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농업 수질 및 환경 저수지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목적

(1) 이 코드는 농어촌정비법에 근거한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으로 축조, 개수 또는 보수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계획, 설계, 시공 및 관리에 있어 준수해야 할 일반적 사항, 표준적 규범을 규정하여 기술수준의 양상과 친환경 설계의 체계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1.2 적용범위

(1) 이 코드의 적용범위는 댐 높이에 제한을 두지 않고 농촌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농업용저수지에 대하여 적용한다.
(2) 기준내용은 기술수준의 향상 또는 기타 필요에 따라 개정하여 시행하며, 적용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술 심의 및 자문 등으로 실무지침을 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1.3 참고 기준

·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 설계기준, 2002 : 필댐편
·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 설계기준, 2008 : 친환경편

1.4 용어의 정의

· 내용 없음

1.5 기호의 정의

· 내용 없음

1.6 저수지의 취급 범위

(1) 저수지편에서 취급 범위는 제체 부분(저수지 하류의 습지 포함)에 대한 환경배려 공법과 저수지내 준설, 제체와 배후지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수변공간을 포함하는 영역을 대상으로 한다.

1.7 저수지의 구조

(1)  저수지는 물의 흐름을 막는 제체(제방)와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문과 취수탑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요 이상(잉여)의 물을 안전하게 저수지 밖으로 배제할 목적으로 제방의 일부를 낮게 한 구간을 두어 여수로(spillway) 등의 배수설비를 만들어 물을 배제한다.
(2) 물과 육지가 만나는 연안영역의 수변공간은 생물의 서식과 이동통로 역할을 하는 곳으로 친수환경조성과 생태학습장으로 중요하다.

1.8 저수지의 특징

(1) 저수지는 축조되어 오랜 기간을 지내오면서 작물 재배와 인간과 지역생태계와 함께 다양한 문화와 생물 종의 다양성을 확보하면서 형성된 역사를 가진 시설이다.
(2) 한편 인간 활동으로 환경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식물, 수생곤충, 어류, 양서류, 조류 등이 서식하는 2차적 자연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1.9 저수지의 분류

(1) 저수지는 지형조건 형태에 따라 계곡형 저수지와 접시형 저수지로 구분된다.
(2) 계곡형 저수지는 산간부, 구릉지와 같은 하천 상류부에 많이 위치한다.(3) 접시형 저수지는 평야부(하류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4) 각각의 입지조건, 식생, 수질(영양도) 등의 차이에 따라 서식하는 식물, 동물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인다.

1.10 저수지의 다원적 기능

(1) 저수지는 용수공급기능(用水供給機能) 즉 이수기능(利水機能)에 더하여 방재기능, 저수기능, 수자원 함양기능, 친수기능, 환경보전기능, 관광자원으로서의 기능과 다양한 생물종 확보 기능 등의 다원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1.11 저수지 유지관리 현상

(1) 유지관리에 대한 관심결여, 농촌 일손부족, 농업인구의 고령화, 관리체계의 변화, 주인의식 결여는 유지관리에서 주로 풀베기 등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물 빼기, 준설 등은 감소 경향에 있다.
(2) 농업수리시설의 노후화와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따른 국지적인 호우와 태풍 등의 피해가 커져가는 추세에 있어 재해방지를 위한 풀베기는 물론 주기적인 물 빼기와 준설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저수지의 저수용량 확보는 물론 친수공간의 확보와 제방의 안전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1.12 생물의 서식공간으로서 저수지의 특징

(1) 저수지는 호소와 비교하여 규모와 수역면적이 적고 수심도 얕아 영농활동에 따라 인위적으로 수위가 변함으로써 다변하는 환경을 형성한다. 또한 경사가 완만한 수변 등이 저수지주변에 분포하여 수초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저수지는 수생곤충, 어류, 양서류, 조류 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과 생활공간이 되고 있다.

2. 조사 및 계획

· 내용 없음

3. 재료

· 내용 없음

4. 설계

· 내용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