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설계기준 241222 교량 설계하중(케이블교량)

1. 일반사항

1.1 목적

(1) 이 기준은 도로 케이블교량에 대한 한계상태설계법에서의 하중의 종류와 기호, 재하 방법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1.2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케이블교량의 설계에 사용되는 하중들에 대한 최소한의 요구조건, 적용한계, 하중계수 및 하중조합에 대해 규정한다. 또한 이 규정은 기존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규정들은 하중에 대한 최소 요구조건이므로, 필요한 경우 발주자의 판단에 따라 이 기준 이상의 하중을 사용할 수 있다.

1.3 참고 기준

  • KDS 17 00 00 내진설계 일반
  • KDS 24 10 12 교량설계 일반사항(케이블교량)
  • KDS 24 12 11 교량 설계하중조합(한계상태설계법)
  • KDS 24 12 12 교량 설계하중조합(케이블교량)
  • KDS 24 12 21 교량 설계하중(한계상태설계법)
  • KDS 24 14 21 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 KDS 24 14 42 교량 케이블구조 설계기준(케이블교량)
  • KDS 24 17 12 교량내진 설계기준(케이블교량)
  • KDS 24 18 12 교량 내풍 설계기준(케이블교량)

1.4 용어의 정의

  • 계획차로: 발주자에 의해 정해진 교량완공 시 계획된 통행차로
  • 교량구성부재: 케이블교량 및 접속교량의 모든 구성부재를 통칭한다. 주탑, 교각, 기초 및 상부구조와 케이블을 포함한다.
  • 바퀴: 축의 끝에 하나 또는 두 개의 타이어
  • 상부구조: 구조물 하부 및 기초를 제외한 부분. 케이블교량의 주탑은 상부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 선박충돌하중: 선박의 충돌에 의해 교량구성부재에 작용하는 하중
  • 설계충돌속도: 설계충돌하중을 산정하기 위한 선박의 충돌속도
  • 설계충돌하중: 교량구성부재의 설계를 위해 교량에 작용시키는 선박충돌사건에 대한 설계하중으로서, 하중조합에 의한 한계상태 및 요구성능수준 검토에 사용한다.
  • 연간초과확률: 선박충돌하중이 설계충돌하중을 1년 동안에 초과할 확률. 선박충돌하중의 연간확률분포로부터 계산한다.
  • 연간파괴빈도(AF): 교량이 1년 동안 붕괴될 빈도 또는 확률 값. 교량의 연간파괴빈도는 교량구성부재의 연간파괴빈도를 모두 더하여 산정한다.
  • 요구성능수준: 선박충돌 시 교량이 만족해야 할 성능수준
  • 최소 설계충돌하중: 설계충돌하중의 최소 요구 값

1.5 기호의 정의

(기호 정의는 너무 많아서 Markdown 형식으로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텍스트 기반으로 정의를 나타내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2. 조사 및 계획

(1) 내용 없음

3. 재료

(1) 내용 없음

4. 설계

4.1 하중의 종류와 기호

(1) 지속하중 * 고정하중 * 구조부재와 비구조적 부착물의 중량(DC) * 포장과 설비의 고정하중(DW) * 말뚝부 마찰력(DD) * 토압(수평토압 EH, 수직토압 EV, 상재토하중 ES) * 시공 중 발생하는 구속응력(EL) * 프리스트레스(PS) * 콘크리트 크리프 영향(CR) * 콘크리트 건조수축의 영향(SH)

(2) 변동하중 * 활하중 * 차량활하중 (LL) * 보도하중 (PL) * 상재활하중 (LS) * 충격(IM) * 풍하중 *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WS) * 차량에 작용하는 풍하중(WL) * 파압(WP) * 온도변화의 영향(단면 평균온도 TU, 온도차 TG) * 지반변동 및 지점이동의 영향(GD, SD) * 정수압과 유수압, 부력(WA) * 케이블 교체(PS1) * 가설 시 하중(ER) * 마찰력(FR) * 기타

(3) 극단하중 * 지진의 영향(EQ) * 충돌하중 * 차량충돌 (CT) * 선박충돌 (CV) * 설하중 및 빙하중 (IC) * 케이블 파단(PS2)

4.2 고정하중 : DC, DW

(1) 고정하중은 구조물의 자중, 부속물과 그곳에 부착된 제반설비, 토피, 포장, 장래의 덧씌우기와 계획된 확폭 등에 의한 모든 예측 가능한 중량을 포함한다. 고정하중을 산출할 때는 표 4.2-1에 나타낸 단위체적중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실중량이 명백한 것은 그 값을 사용한다.

| 재료 | 단위체적중량 (kN/m3) | |—|—| | 강재, 주강, 단강 | 77.0 | | 주철, 주물강재 | 77.0 | | 알루미늄 합금 | 27.5 | | 철근콘크리트 | 24.5 |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24.5 | | 콘크리트 | 23.0 | | 시멘트 모르타르 | 21.0 | | 역청재(방수용) | 11.0 | | 아스팔트 포장재 | 22.6 | | 목재 | 단단한 것 9.4, 무른 것 7.8 | | 용수 | 담수 9.8, 해수 10.2 |

4.3 활하중 : LL, PL

4.3.1 차량활하중(LL)

4.3.1.1 재하차로의 수 및 폭

(1) 차량활하중의 재하를 위한 재하차로의 수 (n)은 식 (4.3-1)과 같다. n = [B / (b + 1.5)] 의 정수부 (4.3-1)

여기서, * B = 연석, 방호울타리(중앙분리대 포함)간의 교폭(m) * b = 발주자에 의해 정해진 계획차로의 폭(m)

다만, 식 (4.3-1)에 의한 n이 1이며 B가 6.0m 이상인 경우에는 재하차로의 수(n)를 2로 한다.

(2) 재하차로의 폭 (b)는 식 (4.3-2)에 따른다. b = B / n (4.3-2)

(3) 교량 바닥판상의 차도가 중앙분리대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에는 다음을 따른다. * 두 부분이 영구적인 시설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두 부분의 폭을 각각 고려하여 재하차로의 수와 폭을 정하여야 한다. * 두 부분이 임시적인 시설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체 차도의 폭을 고려하여 재하차로의 수와 폭을 정하여야 한다.

4.3.1.2 다차로 동시재하

(1)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활하중의 최대 영향은 표 4.3-1의 다차로 재하계수를 곱한 재하차로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이 기준 4.3.2에 규정된 보도하중과 1차로 이상의 차량하중을 포함하는 하중조건의 경우에 보도하중을 하나의 재하차로로 취할 수 있다. (2) 가로보에 대한 하중의 다차로재하계수는 주트러스나 주거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하는데, 가로보에 최대 응력을 일으키게 하는 하중이 놓이는 차로폭을 써서 그 다차로재하계수를 정하여야 한다. (3) 이 조항은 재하차로수에 관계없이 한 대의 피로설계트럭하중이 재하되는 피로설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재하차로의 수 | 다차로재하계수‘m’ | |—|—| | 1 | 1.0 | | 2 | 0.9 | | 3 | 0.8 | | 4 | 0.7 | | 5 이상 | 0.65 |

4.3.1.3 설계 차량활하중

(1) 일반사항 * 교량이나 이에 부수하는 일반 구조물의 노면에 작용하는 차량활하중(‘KL-510’으로 명명함.)은 (2)에 규정한 표준트럭하중과 (3)에 규정된 표준차로하중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계 시에 이 기준 4.3.1.4의 규정을 제외하고는 각 표준트럭하중과 표준차로하중은 원칙적으로 재하차로 내에서 횡방향으로 3,000mm의 폭을 점유하는 것으로 한다.

(2) 표준트럭하중 * 표준트럭의 중량과 축간거리는 그림 4.3-1과 같다. 충격하중에 따른 할증은 표준트럭하중에만 적용한다.

(3) 표준차로하중 * 표준차로하중은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다음의 표준차로하중 모형 1 또는 모형 2를 사용한다. * 표준차로하중 모형 1 * 종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된 하중으로 표 4.3-2의 값을 적용한다. 횡방향으로는 3,000mm의 폭으로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 표준차로하중 모형 2 * 종방향으로 균등하게 분포된 하중으로 표 4.3-3의 값을 적용한다. 횡방향으로는 3,000mm의 폭으로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4) 교량에 궤도차량하중이 있다면 발주자가 궤도차량하중의 특성과 궤도차량과 일반차량간의 예상되는 상호관계를 규정해야한다.

4.3.1.4 부재 설계를 위한 하중재하

(1) 바닥판과 바닥틀을 설계하는 경우의 활하중 * 바닥판과 바닥틀을 설계하는 경우에 차도부분에는 표준트럭하중을 재하한다. 표준트럭하중은 종방향으로는 차로 당 1대를 원칙으로 하고, 횡방향으로는 재하 가능한 대수를 재하하되 동시재하계수를 고려하여 설계부재에 최대 응력이 일어나도록 재하한다. 교축 직각방향으로 볼 때, 표준트럭하중의 최외측 차바퀴 중심의 재하위치는 차도부분의 단부로부터 300mm로 한다. * 차바퀴의 접지면은 표준트럭하중의 각 차바퀴에 대해 면적이 (P / 0.007) (mm2)인 하나의 직사각형으로 간주하며 이 직사각형의 폭과 길이의 비는 2.5:1로 한다. 여기서, P는 차바퀴의 중량(kN)이다. 접지면이 연속적인 표면인 경우에 접지압은 규정된 접지면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접지면이 단속적인 경우에는 접지압은 바퀴자국이 있는 실제 접촉면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규정된 접지면과 실제 접지면의 비만큼 압력을 증가시킨다.

(2) 거더, 주탑, 케이블, 행어를 설계하는 경우의 활하중 * 만약 특별한 규정이 없다면 거더, 주탑, 주케이블 및 행어의 설계 활하중은 아래의 하중 중에서 설계부재단면에 가장 큰 응답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한다. * 이 기준 4.3.1.3(2)에 정의된 표준트럭하중의 영향 * 이 기준 4.3.1.3(2)에 정의된 표준트럭하중 영향의 75%와 이 기준 4.3.1.3(3)에 정의된 표준차로하중의영향의 합 * 최대 하중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차바퀴는 무시해도 된다. * 설계차로와 각 차로에 재하되는 3,000mm의 폭은 최대 하중효과를 갖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 표준트럭하중 최외측 차바퀴중심의 횡방향 재하위치는 차도부분의 단부로부터 600mm로 한다.

4.3.1.5 처짐평가를 위한 하중재하

(1) 만약 발주자가 규정된 활하중에 대한 처짐의 허용기준을 요구하는 경우, 처짐은 아래의 값 중 큰 값으로 한다. * 표준트럭하중만으로 얻은 처짐 * 표준차로하중과 조합된 표준트럭하중의 25%에 의해 얻은 처짐

4.3.2 보도하중(PL)

(1) 자전거길을 포함한 보도 등에는 표 4.3-4의 등분포하중을 재하한다.

| 지간길이(m) | 하중(MPa) | |—|—| | L ≤ 10 | 4.0 | | 10 < L ≤ 20 | 3.5 | | 20 < L ≤ 30 | 3.0 | | 30 < L ≤ 40 | 2.5 | | 40 < L ≤ 50 | 2.0 | | 50 < L | 1.5 |

  • L: 거더 등의 지간(m). 다만, 중앙지간길이가 200m 이상인 교량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중앙 지간길이를 취한다.

(2) 자전거길을 포함한 전체 보도의 폭이 2.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2.0m를 초과하는 부분에 표 4.3-4의 값의 85%, 3.0m를 초과하는 부분에는 표 4.3-4의 값의 70%를 적용한다. 구조해석 시에는 전체폭에 대한 평균 등분포하중값을 계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

4.3.3 피로의 영향을 검토하는 경우의 활하중

(1) 피로의 영향을 검토하는 경우에 이 기준의 4.3.1.3(2)에서 규정된 표준트럭하중의 80%인 피로설계트럭하중을 적용한다. 이 때 적용하는 충격계수는 이 기준 4.4의 충격하중 조항을 참조한다.

4.3.3.1 빈도

(1) 피로하중의 빈도는 단일차로 일평균트럭교통량 (N)을 사용한다. 이 빈도는 교량의 모든 부재에 적용하며 통행차량수가 적은 차로에도 적용한다. 단일차로의 일평균트럭교통량에 대한 확실한 정보가 없을 때는 아래의 차로 당 통행비율을 적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N = (T / n) × f (4.3-3)

여기서, * T = 한 방향 일일트럭교통량의 설계수명기간 동안 평균값 * n = 한 방향 한 차로의 일일트럭교통량의 설계수명기간 동안 평균값 * f = 한 차로에서의 트럭교통량 비율(표 4.3-5)

| 트럭이 통행가능한 차로수 | 한 차로에서의 트럭교통량 비율, f | |—|—| | 1차로 | 1.00 | | 2차로 | 0.85 | | 3차로 이상 | 0.80 |

4.4 충격하중 : IM

(1) 케이블교량의 설계에서 충격하중은 표준트럭하중 또는 표준트럭하중의 축중을 고려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이 때 충격하중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4.4-1과 같다.

| 성 분 | 충격하중계수 | |—|—| | 바닥판 신축이음장치를 제외한 모든 다른 부재 | 피로한계상태를 제외한 모든 한계상태 25%, 피로한계상태 15% |

(2) 하부 구조 및 현수교의 주케이블과 보강거더에는 충격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4.5 프리스트레스힘 : PS

(1) 프리스트레스힘과 관련된 사항은 KDS 24 12 21(4.5) 를 따른다.

4.6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CR, SH

(1) 콘크리트의 크리프 *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관련된 사항은 KDS 24 12 21(4.6) 을 따른다. (2)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관련된 사항은 KDS 24 12 21(4.7) 을 따른다.

4.7 토압 : EH, EV, ES, DD

(1) 토압과 관련된 사항은 KDS 24 12 21(4.8) 을 따른다

4.8 정수압, 유수압, 부력 : WA

(1) 정수압과 유수압 및 부력과 관련된 사항은 KDS 24 12 21(4.9)를 따른다.

4.9 파압 : WP

4.9.1 일반

(1) 해상교량의 파일기초 및 교각에 작용하는 파압은 파일기초의 파일캡과 교각에 작용하는 하중과 파일기초의 지지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구분하여 산정한다.

4.9.2 설계파고

(1) 중복파와 쇄파는 다음 식을 사용하여 구분한다.

  • 중복파 : H / d ≤ 0.8 (4.9-1)
  • 쇄파 : H / d > 0.8 (4.9-2)

여기서, * H = 구조물의 전면수심 * d = 유의파고

중복파와 쇄파 조건에서 설계파고인 최대파고는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중복파 : Hmax = 1.3 × d (4.9-3)
  • 쇄파 : Hmax = 1.1 × d (4.9-4)

여기서 * d = 개별파의 상위 1/3을 평균한 값으로 정의되는 유의파고(구조물의 목표성능에 따른 재현기간별 유의파고) * T = 유의파고 계산에 사용된 개별파의 주기를 평균하여 구한 유의주기 * Hmax = 개별파의 상위 1/250을 평균한 값으로 정의되는 최대파고 * Hs = 구조물의 위치에서 유의파고 (d) 와 천수계수 (k) 로 표현되는 환산심해파고, (심해파장), 바닥경사(s), 파수(H)

4.9.3 기초 및 상부교각의 파력

4.9.3.1 파압산정식

(1) 파압의 작용높이 (h) 와 기초 및 상부교각에 작용하는 파압 (P1, P2, P3, P4, P5) 그리고 (w1, w2, w3, w4, w5)는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h = d × sinθ (4.9-5)
  • P1 = 1/2 × ρ × g × h2 (4.9-6)
  • P2 = 1/2 × ρ × g × (h – d)2 (4.9-7)
  • P3 = P1 – P2 (4.9-8)
  • P4 = 1/2 × ρ × g × d2 (4.9-9)

여기서, * θ = 파향이 구조물의 법선과 이루는 각(angle)

4.9.4 파일기초의 지지파일에 작용하는 파력

4.9.4.1 Morison 파력산정

(1) Morison의 파력산정식은 단위 길이 당 항력(drag force, FD)과 관성력(inertia force, FI)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F = FD + FI (4.9-10)

여기서, * ρ = 물의 밀도 * CD = 항력계수 (원형파일인 경우 : 1.0) * CM = 관성계수 (원형파일인 경우 : 2.0) * A = 흐름방향으로 구조물이 투영된 단위 길이 당 면적(원형파일인 경우 : 파일직경) * V = 직각방향으로 구조물의 단위 길이 당 체적(원형파일인 경우 : π/4 × D2) * u = 물입자의 속도 * a = 물입자의 가속도

파랑이 파일기초의 지지파일에 작용할 때 수면 높이에 따른 파력분포는 다음의 그림 4.9-2와 같다. 식 (4.9-10)을 바닥부터 파랑 자유수면 까지 적분하면 식 (4.9-11)과 같이 파일 전체에 작용하는 파력이 산정된다.

  • F = ∫ FD + FI dh (4.9-11)
4.9.4.2 Airy파 이론에 기초한 파력산정식

(1) 항력(Drag force) * 단위 길이 당 항력은 다음 식과 같다. * FD = 1/2 × ρ × CD × A × u2 (4.9-12) * 위 식을 바닥(d)에서 까지 적분하면 구조물 전체에 작용하는 항력은 다음과 같다. * FD = ∫ (1/2 × ρ × CD × A × u2) dh = (4.9-13)

(2) 관성력(Inertia force) * 단위 길이 당 관성력은 다음 식과 같다. * FI = ρ × CM × V × a (4.9-14) * 위 식을 바닥(d)에서 까지 적분하면 구조물 전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은 다음 식과 같다. * FI = ∫ (ρ × CM × V × a) dh = (4.9-15)

(3) 전체파력 * 항력과 관성력은 90°의 위상차를 갖기 때문에 구조물에 작용하는 최대파력은 두 힘의 합력이 최대가 되는 시점에 발생한다.

4.9.4.3 Airy파 이론에 기초한 모멘트산정식

(1) 항력과 관성력의 합력에 대한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M = MD + MI (4.9-16)

  • 항력과 관성력에 의한 각각의 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 MD = ∫ FD × (h – d) dh (4.9-17)
  • MI = ∫ FI × (h – d) dh (4.9-18)

  • 여기서,

  • MD = (4.9-19)
  • MI = (4.9-20)

4.10 풍하중 : WS, WL

(1) 풍하중과 관련된 사항은 KDS 24 18 12를 따른다.

4.11 온도변화의 영향 : TU, TG

4.11.1 평균온도(TU)

4.11.1.1 전체구조계의 평균 온도차

(1) 특별히 조사 검토한 경우에는 온도변화의 범위를 실제의 상황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온도에 관한 정확한 자료가 없을 때, 온도의 범위는 표 4.11-1에 나타낸 값을 사용한다. (2) 온도에 의한 변형 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설계 시 기준으로 택했던 온도와 최저 혹은 최고온도와의 차이 값이 사용되어야 한다. (3) 가설 시 온도는 가설 직전 24시간 평균값을 사용하여야 하나, 특별히 규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20℃를 기준온도로 간주할 수 있다.

| 기후 | 강교(강바닥) | 합성부재(강거더와 콘크리트바닥판) | 콘크리트교 | |—|—|—|—| | 보통 | -10℃∼50℃ | -10℃∼40℃ | -5℃∼35℃ | | 한랭 | -30℃∼50℃ | -20℃∼40℃ | -15℃∼35℃ |

4.11.1.2 케이블과 타 부재의 평균 온도차

(1) 케이블과 타 부재 사이의 평균 온도차에 따른 영향을 설계에 고려하여야 한다. 케이블의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마감에는 흰색 테이프나 밝은 색 도장 등을 고려할 수 있다. (2) 밝은 색의 사장교 케이블 및 현수교 주케이블과 보강거더/주탑과의 차이는 10℃, 어두운 색의 케이블과 보강거더/주탑과의 차이는 20℃를 사용한다. (3) 이 규정은 이 기준 4.11.1.1의 규정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4.11.2 온도차(TG)

4.11.2.1 부재 내 온도차

(1) 바닥판이 콘크리트인 강재나 콘크리트 상부구조에서 수직온도경사는 표 4.11-2 및 그림 4.11-1을 택한다. 상부의 온도가 높을 때 (T1, T2)의 값은 표 4.11-2와 같다. 하부의 온도가 높을 때의 값은 표 4.11-2에 정해진 값에 콘크리트 포장에는 -0.3을 아스팔트 포장에는 -0.2를 곱하여 구한다.

| | T1 | T2 | T3 | |—|—|—|—| | 두께가 400mm 이상 콘크리트부재 | 23℃ | 6℃ | 0℃, 또는 조사에 의한 값(최대 3℃) | | 두께가 400mm 미만 콘크리트부재 | 23℃ | 6℃ | 0℃, 또는 조사에 의한 값(최대 3℃) | | 강재 부재(t는 바닥판 두께) | 23℃ | 6℃ | 0℃, 또는 조사에 의한 값(최대 3℃) |

(2) 콘크리트박스구조로 된 주탑의 단면내 수평온도분포는 그림 4.11-1과 표 4.11-2의 값을 적용한다. (3) 강바닥판의 수직온도분포는 그림 4.11-2와 같이 고려한다. (4) 온도차 성분은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만 고려하지만 특별한 경우에 수평방향의 온도차를 고려할 수 있다. 이 때 선형의 수평온도차는 특별히 제시된 값이 없는 경우에 5℃로 한다. (5) 필요한 경우에 규모가 큰 콘크리트 박스 거더나 주탑에서 벽체의 내외부 온도차를 고려할 수 있다. 이 때 선형의 온도차는 특별히 제시된 값이 없는 경우에 15℃로 한다.

4.11.3 부재 설계 시의 선팽창계수

(1) 강부재 및 케이블의 선팽창계수는 12×10-6으로 한다.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거더에 대해서는 강재 및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는 모두 12×10-6으로 할 수 있다. 콘크리트부재에서 철근 및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는 10×10-6으로 한다.

4.11.4 가동받침의 이동량 산정 시 온도변화의 범위 및 선팽창계수

(1) 가동받침의 이동량 산정 시 온도변화의 범위 및 선팽창계수는 이 기준 표 4.11-1 및 표 4.11-2를 따른다.

4.12 지진의 영향 : EQ

(1) 지진의 영향과 관련된 사항은 KDS 24 17 12와 KDS 17 10 00을 따른다.

4.13 설하중 및 빙하중 : IC

(1) 설하중 및 빙하중과 관련된 사항은 KDS 24 12 21(4.13) 을 따른다.

4.14 지반변동 및 지점이동의 영향 : GD, SD

부정정 구조물에서 지반의 압밀침하 등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친 지점의 이동 및 회전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할 경우에는 최종이동량을 산정하여 단면력을 산정하여야 한다. 마땅한 자료의 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다음의 기준이동량을 참고할 수 있으며, KDS 24 14 52(4.7.2.4) 에 따라 확인하여야 한다.

(1) 주탑 기면의 회전변위 : (10-4rad) (2) 앵커리지 스프레이 점의 교축방향 변위 : (H / 1000) (m)

여기서, * H = 중앙 지간장(m) * L = 주탑 높이(m)

여기서 정의되지 않은 항목과 관련된 사항은 KDS 24 12 21(4.14) 를 따른다.

4.15 가설 시 하중 : ER

(1) 교량의 가설 시에는 가설단계별 가설방법과 가설 중의 구조를 고려하여 자중, 가설장비, 기자재, 바람, 지진의 영향 등 모든 재하조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