공에 대한 고려 필요

4.2.7 낙석 대책

  • 땅깎기 비탈면 또는 자연 비탈면에서 낙석 위험이 있는 부위에는 낙석 대책 공법 적용
  • 도로 구조, 비탈면 경사, 낙석 발생 예상 부위 높이, 비탈면 보호 공법 등 고려하여 결정
  • 낙석 대책 공법은 낙석 방지 공법과 낙석 방호 공법으로 구분, 지형, 지질, 기능, 내구성, 시공성, 유지관리 편의성 등 고려,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병용 가능
  • 낙석 예방 공법은 부석이나 전석이 낙하하지 않도록 처리, 지반 상태, 뜬돌 또는 전석 크기 등 고려

4.2.8 비탈 마무리 면 발파

  • 땅깎기 비탈면 발파는 완성된 비탈면의 이완 및 여굴을 최소화, 천공 깊이, 간격, 방향, 장약량 등 결정
  • 암반 손상에 의한 강도 저하 방지, 여굴이 적고 평탄한 비탈면 형성, 비탈면 높이, 불연속면 특성 등을 고려하여 기계 굴착 또는 조절 발파 공법 적용

4.2.9 암깎기

  • 암석 강도 및 성질에 따라 민원 발생, 기계 굴착, 폭약에 의한 발파 공법 등을 비교, 경제성, 시공성, 환경성 고려하여 적정 공법 결정
  • 주택, 건물 및 타 시설물과 인접하여 발파하는 경우는 4.4에 의거하여 발파 설계

4.2.10 토공 유용

  • 땅깎기에서 발생하는 재료는 토질 시험을 통해 사용 가능성 여부 판단, 최대한 활용
  • 사토 및 잔토는 적절히 처리, 사토 작업 완료된 구간의 비탈면 기울기는 1:2보다 완만
  • 사토장은 강우에 의한 토사 유출과 붕괴 방지를 위한 비탈면 및 기존 수로에 대한 방호 대책, 환경 영향을 고려한 방재 대책 검토

4.2.11 비탈면 계측

  • 계측 항목은 계측 목적, 비탈면 형상, 붕괴 형태, 현지 조건 등을 고려
  • 계측 항목: 지표면 거동, 지중 변동, 수문 상황, 구조물 거동, 필요한 곳에 배치
  • 계측 전에 관리 체제 및 관리 기준 수립

4.3 흙쌓기

4.3.1 개요

  • 반복 재하되는 교통하중 지지, 교통 하중과 흙쌓기 하중에 의한 변형 및 침하 방지
  • 강우 침투 또는 지진 등에 대한 안정성 확보
  • 강도가 작고 물의 영향을 받기 쉬운 토사 또는 암반 등으로 시공, 침하 및 붕괴 가능성을 고려하여 내구성 확보
  • 적절한 흙쌓기 재료 선택, 관리, 정밀한 시공 및 품질 관리를 통해 설계 하중에 저항
  • 노상은 충분한 지지력, 적은 변형량, 표면수 침투에 의한 팽윤 및 동상에 대한 내구성 확보

4.3.2 다짐

  • 일반 사항:
    • 하중, 다짐 횟수, 함수비, 재료 특성 등에 따라 다짐 깊이와 효과가 달라짐
    • 균일하고 효율적인 다짐을 위해 그레이더 등으로 땅고르기, 함수비를 조절한 후 적정한 장비 조합으로 다짐
    • 차도부 뿐만 아니라 갓길 및 흙쌓기 비탈면도 기준 다짐도 이상으로 다짐
  • 노체:
    • 1층 다짐 완료 두께는 0.3m 이하, 최대 건조 밀도의 90% 이상 밀도로 균일하게 다짐
    • 밀도에 의한 다짐 관리가 부적합할 경우 KS F 2310을 통해 다짐 관리
  • 노상:
    • 1층 다짐 완료 후 두께는 0.2m 이하, 최대 건조 밀도의 95% 이상 밀도로 균일하게 다짐
    • 노상 다짐 규정은 최소 관리 규정, 모든 부위가 소정의 다짐도를 만족, 균일한 지지력과 강성을 갖도록 시공
  • 암성토:
    • 암버력을 사용한 흙쌓기는 얇은 층으로 세밀히 시공하는 것이 안정적
    • 암버력 재료는 시험 시공을 통해 다짐 횟수, 다짐 두께 및 다짐 장비 결정
    • 1층 다짐 완료 두께는 0.6m 이하

4.3.3 기타 검토 사항

  • 기초 지반:
    • 흙쌓기 기초 지반은 비탈면 안정, 제체 침하, 토공 시공성 등에 영향, 조사 결과 검토하여 대책 수립
    • 연약한 구간은 골파기를 하고 투수성 재료를 채워 배수, 함수비 저하 후 흙쌓기
    • 높이가 낮은 구간에서 용출수 발생 시 지하 배수공 설치
    • 흙쌓기가 1.0m 이하로 원지반이 노상에 해당하는 구간 중 원지반이 노상 기준에 부적합하거나 표면수 침투로 연약해질 가능성이 있는 부위는 양질의 재료로 치환 또는 고결 처리
  • 배수:
    • 흙쌓기 비탈면에서 지하수위 상승은 비탈면 안정에 영향, 침투수 및 용출수 발생 시 배수 시설 설치
    • 한쪽 쌓기, 한쪽 깎기에서 경계부는 용출수가 집중되기 쉬우므로 지하 배수공 설치
    • 한쪽 쌓기, 한쪽 깎기 경계부에서 높이가 높고 용출수가 많은 구간은 배수용 필터층 설치
    • 경사 지반 상의 흙쌓기 구간 중 도로 횡단 배수 암거 및 주변 지반은 침투수에 의한 세굴 우려, 침투 저감 대책 설계
  • 비탈면 경사 및 소단:
    • 흙쌓기 비탈면 경사는 지형, 지반 조건, 흙쌓기 재료, 기초 지반 경사 등을 고려하여 구간별 안정 분석을 통해 결정, 소규모이고 양질 재료를 사용할 경우 표준 경사 적용 가능
    • 표 4.3-1 흙쌓기 비탈면의 표준 경사 참조, 높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는 별도 안정 해석
    • 높이가 5m 이상인 비탈면에는 5~10m 높이마다 폭 1~3m의 소단 설치
  • 경사 지반의 흙쌓기:
    • 1:4 보다 급한 경사 지반에 흙쌓기 하는 경우 기초 지반에 층따기
    • 표 4.3-2 기초 지반 종류에 따른 층따기의 표준 치수 참조
    • 층따기 면은 배수를 위해 3~5% 경사도 유지, 용출수가 있는 경우 배수층 설치
    • 한쪽 깎기, 한쪽 쌓기 주변은 부등 침하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땅깎기 끝부분은 노상 저면까지 깎고 1:4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