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설계기준 수원과 저수시설 설계기준
“
건설 시방서 – 수원 및 저수시설
1. 수원
1.1 강수특성과 수원확보
-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7mm (1973-2011년 평균)로 세계 평균의 1.6배이나, 인구 1인당 강수량은 세계 평균의 1/6 수준.
- 따라서 물 수요 관리 및 효율적인 물 이용이 중요하다.
- 연간 강수량의 3/2가 6-9월에 집중되어 계절적 편중 현상을 보임.
- 안정적인 급수 확보를 위해 연중 계획 취수량을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수원 확보가 필수.
-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며 저수 시설 확보 노력 필요.
- 지하수나 하천 표류수를 이용 가능한 경우 저수 시설 설치 불필요.
- 신규 지표수 취수 시 기존 수리권과의 경합 문제 발생 가능하며 저수 시설 건설 필요.
- 전용댐 설치 또는 다목적댐 건설 계획 참여를 통해 취수량 확보 가능.
1.2 수원의 종류와 특성
- 상수도 수원 선정 시 수원 종류와 특성을 고려해야 함.
- 지표수:
- 하천수
- 호소수
- 지하수:
- 표층 지하수 (얕은 우물)
- 심층 지하수 (깊은 우물)
- 용천수
- 복류수:
- 복류수
- 강변 여과수
- 기타:
- 빗물
- 해수
- 지표수:
1.3 수원의 선정
- 수원 종류에 따른 취수 지점 선정 시 다음 사항 고려:
- 수원으로서의 구비 요건 충족
- 수리권 확보 가능 여부
- 상수도 시설 건설 및 유지 관리 용이성과 안전성
- 상수도 시설 건설비 및 유지 관리비 저렴성
- 장래 확장 가능성 (수량, 수리권, 수질, 용지 확보)
- 상수원 보호 구역 지정 및 수질 오염 방지 및 관리 용이성
1.4 수원의 구비 요건
- 수원 선정 시 다음 구비 요건 조사:
- 풍부한 수량
- 양호한 수질
- 높은 위치 (가능한 한)
- 수돗물 소비지와 가까운 위치 (가능한 한)
2. 저수시설
2.1 총칙
- 안정적인 급수 확보를 위한 연중 계획 취수량 안정 확보 필수.
- 풍부한 지하수나 하천 표류수 이용 가능 시 저수 시설 설치 불필요.
- 신규 지표수 취수 시 저수 시설 건설을 통한 수자원 개발 필요.
- 전용 저수 시설 설치 또는 다목적댐 건설 계획 참여를 통한 취수량 확보.
2.1.1 저수시설의 역할과 설치 조건
- 댐 시설은 풍수 시 물을 저류하여 강수량 변동을 흡수하고 취수 안정성 확보.
- 입지 조건, 저수 용량, 계획 취수량, 경제성 검토 필요.
2.1.2 설치 장소
- 저류수 수질이 청정하고 장래에도 오염 가능성이 적은 곳이 바람직.
- 부득이 수질이 양호하지 않은 곳에 설치할 경우 유역의 환경 오염원 조사 및 장래 수질 예측 필요.
- 부영양화 방지 등 수질 보전 대책 강구 필요.
- 댐 시설 주변 유입 오염 부하량 감시 및 저수지 내 폭기 순환 설비, 선택 취수 설비 설치 운영 필요.
2.1.3 환경에 대한 고려
- 댐 건설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 충분히 검토하여 주변 지역 환경 악화 방지.
- 환경 변화 발생 가능성 고려 및 환경보전을 위한 조치 필요.
- 환경 정책 기본법에 따른 사전 환경성 검토 필요.
- 환경 영향 평가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 (만수 면적 200만 m2 이상 또는 총 저수 용량 2,000만 m3 이상) 사업에 대한 환경 영향 평가 실시.
- 법률 제외 사업이라도 지역 사정 반영 필요.
- 댐 건설 시 부영양화 예측 및 지형 변화에 의한 환경 영향 평가 필요.
- 하천법, 자연환경보전법, 자연공원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규 및 지방 자치 단체 조례 준수.
2.1.4 위치, 종류 및 구조
- 풍수 시 물을 저수지에 저류하고 하천 유량 감소 시 저류수를 보급하는 방식.
- 전용 저수 시설 (상수원 호소): 수도 용수 신규 개발 목적으로 건설.
- 저수지에서 직접 취수 또는 하천 방류 후 하류에서 취수.
- 다목적 저수 시설: 수도, 홍수 조절, 발전, 관개, 공업 용수도 등의 복합 목적.
- 하천 관리자의 수자원 장기 종합 계획, 하천 기본 계획과의 부합성 확보.
- 계획 단계부터 관계 기관 (특히 하천 관리자)과 협의 필요.
2.2 저수시설의 형식
- 계획 취수량, 장래 수질, 설치 지점, 구조 안정성, 경제성, 환경 영향 고려하여 형식 선정.
2.3 저수시설의 개량과 갱신
- 계획적인 개량 및 갱신:
- 경제성 고려한 유입 토사 대책 강구.
- 댐 등 공작물의 견고성 유지 및 계측 데이터, 조사 자료 기반 보수, 보강 실시.
- 부속 기기류의 조작성, 신뢰성 확보 및 노후화 방지.
- 계획적인 개량 및 갱신을 통한 적정 운영 유지.
2.4 저수시설의 계획에 필요한 조사
- 다음 항목에 대한 조사:
- 수문
- 지형 및 지질
- 물 이용 상황
- 수질
- 퇴사
- 보상 등
- 환경 영향
- 기타
2.5 계획 기준년
- 계획 취수량 확보에 필요한 저수 용량 결정 시 기준년은 10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기준.
2.6 저수시설의 유효 저수량 결정
- 다음 항목을 기반으로 결정:
- 계획 기준년 물수지 계산 (저수 시설 지점의 하천 유량과 계획 취수량의 차)
- 계획 취수량 확실한 확보 및 하천 유수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
- 추운 지역의 경우 취수 지점 결빙 영향 고려.
2.7 구조상의 조건
- 댐 형식은 지형, 지질, 수리적 조건, 축조 재료 고려하여 선정.
- 댐 기초 지반: 지질 특성, 지지 지층 두께, 경사, 투수성 단층, 균열 등 검토.
- 여수로: 설계 홍수 유량 처리 가능한 규모, 형식, 배치 적용하여 안전성 확보.
- 방류 설비: 고수압 조작 가능하도록 댐 제체와 결합성 확보 및 하류 부에 악영향 없는 구조.
- 댐 제체 구조: 형식, 기초 지반, 여수로 등 고려하여 수밀성, 내구성, 안전성 확보.
2.8 수질 보전 대책
- 수질 오염 가능성 예측 시 수질 보전 대책 강구.
2.9 다목적 저수 시설
- 다목적 저수 시설 계획 참여 시 다음 사항 고려:
- 상수도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 주체 및 다른 부문과의 협의 조정.
- 다수 사업자 참여 시 취수 시설 공동화 검토.
- 용량 배분: 각 목적의 효과가 종합적으로 발휘되도록 계획 통합 조정.
- 관리: 사업 목표 달성 및 원활한 관리를 위한 사업 주체 및 다른 부문과의 협의 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