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준정보 모음

건설 시방서, 안전기준

표준시방서 KCS

KCS31 90 10 45 소각재반출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생활폐기물 소각처리시설에 설치되는 소각재 반출 설비공사의 제작, 납품, 설치, 시험, 검사 및 시운전 등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KCS 31 90 10 05 (1.2) 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KCS 31 90 10 05 (1.3) 에 따른다.

1.4 지급자재

KCS 31 90 10 05 (1.4) 에 따른다.

1.5 시스템 설명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바닥재 배출원은 소각로, 폐열보일러, 분진제거 설비이며, 유해가스 제거설비에서도 처리설비의 형식에 따라 반응 생성물이 발생할 수가 있다.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소각재 중 비회는 중금속 및 다이옥신이 함유되어 있어 매립지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고형화 설비에서 고형화하며, 재에 함유된 금속류를 회수할 필요가 있을 때는 자력 선별기를 설치한다.

1.6 시스템 허용오차

KCS 31 90 10 05 (1.6) 에 따른다.

1.7 제출물

KCS 31 90 10 05 (1.7) 에 따른다.

1.8 공사기록서류

KCS 31 90 10 05 (1.8) 에 따른다.

1.9 품질보증

KCS 31 90 10 05 (1.9) 에 따른다.

1.10 운반, 보관, 취급

KCS 31 90 10 05 (1.10) 에 따른다.

1.11 환경요구사항

KCS 31 90 10 05 (1.11) 에 따른다.

1.12 현장수량 검측

KCS 91 30 10 05 (1.12) 에 따른다.

1.13 작업의 연속성

KCS 31 90 10 05 (1.13) 에 따른다.

1.14 공정계획

KCS 31 90 05 (1.14) 에 따른다.

1.15 타공정과의 협력작업

KCS 31 90 10 05 (1.15) 에 따른다.

1.16 유지관리 장비 및 자재

KCS 31 90 10 05 (1.16) 에 따른다.

2. 자재

2.1 재료

KCS 31 90 10 05 (2.1) 에 따른다.

2.2 구성품

2.2.1 바닥재 처리설비

2.2.1.1 소각재(바닥재) 처리 계통

(1)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소각재는 재 축출기를 거쳐 진동형 소각재 컨베이어를 통하여 재 피트로 배출된다. (2) 보일러에서 발생된 비회는 로타리 밸브를 거쳐 보일러 비회 컨베이어에 의해 재 축출기 상부로 투입되어 소각재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된다.(3) 소각재 컨베이어 상부에는 자력 선별기를 설치하여 철재물을 분리하여 수거한다.

2.2.1.2 바닥재 또는 슬래그 추출기

(1) 바닥재 또는 슬래그 추출기는 사전 승인된 형식으로 한다. 마모 및 충격에 접하기 쉬운 부분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교환식이어야 한다. 배출장치의 모든 부분은 최소 8,000시간의 연속 운전기간 내에 마모 등에 의한 교체작업이 필요 없어야 한다. (2) 윤활유는 중앙 자동윤활 설비로부터 공급된다. 바닥재 또는 슬래그 추출기의 속도는 가변식으로서 현장에서 제어되며, 이 속도는 중앙제어실에 지시되어야 한다.(3) 바닥재 또는 슬래그 추출기는 수 욕조식으로 감속기 모터에 의해 작동된다. 수 욕조는 제반 운전조건하에서 소각로 및 용융로에 대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보충수 공급제어는 오동작 및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형식으로 악취발생 방지를 위해 커버를 설치하며, 미연분 및 이물질에 의한 브리지 발생에 대한 대책을 고려하여야 한다.(4) 다량의 증기가 발생되어서는 안 되며, 60 ℃ 이상의 운전온도에서는 수증기 배출기를 설치하여 수증기를 소각로 연소 급기부로나 2차 연소실 후단으로 인입시켜 배출하게 한다. 바닥재 또는 슬래그 추출기 하부에는 배수밸브를 설치하여 폐수처리설비로 직접 배수되도록 한다.(5) 바닥재 또는 슬래그 추출기 출구 측 개구부는 충분한 크기로 제작되어 바닥재 또는 슬래그 중 큰 물체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한다. 추출기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온도계를 설치한다. 또한 리들링 컨베이어 하부에는 문제 발생 해결 및 청소를 위한 맨홀을 설치한다.

2.2.1.3 재분산기

(1) 재분산기는 재의 물성값 및 재 피트의 폭 등이 고려되어야 하고, 재 이송장치 기동 시 함께 기동된다.(2) 재분산기의 재질은 내마모성이 충분한 것으로, 마모 또는 손상되기 쉬운 부분은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2.2.1.4 컨베이어

(1) 공통① 모든 컨베이어는 사양에 별도 명시되지 않는 한 연속운전을 기준으로 한다.② 각각의 컨베이어 및 관련 장비는 운전조작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 제거가 용이하도록 배치한다. ③ 모든 보조기기 및 컨베이어는 전반적으로 관련 시스템과 조화되어 자동운전에 적합하도록 설계한다.④ 감속기는 비마찰형 베어링 및 헬리컬 기어를 사용하여 제작하여야 하며, 적절한 윤활계통을 구비하여야 한다.⑤ 운전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동부위는 적절히 보호되어야 하며, 이 보호대는 운전 및 보수를 위하여 쉽게 분리되어야 한다.(2) 체인 컨베이어① 체인 및 스프로킷 조합체는 기름 및 먼지의 출입을 막을 수 있도록 밀폐형이어야 하며, 오일 실(oil seal) 및 오일 주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여야 한다. ② 스프로킷은 냉간 가공한 제품이나 주강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체인과의 접촉부위는 경화처리하여야 한다.③ 체인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강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내구력이 요구되는 핀(pin) 및 부싱은 경화 처리하여야 한다.④ 체인은 관련 스프로킷과 정확히 일치하여야 하며, 소음 없이 운전되어야 한다.(3) 스크류 컨베이어① 스크류 컨베이어의 몸체는 밀폐형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필요한 곳에 점검 창 및 강제 지지대를 구비하여야 한다.② 스크류는 축에 적당한 간격으로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된, 매우 견고하게 만들어진 플라이트와 패들로 구성된 것으로 한다.③ 구동부가. 45 ㎾ 이상의 모든 구동장치는 전동기와 풀리 축 사이에 감속기를 둔다. 나. 37 ㎾ 이하의 모든 구동장치는 기어전동기를 사용하며, 체인 커플링에 의해 축 풀리와 연결된다. 다. 감속기 베어링은 내마모성 베어링으로 한다.라. 각각의 체인 및 스프로킷 조립품은 오일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연결부를 가져야 하고, 오일이 새지 않고 먼지가 들어오지 않는 하우징으로 밀폐되어야 한다.마. 하우징은 체인의 검사 및 유지관리를 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④ 베어링은 20,000시간 이상 운전이 가능하여야 하고, 베어링 하우징은 분진 등 이물질 유입이 없어야 하며, 적절한 윤활계통을 구비하여야 한다.⑤ 재를 운반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다.(4) 진동 컨베이어① 취급 물질과 접촉하는 부위는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며,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야 한다.② 진동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영향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2.2.1.5 조임장치

(1) 조임이 요구되는 컨베이어에는 스크류 타입의 조임장치를 사용한다.(2) 수직형 중력식 조임장치는 벨트 피더 및 컨베이어를 제외한 컨베이어에 설치된다.(3) 슈트
컨베이어의 입․출구에는 슈트를 설치하여 관련 기기들과 연결하여야 하며, 이 슈트는 취급물질이 누설과 막힘이 없이 이송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마모성이 심한 물질을 취급할 경우에는 내부에 적절한 라이닝을 하여야 한다.

2.2.1.6 기기 지지용 구조물

(1) 모든 기기는 관련 기기와 연관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완벽하게 지지되어야 한다.(2) 관련 기기와 연결되는 플랜지 면은 기기의 축선과 정확한 각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위치, 각도, 크기 및 접합 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승인된 도면에 따른다. (3) 계약자는 해당 기기의 기초설계를 위하여 하중 및 지지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하여야 한다.

2.2.1.7 수축관(expansion joint)

수축관은 각 기기의 입·출구에 설치하여야 하며, 이는 열팽창, 진동, 하중변화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2.2.1.8 리들링 컨베이어 및 재축출기

리들링 컨베이어 및 재나 슬래그 추출기에는 증기 및 악취 배출용 배기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2.2.1.9 전동기

전동기의 정격은 기기 구동에 필요한 정격용량에 여유를 감안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2.2.2 비산재 처리설비

(1) 폐열보일러, 반건식 반응탑 및 백필터 하부에서 발생된 비산재는 컨베이어를 거쳐 저장조에 저장된다.(2) 저장조는 비산재를 일시 저장한 후 시멘트 사일로의 시멘트(또는 약제)와 혼합하여 고형화 물질로 만든 후 고형화물 컨베이어에 의해 고형화물 피트로 배출하거나 톤백으로 포집하여 반출 위탁처리를 한다.

2.2.3 재(ash) 크레인

(1) 재 피트에 모인 재는 크레인에 의해 재반출 차량에 적재되어 외부로 반출되어 매립된다. 재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일일 8시간 운전으로 계획한다.(2) 재 크레인 조작은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환기시설을 갖춘 크레인 조작실에서 하여야 한다.

2.3 장비

KCS 31 90 10 05 (2.3) 에 따른다.

2.4 부속재료

KCS 31 90 10 05 ( 2.4) 에 따른다.

2.5 배합

KCS 31 90 10 05 (2.5) 에 따른다.

2.6 조립

KCS 31 90 10 05 (2.6) 에 따른다.

2.7 마감

KCS 31 90 10 05 (2.7) 에 따른다.

2.8 조립허용오차

KCS 31 90 10 05 (2.8) 에 따른다.

2.9 자재품질관리

KCS 31 90 10 05 (2.9) 에 따른다.

3. 시공

3.1 시공조건 확인

KCS 31 90 10 05 (3.1)에 따른다.

3.2 작업준비

KCS 31 90 10 05 (3.2) 에 따른다.

3.3 공사 간 간섭

KCS 31 90 10 05 (3.3) 에 따른다.

3.4 시공 및 시공 허용오차

KCS 31 90 10 05 (3.4) 에 따른다.

3.4.1 컨베이어(flow/screw conveyor) 설치

(1) 설치 위치 점검① 컨베이어 설치에 앞서 건물, 기초 및 기기 등의 관련 치수를 세밀히 점검한다.② 기초표면에 컨베이어 중심선을 표시한다.(2) 작업자 및 필요 공구 준비① 설치 작업에 적합한 작업자를 선정하여야 하며, 만일 컨베이어가 예외적으로 크거나 높은 장소에 설치될 때에는 숙련된 현장요원이 작업을 하여야 한다.② 컨베이어 설치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준비한다. 컨베이어에는 용접작업이 많으므로 숙련된 용접공과 용접장비가 필요하다.(3) 탈하, 저장, 탈포장① 탈하 시 공급목록에 따라 수량을 점검한다.② 탈하된 부분은 조립을 고려하여 꼬리표가 보이기 쉽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③ 컨베이어 체인 부속물은 쉽게 변형이 되므로 주의한다. ④ 부분품에 녹이 나지 않는 장소를 선택하여 저장한다.⑤ 포장물은 운반 중에 손상이 없도록 하고, 설치장소에 도착하기 전까지 포장을 풀면 안 된다.⑥ 운송 중에 덮개 변형방지를 위하여 사용된 완충재료는 설치 전까지 제거하면 안 된다.(4) 설치 (5) 덮개 정열① 덮개 정열 시, 동력부 위치를 제일 먼저 결정한다. 덮개들은 중간부터 연결하여 끝 쪽으로 연결한다.② 조립도면과 덮개에 붙어 있는 꼬리표를 확인하며, 덮개를 늘어놓는다.③ 패킹은 각 덮개 플랜지에 접착제로 붙여야 하고, 덮개 간격을 없애고, 볼트로 약하게 조여 조립한다.(6) 패킹 설치, 실링 적용① 덮개 플랜지면과 덮개가 밀착되는 면은 패킹을 충분히 긴 것으로 한다.② 플랜지 곡관부 면에 정착되는 패킹은 겹쳐서는 안되며, 가위를 사용해서 조심스럽게 패킹을 절단한다. ③ 패킹은 볼트구멍과 일치되게 펀치로 관통한다.

3.5 보수 및 재시공

KCS 31 90 10 05 (3.5) 에 따른다.

3.6 현장품질관리

KCS 31 90 10 05 (3.6) 에 따른다.

3.7 제작자 현장지원

KCS 31 90 10 05 (3.7) 에 따른다.

3.8 현장 뒷정리

KCS 31 90 10 05 (3.8) 에 따른다.

3.9 시운전 및 준공

KCS 31 90 10 05 (3.9) 에 따른다.

3.10 완성품 관리

KCS 31 90 10 05 (3.10) 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