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 표준시방서 31901010 반입 및 공급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본 기준은 생활폐기물 반입 시스템(계량기, 반입·반출로, 반입장, 투입문, 생활폐기물 저장조, 생활폐기물 파쇄기 등)의 제작, 납품, 설치, 시험 및 검사, 시운전 등에 적용됩니다.
1.2. 참고 기준
- 관련 기준: KCS 31 90 10 05 (1.2) 에 따릅니다.
- 한국산업표준:
- KS B ISO 4301-5: 크레인 — 분류 — 제5부: 천장크레인 및 겐트리 크레인
- KS B ISO 8686-1: 크레인 — 하중과 하중 조합에 관한 설계 원칙 — 제1부: 일반
- KS C 4203: 일반용 고압 3상 유도 전동기
-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1.3. 용어의 정의
KCS 31 90 10 05 (1.3) 에 따릅니다.
1.4. 지급자재
KCS 31 90 10 05 (1.4) 에 따릅니다.
1.5. 시스템 설명
- 1.5.1. 계량기: 반입되는 생활폐기물의 중량을 계측하는 장치로, 운반차량에 실린 상태로 중량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최소 눈금은 10 kg 이하입니다.
- 1.5.2. 반입·반출로: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차량이 반입장에 출입하는 통로입니다. 폭은 일방통행로 3.5m 이상, 왕복통행로 6m 이상, 경사는 1/10 이하입니다.
- 1.5.3. 반입장: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차량이 생활폐기물 저장조에 하역하는 장소로, 차량 진출입 동선이 원활해야 합니다.
- 1.5.4. 투입문: 반입장과 생활폐기물 저장조 사이를 차단하여 악취 및 먼지 누출을 방지하는 문입니다.
- 1.5.5. 생활폐기물 저장조: 반입된 생활폐기물을 일시 저장하는 공간으로, 소각 능력 조정, 폐기물 균질 혼합, 침출수 제거 기능을 수행합니다.
- 1.5.6. 생활폐기물 크레인: 생활폐기물 저장조 내 폐기물을 소각로에 공급하는 천장 주행식 크레인입니다. 폐기물 혼합 작업에도 사용됩니다.
- 1.5.7. 생활폐기물 파쇄기: 대형 폐기물 및 종량제 봉투 폐기물을 소각로 투입에 적합한 크기로 파쇄하는 설비입니다.
1.6. 시스템 허용오차
KCS 31 90 10 05 (1.6) 에 따릅니다.
1.7. 제출물
KCS 31 90 10 05 (1.7) 에 따릅니다.
1.8. 공사기록서류
KCS 31 90 10 05 (1.8) 에 따릅니다.
1.9. 품질보증
KCS 31 90 10 05 (1.9) 에 따릅니다.
1.10. 운반, 보관, 취급
KCS 31 90 10 05 (1.10) 에 따릅니다.
1.11. 환경요구사항
KCS 31 90 10 05 (1.11) 에 따릅니다.
1.12. 현장수량 검측
KCS 91 30 10 05 (1.12) 에 따릅니다.
1.13. 작업의 연속성
KCS 31 90 10 05 (1.13) 에 따릅니다.
1.14. 공정계획
KCS 31 90 10 05 (1.14) 에 따릅니다.
1.15. 타공정과의 협력작업
KCS 31 90 10 05 (1.15) 에 따릅니다.
1.16. 유지관리 장비 및 자재
KCS 31 90 10 05 (1.16) 에 따릅니다.
2. 자재
2.1. 재료
KCS 31 90 10 05 (2.1) 에 따릅니다.
2.2. 구성품
- 2.2.1. 계량기:
- 강도가 충분하고 구조가 견고해야 합니다.
- 동작이 원활하고 연속적으로 계량이 가능해야 합니다.
- 최소 눈금은 10 kg 이하입니다.
- 로드셀은 4점 또는 6점 지지 방식을 채택하며, 각 측정소자는 총 하중의 50% 범위까지 측정 가능해야 합니다.
- 최대 하중에서 본체 부분 단면의 최대 처짐은 스팬의 1/1,000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 판독장치는 운전원이 직접 카드를 넣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옥외 설치 시 방수형 구조로 합니다.
- 측정소자는 수직하중에도 측정 정확도가 유지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 측정소자 연결 전선은 강제 외장 케이블을 사용하고, 필요 시 증폭기를 설치하여 신호 전달 기능에 지장이 없도록 합니다.
- 중량 지시 화면은 밝고 흔들리지 않아야 합니다.
- 계량대에 문제 발생 시 조정단추로 즉시 영점 조정이 가능해야 합니다.
- 중량이 0이 아닐 때 계량기 하중 지시 화면은 항상 켜져 있어야 합니다.
- 카드 삽입 시 인식하고 계량 절차를 시작해야 합니다.
- 계량 절차 종료 시 카드가 자동 배출되어야 합니다.
- 카드 판독기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고강도 압축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야 합니다.
- 자료 입·출력은 카드 판독장치 자동 입력 또는 키보드 수동 입력이 가능해야 합니다.
- 측정된 신호는 연산장치에서 합산, 증폭 처리되어 저장되고, 반입 및 반출 중량이 화면에 표시되고 인쇄 가능해야 합니다.
- 천공된 카드 또는 키보드 입력된 자료를 판독하여 측정 중량, 반입 중량, 반입 시간 등을 기록해야 합니다.
- 반입 및 반출 중량은 총 측정 중량에서 빈차 중량을 제하는 방식으로 산출되며, 출고 시 빈차 중량을 측정한 결과를 사용합니다.
- 각 운반차량의 폐기물 반입량을 합산하여 일보 및 월보를 작성합니다.
- 각 계량대 측정 결과는 중앙으로 전달되어 통합 관리 및 처리가 되도록 설계합니다.
- 하루 반입량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설계되며, 시간대별 반입량 집중 시에도 고려해야 합니다.
- 운반차량 인식 번호를 기억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카드 판독기에 넣으면 계량 전표를 자동으로 발급해야 합니다.
- 계량 시 판독기와 조작원실에 동시에 중량이 표시되어야 합니다.
- 처리 자료는 회사별, 용도별, 차종별 분류에 따라 일별, 월별, 누계가 자동 연산 처리되어야 합니다.
- 통합 관리용 처리기에서 소각로 제어반에 설치된 종합 관리용 컴퓨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하며, 정상 작동 시 계량 시설 작동 상황을 모니터에 표시하고, 오류 발생 시 인쇄기 및 메시지로 전달해야 합니다.
- 2.2.2. 투입문:
- 크기는 운반차량 종류에 따라 충분해야 합니다.
- 구동 장치(전동,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개폐되어야 합니다.
- 수동 및 자동 운전이 가능해야 합니다.
- 과도한 부압이 걸리지 않도록 부압 보호 장치를 설치하고, 앞에는 차량 정지 장치 및 유도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 폐기물 저장조 내 악취 및 먼지 누출을 방지하는 밀폐 구조이어야 합니다.
- 운반차량 추락 방지를 위해 추락 방지 턱을 설치합니다.
- 개폐는 현장 및 투입문 조정실에서 조작 가능하며, 크레인 제어실에서 원격 감시 가능해야 합니다.
- 개폐 시 저장조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 2.2.3. 생활폐기물 크레인:
- 일반사항:
- 설계는 시방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중부하용이어야 합니다.
- 크레인 및 관련 기기는 운전 조작이 용이하고 보수 유지 및 분해 제거 시 시설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 예비 크레인은 주 크레인과 동등한 규격으로 상호 교환 사용이 가능해야 합니다.
- 과부하 및 취약 조건에서도 보수 정지 시간이 최소화되도록 연속적이고 효율적인 중부하 운전이 되도록 합니다.
- 전선 연결 설비 검사, 보수, 유지를 위한 입구와 안전 작업대를 설치해야 합니다.
- 와이어 클램프는 드럼으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드럼에 고정시켜야 합니다.
- 정지 장치(end stopper)는 충격에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 비상 정지 스위치는 크레인 전체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야 하며, 버섯 모양의 스위치 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 와이어 밧줄을 제외한 마모되기 쉬운 장치는 8,000시간 연속 운전되도록 설계하고 쉽게 교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장치의 모든 부분은 기동 이후 정규 점검 작업 시점까지 최소 720시간의 운전 시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 구성품목:
- 크레인 이동 장치를 가진 크레인 브리지
- 크랩 이동 장치를 가진 크랩
- 로프와 그래브를 가진 그래브의 권양 및 개폐 장치
- 전기 및 제어 장치
- 안전 장치
- 크레인 주행 레일, 스토퍼 등
- 크레인 조작실에 설치된 계수형 화면을 포함한 계량기
- 계량 계통의 영점 조정 장치
- 크레인 조작원을 위한 특수 의자, 주 조정기, 지시 및 경보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제어 장치
- 거더, 브리지 및 크랩:
- 크레인 거더와 엔드 케리지는 용접한 상자 거더형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완충 장치는 엔드 케리지와 면할 수 있어야 하며, 탈선 방지를 위해 설계된 휠 브래킷 서포트에 부착되어야 합니다.
- 정격 부하에서 크레인 브리지의 처짐은 스팬의 1/1,000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 크레인 거더는 아연도금 곰보강판으로 커버를 씌운 통로에 장착합니다. 통로에는 킥 플레이트 및 핸드레일을 장착해야 합니다.
- 크랩은 견고하게 설치되고 가능한 한 아연도금 곰보강판으로 씌워져야 합니다. 킥 플레이트 및 핸드레일은 측면에 설치합니다.
- 구동기:
- 크레인과 크랩에 각각 4개의 바퀴가 장착됩니다. 휠에는 자동 조심 경사형 롤러 베어링을 설치해야 합니다.
- 휠에는 플랜지가 아니라 수평 안내 롤러를 설치해야 합니다.
- 크레인과 크랩 주행 구동기는 중앙 구동식 방식이어야 하며, 각 구동기는 기어를 가진 슬립-링 전동기, 브레이크 판과 이중 접촉 브레이크 및 휠에 부착된 평기어를 가진 전동축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전동축은 먼지 방지용 볼 베어링 필로우 블록에 의해 지지되어야 합니다.
- 그래브 및 호이스트 로프:
- 그래브의 단은 고내마모성 망간 합금강으로 제조되어야 하며, 쉽게 교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생활폐기물 그래브는 반폐쇄형 포립형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적어도 4개의 스페이드를 설치해야 합니다. 스페이드는 상자형이고 견고해야 하며, 스페이드, 밧줄 감기 및 밧줄 안내 롤러는 쉽게 교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훅 (일반 크레인용):
- 훅의 형태는 안전 고리를 가진 “”쇼트 타이프””이어야 합니다.
- 로드 블록의 도르레는 블록이 바닥에 놓여 질 때 로프의 뒤엉킴을 방지하기 위해 근접 안내판을 설치해야 합니다.
- 주행 레일 및 통로:
- 크레인 주행 레일은 레일용강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 크레인 레일은 신축성 밑판과 압력에 대하여 신축성을 갖는 레일 클램프로 구성되고, 성능이 보장된 신축성 있고 조정할 수 있는 부위에 고정시켜야 합니다. 클램프는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며, 신축성 밑판은 전체 총 길이에 대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 크레인 레일 고정 장치는 다음 사항을 보증해야 합니다.
- 레일과 홈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집중 부하에 대한 보호
- 홈 거더의 비틀림 흡수
- 잠금 장치의 마모나 잠금 나사의 풀림이 없으며, 모든 레일 운동량을 흡수해야 합니다.
- 레일과 홈의 모든 공차 흡수
- 레일의 쉬운 교체와 조립 중 또는 후에 측면 조정이 쉬워야 합니다.
- 통로는 깔개(grating)로 포장하고 밑바닥 판 및 양쪽에 난간을 설치해야 합니다.
- 전동기:
- 전동기는 슬립링 형태여야 하며, 각 윈치 브레이크 판과 전기 유압식 브레이크 스러스터를 설치해야 합니다. 과도 상승 및 과도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주 스크류 한계 스위치를 각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 모든 스위치 기어 및 다른 전기 장비는 50℃ 이상의 온도에서도 완전 작동되도록 해야 합니다.
- 전동기는 기어의 허용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도 요구한 가동율을 얻고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제어:
- 모든 구동 장치는 사이리스터(thyristor) 또는 인버터 제어가 되어 원활한 가속 및 감속, 정확한 위치 선정 및 최적 운전 성능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 크레인의 공칭 용량뿐만 아니라 이동, 변환 및 상승 속도 및 그래브의 개폐 속도는 계약자의 요구에 따라 설계되어야 합니다.
- 전원과 콘트롤 케이블 시스템은 아이빔 홈에 케이블 운반 설비를 가진 이동 케이블(festoon-type)의 형태이어야 하며, 홈(runway)은 측면 이동이나 뒤틀림이 일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설계 시공되어야 합니다. 케이블 시스템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야 합니다.
- 보호 계통:
- 크레인과 리프팅 체계 손상을 보호하기 위해 기계적, 전기적 과부하 등에 대한 보호 계통을 설치해야 하며, 공칭 운전 용량을 초과하면 리프팅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 축이나 커플링 등의 모든 개폐/이동 기계 장치는 보수 요원이 다치지 않도록 적절하고 효과적인 보호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 일반사항:
- 2.2.4. 생활폐기물 파쇄기:
- 과부하 시 자동 역회전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원격 조작 및 현장 제어반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 철사나 테이프 형상 등의 물질에 감기거나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 철재류 등이 혼입되어도 운전 가능해야 합니다.
- 파쇄기 내에서 금속과 금속의 접촉 또는 온도 상승으로 인한 폭발 현상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합니다.
- 폭발에 따른 충격과 마찰에 의한 기기의 변형이 없어야 하며, 안전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 폐기물이 호퍼에 걸려 칼날에 미치지 못하는 가교 현상 발생 시 브리지(bridge) 및 토출 슈트에 파쇄물 걸림을 점검할 수 있는 대비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 2.2.5. 생활폐기물 저장조:
- 강제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계획해야 하며, 외부로부터 지하수 유입 또는 침출수 유출을 방지하는 방수 구조이어야 합니다.
- 부식성이 큰 침출수에 의한 강제/콘크리트 구조체의 부식 방지와 방수를 위해 지하 구간에는 내부 폴리우레탄 등의 유기 피복 또는 동등 이상의 방수/방식 피복을 시행해야 합니다.
- 침출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적정한 구배를 유지하고, 적정한 침출수 배제 시설을 갖추어야 합니다.
2.3. 장비
KCS 31 90 10 05(2.3) 에 따릅니다.
2.4. 부속재료
KCS 31 90 10 05(2.4) 에 따릅니다.
2.5. 배합
KCS 31 90 10 05 (2.5) 에 따릅니다.
2.6. 조립
KCS 31 90 10 05 (2.6) 에 따릅니다.
2.7. 마감
KCS 31 90 10 05 (2.7) 에 따릅니다.
2.8. 조립 허용오차
KCS 31 90 10 05 (2.8) 에 따릅니다.
2.9. 자재 품질 관리
KCS 31 90 10 05 (2.9) 에 따릅니다.
3. 시공
3.1. 시공 조건 확인
KCS 31 90 10 05 (3.1)에 따릅니다.
3.2. 작업 준비
KCS 31 90 10 05(3.2) 에 따릅니다.
3.3. 공사 간 간섭
KCS 31 90 10 05 (3.3) 에 따릅니다.
3.4. 시공 및 시공 허용오차
KCS 31 90 10 05 (3.4) 에 따릅니다.
3.4.1. 기초 점검 및 표시
- 기초 검사 및 표시 점검용 점검표를 작성합니다.
- 기준 표고, 중심선 및 방향각을 정확히 표시합니다.
3.4.2. 기기 및 기초 볼트 설치
- 기초 볼트 고정
- 패딩(padding)
- 기기 설치
- 기초 볼트 조임
3.5. 보수 및 재시공
KCS 31 90 10 05(3.5) 에 따릅니다.
3.6. 현장 품질 관리
KCS 31 90 10 05(3.6) 에 따릅니다.
3.7. 제작자 현장 지원
KCS 31 90 10 05(3.7) 에 따릅니다.
3.8. 현장 뒷정리
KCS 31 90 10 05(3.8) 에 따릅니다.
3.9. 시운전 및 준공
KCS 31 90 10 05 (3.9) 에 따릅니다.
3.10. 완성품 관리
KCS 31 90 10 05(3.10) 에 따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