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설계기준 54 10 10 댐 설계 조사
“
댐 조사 및 계획 기준
1. 일반사항
1.1 목적
- 댐 계획 수립 및 설계에 필요한 조사 계획 수립 및 현장 조사 등에 대한 체계적인 기준 제시
1.2 적용 범위
- 신규 댐 개발 또는 기존 댐 재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성 조사, 타당성 조사, 기본 계획, 기본 설계 및 실시 설계 등을 위한 댐 조사
1.3 참고 기준
1.3.1 관련 법규
- 농어촌정비법
- 댐건설・관리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댐건설관리법)
- 물관리기본법
- 수도법
-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수자원법)
- 하천법
1.3.2 관련 기준
- KDS 11 00 00 지반 설계기준
- KDS 51 00 00 하천 설계기준
- KDS 57 00 00 상수도 설계기준
- KDS 67 00 00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 KS F 2346 삼축압축시험에서 점성토의 비압밀, 비배수 강도시험 방법
1.4 용어의 정의
- 가설비(假設備): 댐 공사를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시설 및 설비
- 동수경사: 각 지점의 위치 수두와 압력 수두의 합을 수평 기준면에서 연직으로 나타낸 점을 연결한 선의 기울기
- 무인비행장치(드론) 측량: 무인비행장치(드론)로 촬영된 무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정사영상, 수치 표고 모델 및 수치 지형도 등을 제작하는 측량
- 비유사량: 단위 기간 및 단위 유역 면적당 토사 유출량 (tf/km2/yr)
- 수계(水系): 지표의 물이 모여서 흐르는 하천의 본류나 지류의 계통
- 오염 부하량: 유입수 내에 함유된 오염 물질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
- 유역 평균 폭: 유역 면적을 그 유역의 본류의 유로 연장으로 나눈 값
- 유역 형상 계수: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유역 형상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계수로서, 유역 평균 폭을 본류의 유로 연장으로 나눈 값
- 이설 도로: 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되거나 없어지는 기존 도로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이 설치하는 도로
- 파이핑(piping): 흙댐 또는 제방 등의 하류 단에서 동수경사가 한계를 넘어 흙이 침식되어 구멍이 뚫리는 현상
- 하상 계수(유량 변동 계수): 하천 내의 어느 지점에서 동일한 연도의 최소 유량에 대한 최대 유량의 비율
- 항공사진 측량: 항공사진 측량 방법에 의하여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지상 기준점 측량을 실시하여 얻은 평면 또는 표고 기준점 성과로 세부 도화를 실시하여 도화 원도를 취득하는 측량
- 항공 LiDAR 측량: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시스템을 항공기에 장착하여 레이저 펄스를 주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펄스를 수신, 처리하여 지표면에 대한 지형 정보를 추출하여 수치 지형도 등을 제작하는 측량
1.5 기호의 정의
- b: 댐 단면의 저폭 (m)
- e: 침투수가 통하는 지반의 간극비
- Gs: 침투수가 통하는 지반의 비중
- h: 댐 하류 수위와 저수지 수위와의 수두차 (m)
- l: 침투로 길이 (creep length, m)
- d: 차수벽 깊이 (m)
2. 조사 및 계획
2.1 댐 조사 계획의 수립
2.1.1 사업 계획의 확인
- 댐 사업 계획은 댐의 필요성, 경제성, 환경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결정
- 댐 사업 계획은 물관리기본법 제27조, 제28조에 따라 수립되는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유역물관리종합계획 및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8조에 따라 수립되는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이들 계획과의 일관성 확보 및 연계성을 유지
2.1.2 조사 계획
- 댐 조사 계획은 댐 건설을 위한 조사 목적, 추진 단계, 조사 대상 지역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수립
- 댐 조사는 입안, 계획, 설계 단계의 각 단계별 목적 및 수준에 따라 조사 내용, 조사 범위, 조사의 정밀도 등을 결정
- 조사 수행 방법에는 자료 수집과 청취, 답사, 현지 조사, 측량, 현장 실험과 현지 관측, 실내 실험 및 시공 실험 등이 있음
2.1.3 조사 계획 수립
- 댐의 조사 계획은 계획 조사, 기본 조사, 상세 조사 등의 과정을 거쳐 수립
- 계획 조사: 예비 조사에서부터 타당성 조사에 이르는 단계까지 필요한 사항을 조사
- 기존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 검토
- 댐 지점은 2~3개 후보지를 선정하고 이들 후보지에 대한 현지 답사와 상기 수집 자료를 기초로 하여 타당성 조사 시 댐 건설의 가능성 판단과 장·단점을 비교 검토하여 선정
- 기본 조사: 댐 건설의 가능성을 최종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댐 건설의 기술적이고도 기본적 사항인 기본 설계, 시공 및 개략 공사비 검토에 필요한 사항 등을 조사, 수집
- 상세 조사: 기본 조사를 통하여 결정된 기본 설계를 기초로 하여 실시 설계에 필요한 상세한 자료와 시공 및 공사비의 산정 검토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며 세부 지질 조사 등의 사항을 포함
- 기본 조사를 근거로 하여 질과 양 및 정밀도가 높은 설계를 하기 위해서 시행
- 계획 조사: 예비 조사에서부터 타당성 조사에 이르는 단계까지 필요한 사항을 조사
2.1.4 참고 문헌 및 자료의 수집
- 현지 조사에 앞서 댐 개발 계획과 관련된 상위 계획 또는 관련 계획, 기존의 참고 문헌 및 자료, 댐 지점 부근의 지질 특성, 댐 유역의 지형 특성 및 기상·수문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
- 계획 댐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자료를 수집하고 각 조사 단계의 수준을 고려하여 활용
- 지형도
- 지질도, 지사(地史)
- 토성도
- 수치 지도 및 지리 정보 시스템
- 조사 계획 수립 시의 세부 조사 항목 (계획,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보상, 환경 영향 평가, 인문 활동, 토목 공사지 등)과 관련된 자료 등
2.1.5 현지 답사
- 자료 수집 및 분석
- 현지 답사를 통하여 자료 수집이 끝나면 이들 자료를 기초로 현지의 지형, 지세, 유수(流水) 상황 등의 세부 상태를 관찰하여 기존 자료와 대조하고 필요시 보완 기입하여 현지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가 되도록 함
- 단애(斷崖), 하상(河床), 산복(山腹) 등의 암석이나 지층이 뚜렷하게 노출되어 있는 곳을 관찰하여 암석 종류, 지질 구조, 단층, 지층의 주향과 경사 등을 추정
- 댐 기초 지반에서 문제가 되는 풍화암, 투수성이 큰 자갈층, 화산 분출물, 하안 단구, 활동(滑動) 퇴적물 및 석회암과 같은 용해성 암석 등의 지반은 그 분포와 두께 등에 대하여 가능한 한 정확하게 추정
2.2 측량
2.2.1 측량 계획 수립
- 댐 건설을 위한 측량은 댐을 포함한 유역, 저수지 주변의 지형, 댐 위치 및 부근의 현황, 댐과 관련된 부대 시설, 댐 공사를 위한 임시 시설 등의 위치 및 현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작성
- 측량 결과에 따른 일반 지형도에는 지형, 지물, 지장물 및 기설치 구조물 등의 현황을 상세하게 표기하고, 댐 및 부대 시설, 진입 도로, 가설 건물, 사토장 및 석산, 재료원 등의 계획 시설물을 나타낼 수 있는 범위로 작성
- 댐 이외 부대 시설의 경우에 종·횡단 측량은 추진 단계, 목적에 맞게 선택하여 시행 가능
- 측량 항목 및 정도는 추진 단계 및 목적에 적합하게 정함
2.2.2 댐 부지 측량
- 측량 성과
- 댐 부지에 대한 측량으로 현황 측량, 종단 측량, 횡단 측량, 댐 상·하류의 하천 종·횡단 측량 등을 실시
- 현황 측량은 1/500~1/1,000 정도의 축척으로 하고, 댐 및 부대 시설 등을 표기할 수 있는 범위까지 실시
- 종단 측량은 최종 결정된 댐축에 대하여 댐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안의 굴착 및 계획 시설물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범위까지 실시
- 횡단 측량은 댐축의 직각 방향으로 댐체의 상·하류 끝단 위치, 가물막이, 공사용 도로 등 부대 시설을 포함할 수 있는 범위까지 실시
- 댐 상·하류에 대한 하천 종·횡단 측량은 배수위 또는 방수위 계산이 필요한 본류 및 지류에 대하여 실시
- 댐 부지에 대한 측량은 필요시 항공사진, 항공 LiDAR 또는 무인비행장치(드론) 측량 등 정확성이 검증된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 가능
- 댐 부지에 대한 측량으로 현황 측량, 종단 측량, 횡단 측량, 댐 상·하류의 하천 종·횡단 측량 등을 실시
2.2.3 저수지 측량
- 측량 범위
- 저수지 측량은 댐을 중심으로 저수지 규모, 각종 시설물 배치, 도로 계획, 보상 범위 등을 포함하는 지역까지 실시하고 설계에 필요한 정도를 갖는 등고선도를 작성
- 측량의 범위는 댐 지역과 그 주변 지역을 포함
- 저수지 측량 시 정기적인 저수지 퇴사량 측정을 위하여 대표 횡단 지점을 선정하고 표석을 설치
- 측량 방법
- 저수지 측량은 노력, 시간, 경비를 최소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해야 하지만 가급적 삼각 측량을 기준으로 시행하며, 대규모 저수지의 경우에는 항공사진, 항공 LiDAR 또는 무인비행장치(드론) 등의 측량 성과를 사용 가능
- 트래버스 측선은 삼각망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삼각점과 연결
- 저수지 측량에 의한 지형도 작성 시 축척은 저수지 면적에 따라 표 2.2-1의 범위 내에서 정하고 A1 규격의 용지에 표기될 수 있는 크기로 함
| 면 적 | 축 척 |
|—|—|
| 1.0km2 초과 | 1/2,000~1/5,000 |
| 0.5km2~1.0km2 | 1/1,000~1/2,000 |
| 0.5km2 미만 | 1/500~1/1,000 |
2.2.4 가설비 및 이설 도로 부지 측량
- 가설비(假設備)의 합리적인 배치 및 설치 공사를 위한 측량은 가설비 시설별 기능과 목적에 부합되는 정도로 시행
- 가설비 부지 측량은 댐 지점의 상·하류부에 걸쳐서 좌·우안의 지형, 지물의 특성, 가용 면적, 공사용 설비 및 가설비 등의 배치 계획을 고려하여 수행
- 저수지 주변에 개설되는 이설 도로는 도로의 구조 시설 기준 및 농어촌 도로 구조 시설 기준에 따라 설치하므로 주변 경관과 조화되도록 노선과 도로 단면 계획을 고려하여 측량을 시행
2.3 기상·수문 조사
2.3.1 관측소의 설치
- 관측 일반
- 기상·수문 조사에서는 댐 후보 지점의 기상 및 수문 관측 기기 (기온, 강수량, 하천 수위, 하천 유량, 수온 등)를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설치하며 설계, 시공 및 관리하는 기간을 통하여 기상 및 수문 관측을 계속 실시해야 함
- 특히 댐 건설에 따른 기상 변화의 관측을 위해서 댐 지점 및 상·하류에 1개소씩 최소 3개소 이상의 기상 및 수문 관측 시설이 필요
- 기상·수문 관측소의 자료는 저수량(貯水量) 및 사용 수량 확인, 제체의 시공 계획 수립, 여수로 및 가배수로의 설계 홍수량 결정뿐만 아니라 댐의 계획·설계·시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검증 자료가 됨
- 관측 항목으로는 기온, 증발량, 강수량, 하천 수위, 유량 및 수온 등이 있으며, 가능한 한 원격 관측 (Telemetering, TM) 시설로 관측
- 하천 수위 및 유량 측정 지점은 사전 조사를 토대로 적합한 위치를 선정
- 강수량
- 강수량 관측 자료는 유역 면적이 작은 댐은 댐 유역을 포함해서 유역 평균 강수량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의 모든 자료를 수집
- 유역 면적이 100km2 이상인 댐은 유역 특성을 고려하여 30km2에 1점 이상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필요에 따라 관측소를 추가로 설치하여 자료를 수집
- 관측소는 댐 유역 내의 평균 표고 부근에 1점, 나머지는 이를 둘러싼 형태로 가능한 한 균등히 분포되도록 배치
- 우량계는 정밀도가 보장되는 자기 우량계를 사용
- 관측기는 기관별 (기상청, 국토 교통부 등) 업무 특성에 따라 사용하고 있는 기종이 상이함에 따라 설치 목적에 적합한 사양의 관측기를 사용
- 설치하는 관측기는 기상 관측 표준화법 및 하천법에 의하여 검정·합격된 것이어야 함
- 겨울철에 적설이 있는 유역에서는 장래 정밀한 자기 설량계가 개발될 때까지는 히터식의 우·설량계를 배치
- 수문 관측소는 댐 조사뿐만 아니라 댐의 유지 관리를 위한 시설로도 활용 가능
- 하천 수위 및 유량
- 하천 수위 및 유량 관측소의 설치 위치
- 댐 공사로 인한 지형의 변경, 가배수로 설치에 의한 유황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댐에 가깝게 설치
- 상당 구간에 걸쳐 유로가 직선적이고 경사가 일정하며, 하천의 단면 변화가 작은 구간을 선정
- 여수로의 감세공 설계에 필요한 하류 수위를 측정하기 좋은 지점을 선정
- 댐 지점에서의 수위-유량 관계 곡선 작성이 가능하도록 갈수, 저수, 평수 및 홍수 유량 측정이 가능한 지점을 선정
- 자료의 생명 주기 연장 및 지속적인 품질 관리 측면에서 댐 건설 후에도 관측 자료로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점을 선정
- 수위계는 자기 수위계로서 원격 관측 시설이어야 함
- 수위계 종류에는 부표식(浮漂式)과 압력식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원리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은 기종을 선택
- 동절기에 얼음이 발생하는 지역에 수위계를 설치할 경우에는 관측기 이중화를 통하여 동절기에도 자료 확보가 가능하도록 함
- 하천 수위 및 유량 관측소의 설치 위치
2.3.2 기상·수문 자료 수집
- 기온, 증발량, 풍향 및 풍속, 일조 시간, 습도, 표고 및 위도, 천기 일수 (강수, 강설, 맑음, 흐림, 안개, 서리, 결빙, 적설 등) 등의 기상 자료를 수집하여 수문 분석, 시공 계획 수립 등에 활용
- 가용 수자원과 각종 사용 수량의 결정, 수문 분석, 댐 및 각종 구조물 설계 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강수량, 하천 수위와 유량, 기왕의 홍수 및 호우의 규모와 빈도 자료 등을 수집
- 댐 계획, 공사비 산정, 시공 방법 등에 이용되는 투수 계수, 침투수, 지하수위, 지층 구조 및 토질 분포 등의 자료를 수집
- 기설 관측소의 관측 자료는 영구히 잘 보존하고 필요한 자료는 댐이 준공된 이후까지도 계속 관측을 실시
- 기상 자료 중에서 기온, 풍향 및 풍속, 하천의 수온 등은 매일 1회 정도 측정하고 강수량은 월별 및 연간은 물론이고 설계 강우량 및 설계 홍수량 산정에 필요한 다양한 지속 시간별 강우 자료를 얻을 수 있어야 함
2.3.3 저수 용량 조사
- 저수지의 저수 용량은 기상 및 수문 조건과 유역 상태로부터 발생 가능한 유량, 댐 건설 목적, 조절 기능 등을 고려하여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저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규모로 계획
- 저수지 규모는 유입량 및 방류량의 관계와 침투량, 증발량, 퇴사량 및 취수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
2.3.4 퇴사량 조사
- 퇴사에 영향을 미치는 유역 면적, 지세, 지질 상황 등과 함께 부근의 유사한 실적 (기존 댐 실적)을 조사하여 퇴사량을 추정
- 퇴사량은 지역별로 지형, 지질, 유역 면적, 하천 경사 등의 퇴사 인자와 실측 자료와의 상관성 규명을 통해 도출한 경험식 (도표) 등을 고려하여 추정
- 댐 설계에 필요한 저수지 퇴사량은 다음과 같은 방법 중에서 현지 여건 및 유역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법으로 추정
- 유량-유사량 곡선 이용법
- 유역 내의 저수지 퇴사 자료 이용법
- 경험 공식에 의한 방법
- 타 유역의 비유사량 이용법
2.4 수질 조사
2.4.1 계획 수립
- 댐 건설 전 수질 및 오염원 조사와 댐 건설 이후 오염원의 변화를 검토
- 수질 조사의 공간적 범위는 사업 대상 지역 및 댐 유역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는 댐 건설 전 하천의 모든 상황을 그 범위로 함
- 댐 건설 전·후 댐의 수질을 대표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지점 (댐 지점, 상류, 하류)를 선정하고 지속적인 관측 계획을 수립
2.4.2 수질 조사 및 대책 검토
- 수질 조사는 공공 수역에서 하천수의 수질과 관련된 환경 기준의 유지 여부와 달성 기준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 지점을 선정하고, 수질 및 유량을 동시에 관측함으로써 수질 현황 분석과 댐 건설 후의 수질을 예측하여 대책을 검토
- 해당 지역의 예비 수질 조사는 기존 자료의 활용과 현지 답사를 통하여 파악하며, 환경부와 광역 및 기초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를 이용
- 수질 조사
- 수질 조사는 먼저 조사 지점의 선정, 수위·유량 관측, 분석 방법 등으로 나누어지며 원수의 분석 항목, 채수 지점, 채수 방법, 조사 시기, 채수 시 고려할 사항 등을 검토하여 실시
- 조사 지점은 댐 예정지의 하천과 유역의 수질 상황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곳을 선정
- 오염원 및 오염 부하량 조사
- 오염원 및 오염 부하량 조사는 자료 수집과 현지 답사를 통해 댐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 상황을 조사하고, 수질 조사 결과 등에 의해서 각 오염 물질의 부하량을 파악
- 오염원 조사 시 필요에 따라서 자연 환경, 토지 이용 상황, 하상 상황, 이수 상황, 산업 활동, 하수도 정비 상황, 지역의 장래 계획 같은 항목에 대한 자료를 장기간 수집·조사
- 유역의 수질 예측은 오염원의 오염 부하량 조사 자료를 검토하여 현재 수계의 수질 오염 현황을 양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해당 유역의 개발 계획 등을 고려하여 장래의 수질 오염을 검토
- 수질 오염 예측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댐의 건설에 의해 이루어지는 환경의 변화 즉, 용수, 수질, 하천 유지 관리 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때는 다음 사항을 검토
- 선택 취수의 여부
- 하수로 인한 수질 오염이 심한 경우에 대한 하수도 등의 정비
- 산업 폐수가 문제가 될 경우에 환경 보전법의 규정에 따른 규제 강화
- 광산, 온천 지역 등에서의 폐수의 전처리 시설 또는 중화 처리장의 건설
2.5 유역 현황 조사
2.5.1 조사 사항
- 댐이 건설될 지점을 포함하는 유역의 지형 조사와 유역 특성 및 하천 형태 조사를 통해 하천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
2.5.2 유역 특성 조사
- 유역 특성 인자 조사
- 유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조사
- 유역 면적
- 유역 평균 경사
- 유역의 방향성
- 유역 평균 표고
- 기타 유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인자
- 유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조사
- 유역 형상 조사
- 유역 전반에 대하여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
- 유역 형상의 분류 및 특징
- 유역 평균 폭
- 유역 형상 계수
- 유역 밀집도
- 기타 유역 형상에 관련된 사항
- 유역 전반에 대하여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
- 수계 조사
- 조사 대상 유역의 유수 소통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
- 하천망도 및 배수 계통도
- 수로 종·횡단의 형태
- 하천 수량 상태
- 기타 수계에 관련된 사항
- 조사 대상 유역의 유수 소통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
- 기타 조사: 댐 유역의 토사 유실 및 탁수 발생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수중 생태계 파괴, 상수원 오염 및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없도록 함
2.5.3 지형 조사
- 계획 수립
- 지형 조사는 저수 용량이나 댐 등의 제원 결정과 댐의 안전을 위한 기초 지반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필요하며 목적에 일치하도록 조사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
- 지형 조사 결과는 지질과 함께 댐 위치와 형식을 선정할 때 중요한 요건으로 활용됨
- 조사 계획
- 댐 조사의 초기 단계에서는 지층 및 단층, 산사태, 저수지 내 함몰, 누수 등 댐 축조에 있어서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을 밝혀 둠
- 시공 단계에서 댐 지점이나 저수지 주변의 지질 문제로 인하여 사업 계획이 크게 변경되지 않도록 면밀한 조사 계획을 수립
- 지형 조사에서는 댐의 타당성 조사, 기본 설계, 실시 설계, 시공 등의 각 단계마다 조사 목적에 부합되는 정밀한 지형도를 댐 특성에 맞도록 작성
- 유역의 지형도 및 항공사진 조사
- 유역도와 수계도는 그 지역의 지형 형상과 개략적인 선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행 단계에 따라 적정한 축척의 수치 지도, 항공 및 위성 사진 등을 이용하여 작성
- 유역의 지형 자료 조사
- 초기 계획 조사에서는 저수지 용량 산정, 댐 및 부대 시설의 배치, 이설 도로 및 공사용 도로의 계획, 용지 매수 보상 물건의 개략 조사, 저수지 주변 지질 조사 및 석산 등 축제 재료의 조사를 위해서 저수지를 중심으로 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지역에 대하여 유역의 지형을 조사
- 저수지 및 그 주변의 지형 자료 조사
- 조사의 범위: 댐, 여수로, 방수로 위치 등에 대해서 비교 설계를 고려할 경우에는 이들 후보지를 포함한 범위까지 조사
- 지형의 표시: 저수지의 규모에 따라 등고선의 주곡선은 1m, 2m, 5m 간격을 취함
- 댐 위치 및 그 주변 지형 자료 조사
- 제체의 성토량, 기초의 굴착, 되메우기량을 계산하여 발전소, 여수로, 취수 설비 그 밖의 부대 시설 및 가설비의 설계를 하는데 필요한 지역에 대해서는 정밀한 지형도를 사용
- 댐 부근 지형 자료에는 댐 위치뿐만 아니라 발전소, 여수로, 취수 설비, 가물막이, 가배수로, 관리 사무소, 공사용 도로 등의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점의 상·하류에 걸쳐 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모든 지역을 포함하도록 함
- 지형도의 축척은 1/500~1/1,000으로 하고 등고선 간격은 1m로 함
2.5.4 지형 분류 조사
- 1/25,000 축척의 지형도 또는 그 이상의 정밀도를 갖는 등고선 지형도나 항공사진 등을 이용하여 지형을 분류하고 계획 댐 위치가 댐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
- 댐 후보지의 지형, 지질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에서도 이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하며, 토목 시공 시 대형 기계화에 따른 굴착 사면 불안정화 우려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토목 시공 제한 인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
- 조사 방법
- 지형 분류 조사에서는 댐 계획 초기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수행하며, 구체적 진행 방법이나 순서는 댐 구조물과 지형 지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함
- 지형 분류 조사에서는 정밀도가 높은 등고선 지형도의 계측, 독도(讀圖), 항공사진 실체 시 및 지질 조사에 의해서 지형의 형태적 특징으로부터 지형이 만들어진 원인을 판정하고 지형면을 분류
- 일반적으로 저수지 계획의 대상이 되는 하곡은 신생대 이후 미고결 암반에서의 활발한 침식 작용에 의해 상향의 인장 파괴를 형성하기 쉬우며, 불연속면이나 절리군의 균열을 통해 풍화 작용이 암반 내부로 진행되어 사면 붕괴의 요인이 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함
2.5.5 하천 형태 조사
- 하천 특성 인자 조사
- 하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조사
- 유로 연장
- 하상 경사
- 하천 밀도
- 하상 계수 (유량 변동 계수)
- 기타 하천 특성에 관련된 사항
- 하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조사
- 하천 유역 지형 조사
- 수계 전체의 지형학적 발달 과정을 판단할 수 있는 하천 지형을 조사
- 하천 유역 지형은 하천을 유년기, 장년기, 노년기로 구분하여 조사
- 하천 사행 특성 조사
- 하천의 기하학적 인자 및 사행 특성을 조사
- 하천 사행 특성 조사 자료는 하도 계획이나 설계 시에 활용
- 위 조사 항목에 언급되지 않았지만 정량적으로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추가하여 조사 가능
2.6 지질 및 지반 조사
2.6.1 조사 일반
- 구조물과 관련된 기초의 지질 조건과 지질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재료원의 분포 현황 및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구조물의 설계를 위하여 지질 및 지반 조사를 시행
- 조사 사항 및 순서
- 지질 및 지반 조사는 크게 댐 부지에 대한 기초 지반 조사, 저수지 주변 조사, 제체 재료 조사 및 각종 시험 등으로 나누어 실시
- 조사는 댐의 계획 단계에 맞추어 계획 조사, 기본 조사, 상세 조사 등의 순으로 실시하며 조사 항목, 조사 방법, 조사 정밀도 등도 이에 따라 결정
- 댐의 지질 및 지반 조사를 시행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자료를 수집하고 검토
- 지형도 및 항공 사진: 저수 용량 및 댐 규모의 개략적인 결정, 산사태 및 붕괴 지점의 예측, 지질 분포 및 지질 구조의 추정 등에 이용
- 지질도: 암질 및 지질 구조를 분석하고 기초 지반의 강도, 투수성 재료의 분포와 성질 등의 개요를 파악하는데 이용
- 토성도, 토양도: 표토의 두께, 토질 재료의 성질 등을 추정하는데 이용
- 기타 자료: 산사태 분포도에 따라 산사태 방지 구역 지정의 유무를 조사하고 단층 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