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설계기준 241432 강교 설계기준(케이블교량)
강재 케이블교량 구조물 설계 기준
1. 일반사항
(1) 목적
이 기준은 강재 케이블교량 구조물의 안전성, 사용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2) 적용 범위
이 기준은 강재로 제작되어 장경간 케이블교량에 사용되는 보, 뼈대구조, 트러스, 아치, 케이블, 바닥판 및 연결부 등의 설계 규정을 다룬다.
(3) 참고 기준
- KDS 14 20 00 콘크리트구조 설계(강도설계법)
- KDS 14 31 00 강구조설계(하중저항계수설계법)
- KDS 24 10 12 교량설계 일반사항(케이블교량)
- KDS 24 12 12 교량 설계하중조합(케이블교량)
- KDS 24 12 22 교량 설계하중(케이블교량)
- KDS 24 14 31 강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4) 용어의 정의
- 각장: 필릿용접이음의 루트에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 그루브용접: 접합부재면에 홈을 만들어(개선하여) 이루어지는 용접
- 끼움재: 부재의 두께를 늘리기 위해 사용되는 판재
- 내후성강: 적절히 조치된 고강도, 저합금강으로써 부식방지를 위한 도막 없이 대기에 노출되어 사용되는 강재
- 다이아프램: 전단강도나 전단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박스단면내의 격벽
- 덮개판: 단면적, 단면계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의 플랜지에 용접이나 볼트로 연결된 플레이트
- 뒴비틀림: 비틀림에 대한 전체 저항 중 단면의 뒴에 저항하는 부분
- 리밍: 볼트구멍을 드릴로 뚫거나, 펀칭한 후 뚫린 구멍을 잘 마무리하여 가공하는 행위
- 리브: 보강재의 다른 용어로서 직교이방성 강상판에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으로 접합되는 종방향 보강재 및 횡방향 보강재를 각각 종방향 리브 및 횡방향 리브라 칭함
- 바닥틀: 바닥판을 지지하여 차륜하중을 주부재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상부구조
- 바닥판: 포장면이 있든 없든 차륜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고 다른 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
- 바닥판 이음부: 구조물의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바닥판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불연속부
- 벌크헤드: 강상판에 교축방향으로 접합하는 폐리브의 비틂에 대한 저항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폐리브 내부에 설치하는 칸막이 벽
- 보강재: 하중을 분배하거나, 전단력을 전달하거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부재에 부착하는 ㄱ형강이나 판재 같은 구조요소
- 부분용입그루브용접: 연결부재의 전체 두께보다 적게 내부 용입된 그루브용접
- 분기형 좌굴이론: 이상적으로 직선인 부재에 작용하는 압축력이 특정 크기에 도달하면 이 부재는 갑작스런 좌굴현상으로 파괴에 이를 수도 있고, 동시에 이상적인 직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추가 하중을 더 받을 수도 있는 평형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시에 두 가지 평형상태를 가질 수 있는 분기접의 하중을 임계하중이라고 하고, 이 임계하중에 근거한 좌굴이론을 분기형 좌굴이론이라 함
- 붕괴유발부재: 파괴될 경우 교량의 붕괴 또는 그 기능 상실을 유발시키는 부재
- 블록전단파단: 접합부에서, 한쪽 방향으로는 인장파단, 다른 방향으로는 전단항복 혹은 전단파단이 발생하는 한계상태
- 비조밀단면: 국부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압축요소에 항복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나 소성힌지의 회전능력을 갖지 못하는 단면
- 비지지길이: 좌굴 또는 비틀림에 저항하도록 브레이싱 등으로 변위를 구속시킨 인접한 두 점 사이의 거리
- 비틀림좌굴: 압축부재가 전단중심축에 대해 비틀어지는 좌굴모드
- 사각: 교량의 종방향 축에 수직인 직선과 교좌부 축사이의 각, 즉 0도의 사각은 직각 교량을 의미함
- 세장비: 휨축과 동일한 축의 단면2차반경에 대한 유효좌굴길이의 비
- 세장판단면: 탄성범위 내에서 국부좌굴이 발생할 수 있는 세장판요소가 있는 단면
- 소성단면계수: 휨에 저항하는 완전항복단면의 단면계수로서, 소성중립축 상하의 단면적의 중립축에 대한 1차모멘트
- 소성모멘트: 완전히 항복한 단면의 저항모멘트
- 소성해석: 강재의 완전탄성-완전소성거동의 가정에 근거한 구조해석
- 소요강도: 한계상태설계 하중조합에 대한 구조해석에 의해 산정된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힘, 응력, 또는 변형을 지칭
- 수직보강재: 웨브에 부착하는 플랜지와 직각을 이루는 웨브 보강재
- 스켈럽: 용접선의 교차를 피하기 위해 한쪽의 모재를 절단하여 만든 부채모양의 조치
- 아이바: 균일한 두께를 가진 특수한 형태의 핀접합 부재로서, 핀구멍이 있는 머리와 구멍이 없는 몸체에 거의 동일한 강도를 부여하도록, 몸체의 폭보다 크게 단조되거나 산소절단된 머리 폭을 가진 인장부재
- 연결재: 볼트, 리벳 또는 다른 연결기구 등을 총괄해서 지칭하는 용어
- 완전용입그루브용접: 용접재가 조인트 두께를 넘어 완전히 용접되는 그루브용접(강관구조 접합부에서는 예외)
- 용접지단: 모재의 면이 용접비드 표면과 교차하는 선
- 용접작업구: 뒷받침판 등의 설치를 위한 구멍, 일명 스켈럽
- 유효순단면적: 전단지연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정된 순단면적
- 유효좌굴길이: 압축재 좌굴공식에 사용되는 등가좌굴길이 로서 분기좌굴해석으로부터 결정
- 유효좌굴길이계수: 유효좌굴길이와 부재의 비지지길이의 비
- 응력범위: 활하중으로 발생하는 최대응력과 최소응력크기의 차이
- 이음부: 두 부재를 한 개의 긴 부재로 만들기 위하여 용접이나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영역
- 인장항복: 인장에 의한 항복
- 일정진폭 피로한계: 부재가 피로파괴 없이 일정한 응력범위 내에서 무한대의 반복횟수에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범위
- 재하경로: 하중이 작용점에서부터 지점까지 전달되는 과정에 있는 부재와 연결부의 연속경로
- 전단좌굴: 면내에 순수 전단력에 의해 보의 웨브와 같은 판요소가 변형하는 좌굴모드, 웨브의 전단상수
- 전단지연: 접합부에서 응력이 집중되거나 응력이 전달되지 않는 현상
- 전단항복(뚫림): 강관접합에서, 지강관이 붙어있는 주강관의 면외전단강도에 기반한 한계상태
- 접지면적: 차륜과 도로표면 사이의 접촉 면적
- 접합부: 2개 이상의 부재 사이에 힘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구조요소 또는 조인트의 집합체
- 제어플랜지: 이음부에서 상하부 플랜지 중 단면이 작은 플랜지; 계수하중에 의해 플랜지 중간두께에 발생하는 탄성휨응력이 계수휨저항에 대비 최대인 플랜지
- 조밀단면: 휨을 받을 때 플랜지나 웨브에 국부좌굴이 일어나지 않고 완전소성상태에 도달하는 단면으로서 이 단면은 플랜지와 웨브의 세장비와 브레이싱에 관한 요구 조건들을 만족해야 함.
- 조인트: 2개 이상의 단부, 표면, 가장자리가 접합되는 영역. 사용되는 파스너 또는 용접의 형태와 하중전달 방법에 의해 분류됨.
- 존치거푸집: 건설이 끝난 후에도 현장에 남아있는 영구적인 강재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푸집
- 주방향: 등방성 바닥의 경우는 짧은 경간 방향; 직교이방성 판의 경우는 주하중 전달 요소 방향
- 지강관: 강관접합에서, 주강관 또는 주요부재에 붙어있는 강관부재
- 지압보강재: 모든 지점부 위의 복부판에 국부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보강재
-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강교량의 상판에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으로 종방향 리브 또는 횡방향 리브를 접합하여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의 물리적 성질이 서로 다른 강교량의 상판구조
- 직교이방성 판: 두개의 주방향으로 서로 다른 구조적 성질을 가지는 판
- 콘크리트압괴: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에 도달함으로써 압축파괴를 일으키는 한계상태
- 탄성단면계수: 단면2차모멘트를 도심축에서 단면의 양 끝까지의 거리로 나눈값
- 파괴인성: 구조용 재료 또는 요소가 파괴되지 않고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 일반적으로 샤피 V-노치 시험에 의해 결정함
- 피로강도: 특정 반복횟수 동안 부재에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저항할 수 있는 최대응력범위
- 피로설계수명: 피로균열의 발생 없이 설계교통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기간으로서 설계기준에서는 200년으로 하였음
- 필릿용접보강: 그루브용접을 보강하기 위해 추가된 필릿용접
- 하이브리드 단면: 상, 하부 플랜지에 사용한 강판과 다른(일반적으로 낮은) 최소항복강도를 갖는 강판을 웨브로 사용한 거더 단면
- 합성: 내부 힘의 분산에 있어 강재요소와 콘크리트요소가 일체로서 거동하는 조건
- 횡방향보강재: 웨브에 부착되고 플랜지와 수직을 이루는 웨브 보강재
- 횡비틂좌굴: 횡방향 변형과 비틂을 동반하는 좌굴
- 휨좌굴: 단면의 비틂이나 형상의 변화 없이 압축부재가 휨으로 휘는 좌굴모드
(5) 기호의 정의
=
: 피로상세범주; 부재 전단면적(mm²) (4.6.1.2)=
: 한 방향 일일트럭교통량의 설계수명기간 동안 평균값 (4.2.1.2)=
: 한 방향 한 차로의 일일트럭교통량의 설계수명기간 동안 평균값 (4.2.1.2)=
: 압축 부재의 전단면적(mm²) (4.6.1.2), (4.8)=
: 인장 부재의 순단면적(mm²) (4.8)=
: 박스거더 단면의 내부단면적(mm²) (4.7.8.2)=
: 강재 단면적; 슬래브 단면적; 보강재의 전단면적(mm²) (4.8)=
: 웨브단면적(mm²) (4.8)=
: 아이바 몸체의 폭(mm) (4.6.1.2)=
: 종방향보강재의 폭(mm) (4.7.11.2)=
: 전단좌굴응력 대 전단항복강도의 비; 직교이방성에 있는 리브를 조절하기 위한 바닥홈의 두께(mm) 피로상세범주 (4.2.1.2)=
: 뒴상수 (4.6.1.2)=
: 원형강관의 외경 (4.6.1.2); 웨브높이 (4.6.1.2)=
: 소성모멘트 상태에서의 압축력을 받는 웨브높이(mm) (4.6.6.2)=
: 수직보강재의 간격(mm)=
: 강재의 탄성계수(MPa) (4.5.3.1), (4.5.3.2), (4.7.8.2) 피로상세범주 (4.2.1.2)=
: 응력으로 표현된 공칭휨강도(MPa) (4.8)=
: 압축플랜지 공칭휨저항강도(MPa) (4.6.7.2), (4.7.8.1), (4.7.8.2)=
: 강재의 최소인장강도; 전단연결재의 최소인장강도(MPa) (4.8)=
: 압축을 받는 보강판의 극한압축강도(MPa) (4.7.8.2), (4.7.11.2)=
: 휨에 의하여 압축응력과 전단응력이 동시에 발생하는 보강판의 극한압축극한강도(MPa) (4.7.8.2)=
: 종방향보강재의 극한강도(MPa) (4.7.11.2)=
: 핀의 항복강도; 강재의 최소항복강도(MPa) (4.6.1.2), (4.7.8.2), (4.8)=
: 압축플랜지의 최소항복강도(MPa) (4.6.7.2)=
: 플랜지의 최소항복강도(MPa) (4.8)=
: 철근의 최소항복강도(MPa) ) (4.7.8.2)=
: 인장플랜지의 최소항복강도(MPa) (4.8)=
: 설계하중에 의한 플랜지의 순수비틂 전단응력 (4.6.7.2)계수하중에 의해 강바닥판에 발생하는 전단응력 (4.7.8.2)=
: 강재의 전단탄성계수(MPa) (4.6.1.2)=
: 단면2차모멘트(mm⁴) (4.6.1.2)=
: 수평보강재의 단면2차모멘트(mm⁴) (4.7.11.2)=
: 단부를 기준으로 한 수평보강재의 단면2차모멘트(mm⁴);아치리브보강재의 단면2차모멘트(mm⁴) (4.7.8.2)=
: 단부를 기준으로 한 수직보강재의 단면2차모멘트(mm⁴);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mm⁴) (4.6.1.2)=
: 순수비틂상수(mm⁴) (4.6.1.2)=
: 유효좌굴길이계수 (4.6.1.2)=
: 세장비 (4.6.1.2)=
: 플랜지 하면에서 필릿용접 끝단까지의 거리; 판 좌굴계수;리브를 따라 휨모멘트의 분포를 나타내는 계수 (4.6.1.2), (4.7.8.2)=
: 전단응력 판 좌굴계수 (4.7.8.2)=
: 비지지길이; 고정점간 거리; 부재단부에서 첫 브레이싱점까지의 거리(mm) (4.6.1.2)=
: 비지지길이(mm) (4.6.1.2)=
: x-방향, y-방향의 저항계수가 고려된 설계휨강도(N·mm) (4.6.1.2)=
: x-방향, y-방향에서의 설계하중에 의한 휨모멘트(N·mm) (4.6.1.2)=
: 응력범위의 반복횟수 (4.2.1.2)=
: 일정진폭 피로한계값에 해당하는 응력반복횟수 (4.2.1.2)=
: 무한수명 응력범위(cut-off Limit)에 해당하는 응력범위 반복횟수 (4.2.1.2)=
: 트럭당 응력범위의 반복횟수; 강재에 대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 전단연결재의 수; 볼트의 수 (4.2.1.2)=
: 공칭강도; 공칭지압강도; 공칭압축강도 (4.6.1.2)=
: 웨브 국부좌굴에 의한 플랜지 하중저감계수 (4.6.7.2)=
: 하이브리드 단면의 플랜지 응력감소계수 (4.6.7.2)=
: 좌굴이 발생하는 축에 대한 단면회전반경(mm) (4.6.1.2)=
: 고정점 사이에서 웨브 평면의 수직축에 대한 단면회전반경(mm) (4.6.1.2)=
: 판두께(mm); 집중하중을 받는 플랜지의 두께(mm); 슬래브 또는 판의 두께(mm) (4.9.5.3)=
: 플랜지의 두께(mm); ㄷ형 전단연결재 플랜지의 두께(mm) (4.6.7.2)=
: 횡방향 하중을 받는 판의 두께(mm); 보강재의 두께(mm) (4.2.1.2)=
: 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mm); 보강재의 두께(mm) (4.7.11.2)=
: 공칭전단강도(N) (4.8)=
: 설계하중에 의한 전단력(N) (4.8)=
: 이음점 웨브의 설계전단력(N) (4.8)=
: 플랜지에 있는 수평보강재의 간격과 웨브에 가장 가까운 플랜지 수평보강재와 웨브간의 거리중 큰 값(mm); 박스거더 단면에서 플랜지의 중심간격(mm) (4.2.1.2)=
: 플랜지 이음판 설계 시 적용되는 계수 (4.8)=
: 플랜지 유효단면적 계산 시 플랜지 전단면적에 적용되는 계수 (4.8)=
: 하중계수 (4.2.1.2)=
: 활하중의 응력범위(MPa) (4.2.1.2)=
: 무한수명 공칭피로강도(MPa) (4.2.1.2)=
: 상세범주 에 대한 공칭피로강도(MPa) (4.2.1.2)=
: 공칭피로강도(MPa) (4.2.1.2)=
: 일정진폭 피로한계값(MPa) (4.2.1.2)=
: 보강된 플랜지에서 보강재와 판의 일부로 구성된 스트럿기둥의 세장비 (4.7.8.2)=
: 보강된 플랜지에서 보강재 사이 판에 대한 세장비 (4.7.8.2)=
: 지압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지압볼트의 저항계수 (4.1.4.2)=
: 블록전단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압축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완전 그루브용접에 사용되는 용접재료의 전단 또는 인장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부분 그루브용접에 사용되는 용접재료의 저항계수 (4.1.4.2)=
: 휨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볼트의 전단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전단연결재의 저항계수 (4.1.4.2)=
: 고장력볼트의 인장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인장부재의 파단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전단에 대한 저항계수 (4.1.4.2)=
: 필릿용접의 전단에 대한 저항계수 (4.1.4.2)
2. 조사 및 계획
(1) 내용 없음
3. 재료
(1) 강재
- 사용강재 및 접합 재료는 KDS 14 31 05(3.1.1), KDS 14 31 05(3.1.2)를 따른다.
(2) 철근 및 콘크리트
- 철근 및 콘크리트의 품질은 KDS 14 20 00을 따른다.
(3) 형상 및 치수
- 형상 및 치수는 KDS 14 31 05(3.3)를 따른다.
(4) 재료의 강도
- 강재의 강도는 KDS 14 31 05(3.4.1)을 따른다.
- 접합재료의 강도는 KDS 14 31 05(3.4.2)를 따른다.
- 철근 및 콘크리트의 강도는 KDS 14 20 00을 따른다.
(5) 물리 상수
- 물리 상수는 KDS 14 31 05(3.5)를 따른다.
(6) 기타강재
- 핀, 롤러 및 록커는 KDS 14 31 05(3.6.1)를 따른다.
- 스터드 전단연결재는 KDS 14 31 05(3.6.2)를 따른다.
- 스테인레스 강재는 KDS 14 31 05(3.6.3)를 따른다.
- 케이블은 KDS 14 31 05(3.6.4)를 따른다.
4. 설계
(1) 한계상태
-
(1.1) 일반사항
- 강재 또는 강재와 다른 재료를 결합시켜 만들어진 부재의 구조적 거동은, 건설 중, 이동 운반 중, 또는 가설 시뿐만 아니라 그 구조물의 공용 기간 동안 가장 큰 응력이 발생될 수 있는 모든 단계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 구조 부재는 극한한계상태, 극단상황한계상태, 사용한계상태 및 피로한계상태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적절히 만족시켜야 한다.
-
(1.2) 사용한계상태
- KDS 24 10 12의 (4.1.5.1) 및 (4.1.7.1)의 규정을 적용한다.
- 강구조물은 KDS 24 12 12의 표 4.1-1에 있는 사용한계상태 하중조합 II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1.3) 피로와 파단한계상태
- 각 구조부재 및 상세는 KDS 24 10 12(4.1.5.2) 및 이 기준 4.2에 규정된 피로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 KDS 24 12 12의 표 4.1-1의 피로한계상태조합 및 KDS 24 12 22(4.3.3)에 규정된 피로 활하중을 적용한다.
- 플레이트 거더의 웨브는 이 기준 4.6.5.3의 규정을 만족시켜야 한다.
- 이 기준 4.6.10.2에 있는 전단연결재의 피로에 대한 적절한 규정을 적용한다.
- 인장피로를 받는 볼트는 이 기준 4.2.1의 규정을 만족시켜야 한다.
- 요구되는 파괴인성치는 이 기준 4.2.2에 따른다.
-
(1.4) 극한한계상태
- (1.4.1) 일반사항
- 강도 및 안정성 검토 시 KDS 24 12 12의 표 4.1-1에 규정된 적합한 극한한계상태 조합을 이용한다.
- (1.4.2) 저항계수
- 극한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는 다음 값을 취한다.
- 휨에 대해:
= 1.00
- 전단에 대해:
= 1.00
- 축방향 압축력에 대해(강재):
= 0.90
- 축방향 압축력에 대해(합성부재):
= 0.90
- 인장력에 대해(순단면 적용 시 파단):
= 0.80
- 인장력에 대해(전단면 적용 시 항복):
= 0.95
- 핀의 지압력에 대해:
= 1.00
- 볼트의 지압력에 대해:
= 0.80
- 전단연결재에 대해:
= 0.85
- 인장력을 받는 F8T, F10T, F13T볼트에 대해:
= 0.80
- 인장력을 받는 일반볼트에 대해:
= 0.80
- 전단력을 받는 F8T, F10T, F13T볼트에 대해:
= 0.80
- 전단력을 받는 일반볼트에 대해:
= 0.65
- 블록전단에 대해:
= 0.80
- 기타 연결요소의 전단 파단:
= 0.80
- 웨브의 국부좌굴에 대해:
= 0.80
- 완전용입 그루브용접 시의 용접 금속에 대해:
- 유효단면적에 대한 전단력:
= 0.85
- 유효단면적에 수직한 인장 또는 압축력:
= 모재
- 용접선에 평행한 인장 또는 압축력:
= 모재
- 유효단면적에 대한 전단력:
- 부분용입 그루브용접 시 용접금속에 대해:
- 용접선에 평행한 전단력:
= 0.80
- 용접선에 평행한 인장 또는 압축력:
= 모재
- 유효단면적에 수직한 압축력:
= 모재
- 유효단면적에 수직한 인장력:
= 0.80
- 용접선에 평행한 전단력:
- 필릿용접 시의 용접금속에 대해:
- 용접선에 평행한 방향의 인장 또는 압축력:
= 모재
- 용접금속의 목에 작용하는 전단력:
= 0.80
- 용접선에 평행한 방향의 인장 또는 압축력:
- 관입상태가 불량한 지반으로 인한 영향을 받고 압축력을 받는 말뚝의 축방향력에 대해:
- H형 말뚝:
= 0.50
- 강관 말뚝:
= 0.60
- H형 말뚝:
- 관입상태가 양호한 지반에서 압축력을 받는 말뚝의 축방향력에 대해:
- H형 말뚝:
= 0.60
- 강관 파일:
= 0.70
- H형 말뚝:
- 비항타말뚝의 축방향력과 휨의 조합에 대해:
- H형 말뚝의 축방향력에 대해:
= 0.70
- 강관 파일의 축방향력에 대해:
= 0.80
- 휨에 대해:
= 1.00
- H형 말뚝의 축방향력에 대해:
- 항타 시의 저항계수에 대해:
= 1.00
- 휨에 대해:
- 극한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는 다음 값을 취한다.
- (1.4.1) 일반사항
-
(1.5) 극단상황한계상태
- KDS 24 12 12의 표 4.1-1의 모든 적용 가능한 극단상황한계상태조합에 대해 검토한다.
- 극단상황한계상태에 대한 저항계수는 볼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1.0을 취한다.
- 내하력 설계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볼트 조인트는 극단상황한계상태에 대해 지압이음 형식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저항계수는 이 기준 4.1.4.2에 주어진 볼트 지압력에 대한 값을 적용한다.
(2) 피로 및 파단
- (2.1) 피로
- (2.1.1) 일반사항
- 피로는 하중유발피로와 변형유발피로로 분류된다.
- (2.1.2) 하중유발피로
- 적용강교량 구조상세에 대한 피로설계 시 고려하여야 할 응력은 활하중에 의해 발생된 응력범위이다.
- 전 길이에 걸쳐 전단연결재가 설치되고
- (2.1.1) 일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