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서중 콘크리트의 적용 범위는 KCS 14 20 41[ ] (1.1)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41[ ] (1.1)에서 명시된 항목 외에 다음 (2)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2) 이 기준에서 명시하지 않은 사항은 SMCS 14 20 10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1) 서중 콘크리트의 관련 기준은 KCS 14 20 41[ ] (1.4)에 따르며, 추가사항은 다음과 같다.
KCS 14 20 41 서중 콘크리트
SMCS 14 20 10 일반콘크리트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 방법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KS F 2405 콘크리트 압축 강도 시험방법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 질량 및 공기량 시험 방법(질량 방법)

KS F 2421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 방법

KS F 2502 굵은 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4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1.3 용어의 정의
(1) 서중 콘크리트의 용어의 정의는 KCS 14 20 41[ ] (1.5)에 따른다.
1.4 제출물
(1) 서중 콘크리트의 제출물은 KCS 14 20 41[ ] (1.6)에 따른다.
1.5 서중 콘크리트 일반
(1) 서중 콘크리트의 일반사항은 KCS 14 20 41[ ] (1.2)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41[ ] (1.2)에서 (1)항은 다음 (2)항과 같이 적용한다.(2) 서중콘크리트의 시공에 있어서는 기온이 높으면 그에 따라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아져서 운반중의 슬럼프 저하, 연행공기량의 감소, 콜드조인트(Cold joint)의 발생, 표면 수분의 급격한 증발에 의한 균열의 발생, 온도균열의 발생 등 위험성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서중 콘크리트 환경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할 때와 타설 직후에는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재료의 취급, 비비기, 운반, 타설 및 양생 등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 자재
2.1 구성재료
(1) 서중 콘크리트의 구성재료는 KCS 14 20 41[ ] (2.1)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41 [ ](2.1)에서 명시된 항목 외에 다음 (2), (3)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2) 콘크리트의 재료는 온도가 될 수 있는 대로 낮아지도록 배려하여 사용해야 한다. 시멘트의 온도가 콘크리트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는 않지만(보통 시멘트 온도 ±8℃에 대하여 콘크리트 온도 ±1℃의 변화), 골재온도가 콘크리트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므로(보통 골재 온도 ±2℃에 대하여 콘크리트 온도 ±1℃의 변화), 장시간 뙤약볕에 방치했던 골재를 그대로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온도가 40℃ 이상 되는 수가 있어 소요의 단위수량의 증가, 수송중의 슬럼프의 저하, 또는 치기 후의 급격한 응결 등이 심해지는 수가 있다. 비빈 직후의 콘크리트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대로 낮은 온도의 혼합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보통 물의 온도 ±4℃에 대하여 콘크리트의 온도 ±1℃의 변화).(3) 유동화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슬럼프의 저하가 크고, 서중에는 특히 그 영향이 현저한 경우가 있으므로, 서중콘크리트에는 지연형의 유동화제를 사용하든가, 베이스콘크리트(Base concrete)에 지연형의 감수제, AE감수제 또는 고성능 AE감수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2 배합
(1) 서중 콘크리트의 배합은 KCS 14 20 41[ ] (2.2)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41[ ] (2.2)에서 (2)항은 다음 (2)항과 같이 적용한다.(2) 일반적으로는 기온 10℃의 상승에 대하여 단위수량은 2~5% 증가하므로 소요의 압축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에 비례하여 단위결합재량의 증가를 검토하여야 한다. 그러나 단위결합재량이 커지면 수화발열량이 증대하므로 온도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장기강도의 증가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될 수 있는 대로 단위수량을 작게 하는 동시에 단위결합재량이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2.3 재료 품질관리
(1) 서중 콘크리트의 재료 품질관리는 KCS 14 20 41[ ] (2.3)에 따른다.
3. 시공
3.1 시공일반
(1) 서중 콘크리트의 시공일반은 KCS 14 20 41[ ] (3.1)에 따른다.
3.2 운반
(1) 서중 콘크리트의 운반은 KCS 14 20 41[ ] (3.2)에 따른다.
3.3 타설
(1) 서중 콘크리트의 타설은 KCS 14 20 41[ ] (3.3)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41[ ] (3.3)에서 명시된 항목 외에 다음 (2)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2) 콘크리트 치기는 콜드조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계획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3.4 양생
(1) 서중 콘크리트의 양생은 KCS 14 20 41[ ] (3.4)에 따른다.
3.5 현장 품질관리
(1) 서중 콘크리트의 현장 품질관리는 KCS 14 20 41[ ] (3.5)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