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설계기준 수원과 저수시설 설계기준

건설 시방서 – 수원 및 저수시설

1. 수원

1.1 강수특성과 수원확보

  •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7mm (1973-2011년 평균)로 세계 평균의 1.6배이나, 인구 1인당 강수량은 세계 평균의 1/6 수준.
  • 따라서 물 수요 관리 및 효율적인 물 이용이 중요하다.
  • 연간 강수량의 3/2가 6-9월에 집중되어 계절적 편중 현상을 보임.
  • 안정적인 급수 확보를 위해 연중 계획 취수량을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수원 확보가 필수.
  •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며 저수 시설 확보 노력 필요.
  • 지하수나 하천 표류수를 이용 가능한 경우 저수 시설 설치 불필요.
  • 신규 지표수 취수 시 기존 수리권과의 경합 문제 발생 가능하며 저수 시설 건설 필요.
  • 전용댐 설치 또는 다목적댐 건설 계획 참여를 통해 취수량 확보 가능.

1.2 수원의 종류와 특성

  • 상수도 수원 선정 시 수원 종류와 특성을 고려해야 함.
    • 지표수:
      • 하천수
      • 호소수
    • 지하수:
      • 표층 지하수 (얕은 우물)
      • 심층 지하수 (깊은 우물)
      • 용천수
    • 복류수:
      • 복류수
      • 강변 여과수
    • 기타:
      • 빗물
      • 해수

1.3 수원의 선정

  • 수원 종류에 따른 취수 지점 선정 시 다음 사항 고려:
    1. 수원으로서의 구비 요건 충족
    2. 수리권 확보 가능 여부
    3. 상수도 시설 건설 및 유지 관리 용이성과 안전성
    4. 상수도 시설 건설비 및 유지 관리비 저렴성
    5. 장래 확장 가능성 (수량, 수리권, 수질, 용지 확보)
    6. 상수원 보호 구역 지정 및 수질 오염 방지 및 관리 용이성

1.4 수원의 구비 요건

  • 수원 선정 시 다음 구비 요건 조사:
    1. 풍부한 수량
    2. 양호한 수질
    3. 높은 위치 (가능한 한)
    4. 수돗물 소비지와 가까운 위치 (가능한 한)

2. 저수시설

2.1 총칙

  • 안정적인 급수 확보를 위한 연중 계획 취수량 안정 확보 필수.
  • 풍부한 지하수나 하천 표류수 이용 가능 시 저수 시설 설치 불필요.
  • 신규 지표수 취수 시 저수 시설 건설을 통한 수자원 개발 필요.
  • 전용 저수 시설 설치 또는 다목적댐 건설 계획 참여를 통한 취수량 확보.

2.1.1 저수시설의 역할과 설치 조건

  • 댐 시설은 풍수 시 물을 저류하여 강수량 변동을 흡수하고 취수 안정성 확보.
  • 입지 조건, 저수 용량, 계획 취수량, 경제성 검토 필요.

2.1.2 설치 장소

  • 저류수 수질이 청정하고 장래에도 오염 가능성이 적은 곳이 바람직.
  • 부득이 수질이 양호하지 않은 곳에 설치할 경우 유역의 환경 오염원 조사 및 장래 수질 예측 필요.
  • 부영양화 방지 등 수질 보전 대책 강구 필요.
  • 댐 시설 주변 유입 오염 부하량 감시 및 저수지 내 폭기 순환 설비, 선택 취수 설비 설치 운영 필요.

2.1.3 환경에 대한 고려

  • 댐 건설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 충분히 검토하여 주변 지역 환경 악화 방지.
  • 환경 변화 발생 가능성 고려 및 환경보전을 위한 조치 필요.
  • 환경 정책 기본법에 따른 사전 환경성 검토 필요.
  • 환경 영향 평가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 (만수 면적 200만 m2 이상 또는 총 저수 용량 2,000만 m3 이상) 사업에 대한 환경 영향 평가 실시.
  • 법률 제외 사업이라도 지역 사정 반영 필요.
  • 댐 건설 시 부영양화 예측 및 지형 변화에 의한 환경 영향 평가 필요.
  • 하천법, 자연환경보전법, 자연공원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규 및 지방 자치 단체 조례 준수.

2.1.4 위치, 종류 및 구조

  • 풍수 시 물을 저수지에 저류하고 하천 유량 감소 시 저류수를 보급하는 방식.
  • 전용 저수 시설 (상수원 호소): 수도 용수 신규 개발 목적으로 건설.
    • 저수지에서 직접 취수 또는 하천 방류 후 하류에서 취수.
  • 다목적 저수 시설: 수도, 홍수 조절, 발전, 관개, 공업 용수도 등의 복합 목적.
  • 하천 관리자의 수자원 장기 종합 계획, 하천 기본 계획과의 부합성 확보.
  • 계획 단계부터 관계 기관 (특히 하천 관리자)과 협의 필요.

2.2 저수시설의 형식

  • 계획 취수량, 장래 수질, 설치 지점, 구조 안정성, 경제성, 환경 영향 고려하여 형식 선정.

2.3 저수시설의 개량과 갱신

  • 계획적인 개량 및 갱신:
    • 경제성 고려한 유입 토사 대책 강구.
    • 댐 등 공작물의 견고성 유지 및 계측 데이터, 조사 자료 기반 보수, 보강 실시.
    • 부속 기기류의 조작성, 신뢰성 확보 및 노후화 방지.
    • 계획적인 개량 및 갱신을 통한 적정 운영 유지.

2.4 저수시설의 계획에 필요한 조사

  • 다음 항목에 대한 조사:
    1. 수문
    2. 지형 및 지질
    3. 물 이용 상황
    4. 수질
    5. 퇴사
    6. 보상 등
    7. 환경 영향
    8. 기타

2.5 계획 기준년

  • 계획 취수량 확보에 필요한 저수 용량 결정 시 기준년은 10개년에 제1위 정도의 갈수를 기준.

2.6 저수시설의 유효 저수량 결정

  • 다음 항목을 기반으로 결정:
    1. 계획 기준년 물수지 계산 (저수 시설 지점의 하천 유량과 계획 취수량의 차)
    2. 계획 취수량 확실한 확보 및 하천 유수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
    3. 추운 지역의 경우 취수 지점 결빙 영향 고려.

2.7 구조상의 조건

  • 댐 형식은 지형, 지질, 수리적 조건, 축조 재료 고려하여 선정.
  • 댐 기초 지반: 지질 특성, 지지 지층 두께, 경사, 투수성 단층, 균열 등 검토.
  • 여수로: 설계 홍수 유량 처리 가능한 규모, 형식, 배치 적용하여 안전성 확보.
  • 방류 설비: 고수압 조작 가능하도록 댐 제체와 결합성 확보 및 하류 부에 악영향 없는 구조.
  • 댐 제체 구조: 형식, 기초 지반, 여수로 등 고려하여 수밀성, 내구성, 안전성 확보.

2.8 수질 보전 대책

  • 수질 오염 가능성 예측 시 수질 보전 대책 강구.

2.9 다목적 저수 시설

  • 다목적 저수 시설 계획 참여 시 다음 사항 고려:
    1. 상수도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 주체 및 다른 부문과의 협의 조정.
    2. 다수 사업자 참여 시 취수 시설 공동화 검토.
    3. 용량 배분: 각 목적의 효과가 종합적으로 발휘되도록 계획 통합 조정.
    4. 관리: 사업 목표 달성 및 원활한 관리를 위한 사업 주체 및 다른 부문과의 협의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