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31 75 10 감시제어설비(전기분야)

1. 일반사항

1.1 목적

(1) 이 기준은 건축물 내에 시설되는 각종 설비의 감시․제어를 위한 표준적 설계방법을 제공하여 합리적인 계획, 설계를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1.2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감시제어설비 중 건물자동제어설비, 계장제어설비, 주차관제설비, 호텔객실관리설비 등에 적용한다.

1.3 참고 기준

1.3.1 관련 법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건축법령, 건설산업기본법령, 건설기술진흥법령, 주택법령·산업표준화법령·승강기시설안전관리법령·에너지이용합리화법령·주차장법령·전기사업법령, 전기공사업법령, 전력기술관리법령·전파법령·정보통신공사업법령·지진․화산재해대책법·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령·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

1.3.2 관련 기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국토교통부)·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접지설비․구내통신설비․선로설비 및 통신공동구 등에 대한 기술기준(과학기술정보통신부)·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원부)·KDS 31 10 20(건축전기설비 일반사항, 국토교통부)·KDS 41 17 00(건축물 내진설계기준, 국토교통부)

1.3.3 참조 표준

1.3.3.1 건물자동제어설비

·KS C IEC 60364     저압전기설비·KS C IEC 60614-1-A 전기설비용 전선관·KS C IEC 60794     광섬유 케이블·KS C IEC 60870     원격제어 장비 및 시스템·KS C IEC 61000     전기자기적합성(EMC)·KS C IEC 61158     계측제어를위한 디지털 데이터통신·KS C IEC 61754     광섬유 커넥터의 접속부·KS C IEC 61850     전력유틸리티 자동화를 위한 통신네트워크 및 시스템·KS C IEC 62040     무정전전원장치·KS C IEC 62056     전기계량·KS C IEC 62305     피뢰시스템·KS F ISO 16484     건물자동화 및 제어시스템·KS C 3617           텔레비전수신용 동축케이블·KS C 4516          제어용 스위치 통칙 ·KS C 4519          제어용 캠 스위치 ·KS C 8401          강제전선관 ·KS C 8422          금속제 가요전선관 ·KS C 8431          경질폴리염화비닐 전선관  ·KS P 8412          컨트롤케이블 시스템

1.3.3.2 계장제어설비

·KS C IEC 60364    저압전기설비·KS C IEC 60614-1-A 전기설비용 전선관·KS C IEC 60794    광섬유 케이블·KS C IEC 60870    원격제어 장비 및 시스템·KS C IEC 61000    전기자기적합성(EMC)·KS C IEC 61158    계측제어를위한 디지털 데이터통신·KS C IEC 61754    광섬유 커넥터의 접속부·KS C IEC 62305    피뢰시스템·KS C IEC 62040    무정전전원장치·KS C IEC 62056    전기계량·KS F ISO 16484    건물자동화 및 제어시스템·KS C 3617          텔레비전수신용 동축케이블·KS C 4515         올 커버 스위치·KS C 4516          제어용 스위치 통칙 ·KS C 4519          제어용 캠 스위치 ·KS C 4525          광전 스위치·KS C 8401          강제전선관 ·KS C 8422          금속제 가요전선관 ·KS C 8431          경질폴리염화비닐 전선관 ·KS P 8412          컨트롤케이블 시스템

1.3.3.3 주차관제설비

·KS C IEC 60364    저압전기설비·KS C IEC 60614-1-A 전기설비용 전선관·KS C IEC 62305    피뢰시스템·KS C 3603          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시내 쌍케이블

1.3.3.4 호텔객실관리설비

·KS C IEC 60364    저압전기설비·KS C IEC 60614-1-A 전기설비용 전선관·KS C IEC 61000    전자기적합성(EMC)·KS C IEC 62305    피뢰시스템·KS C 3342          근거리통신케이블·KS C 3603          폴리에틸렌 절연비닐시스 시내쌍 케이블

1.4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5 기호의 정의

내용 없음

2. 조사 및 계획

내용 없음

3. 재료

내용 없음

4. 설계


4.1 건물자동제어설비


4.1.1 설계 일반

(1) 건물자동제어설비는 건축물의 구내에 설비된 각종 시스템을 자동적으로 운전하여 건축물 내부의 쾌적성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설비 자동제어, 기계설비 자동제어, 중앙관제시스템(시스템통합설비_SI) 등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선로의 구성과 이를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장비로 구성한다.(2) 설계순서① 건물자동제어 대상과 범위 선정② 제어동작 방식의 결정③ 단말장치 및 현장제어 장치의 결정④ 중앙시스템의 결정⑤ 배선 네트워크 설계

4.1.2 수변전설비 자동제어

(1) 수변전설비의 제어 대상기기(차단기 류), 계측 대상기기(변압기, 각종 계기 류) 등을 선정하고 이를 중앙시스템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제어가 되도록 한다.(2) 계측 대상기기(입력값: input value)에는 센서 및 변환기를 설치하여 DDC(direct digital controller)로 연결하고, DDC는 중앙장치에 연결하여 입력 값의 분석으로 제어 및 관리가 가능토록 한다.(3) 제어 대상기기(출력값: output value)는 DDC로 연결하고, DDC는 중앙장치에 연결하여 계측 값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4) 수변전설비 자동제어 기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① 현장 제어 및 중앙의 프로그램제어 기능② 설비의 상태감시 기능③ 경보 관리 기능④ 제어 예약 기능⑤ 경향(trend) 감시 기능⑥ 기타 추가 기능 수행

4.1.3 조명설비 자동제어

(1) 조명설비의 제어 대상을 선정하고 이를 중앙시스템으로 연결하여 현장제어 및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또는 수동제어가 되도록 한다.(2) 단말 제어기(릴레이 또는 프로그램스위치 등)는 회로제어인 경우에는 분전반 또는 해당구역에 설치하고, 개별제어인 경우에는 각 조명기구에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설치하고, 이것을 중앙장치에 연결한다.(3) 조명설비 자동제어기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① 타임스케쥴 제어 기능② 집중 및 현장제어 기능③ 센서 제어 기능④ 기타 추가제어 기능

4.1.4 중앙 시스템

(1) 중앙 시스템은 수변전설비 자동제어 DDC 또는 단말기기와 연결하고, 조명설비 자동제어 단말제어기 또는 단말기기와 연결한다.(2) 중앙 시스템은 빌딩자동화시스템(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의 종합설비로 각각의 자동제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관리 및 분석을 시행한다.(3) 수·변전설비, 조명설비, 방재설비, 기계설비 등을 개방형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4) 중앙 시스템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중앙서버(PC, 모니터 등), 출력장치(프린터 등)와 데이터 보관장치(CD ROM, DVD 등) 등으로 이루어진다.

4.2 계장제어설비


4.2.1 설계 일반

(1) 계장제어설비는 플랜트, 환경(수처리, 폐기물처리)설비 등에서 공정흐름도(PFD, process flow diagram)를 기반으로 한 계장도면(P&ID, piping & instrument diagram)의 작성 및 이에 따른 계기, 계기용 패널, 프로세스에 의한 기기, 계기용 전원장치 등을 설계한다.(2) 설계순서① PFD를 기반으로 하여 P&ID를 작성② 공정(process)에 의한 기기, 장비의 결정③ 계장계획서(instrument schedule) 및 계장자료(instrument data sheet) 작성④ 대상 기기의 위치에 따른 기기, 장비의 배치⑤ 배관배선 계획

4.2.2 설계 도면

(1) 계장시스템 계획도(instrument schedule)(2) 계장시스템 단선도(instrument loop diagram)
계장시스템 계획도에 의한 발신장치, 수신장치, 조정장치 등의 계장시스템을 단선도로 표시한다.
(3) 계장시스템 전원도(instrument power supply & grounding diagram)① 계장시스템의 사용전원(AC, DC, 전압, 상용, 비상용 등)을 구분하여 전원의 공급을 단선도로 나타낸다. ② 시스템의 안전용 접지, 신호용 접지, 실드 접지 등을 함께 표시하거나 별도의 도서를 작성한다.(4) PPH(processing piping hook-up)
공정 내에 기기, 장비의 설치, 접속, 시공방법, 재료, 배관의 정보 등을 나타낸다.
(5) APH(anlyzer piping hook-up)
공정 내에 유체와 분석기기 설치, 접속, 시공방법, 재료, 배관의 정보 등을 나타낸다.
(6) 계장배선 및 배관 연결 표(instrument wiring & tubing connection list)
공정 내에 계기와 계기, 계기와 계기 패널 사이의 연결 배선이나 배관 모두를 쌍방에서의 접속 터미널, 배선, 배관 등을 나타낸다.
(7) 제어실내 장비배치도(layout of instrument panel in control room)
제어실 내에 계기패널, 조작 패널 및 조작 탁, 전원설비, 계장기기 등의 배치, 제어실의 구조, 제어실의 건축적 크기 등을 나타낸다.
(8) 제어실 내 계장배선 및 배관 도(layout of instrument wiring & piping in control room)
제어실 내에 계장용 배선의 단자 처리 및 배관 처리 등을 나타낸다.
(9) 계장용 케이블 배치도(layout of instrument main cable way)
제어실까지 계장용 주 케이블의 경로, 포설 공법 등이 표시 된 것으로 건축 및  배관과의 관련성을 나타낸다.
(10) 계장용 전선 배치도(layout of instrument wiring)
계장 기기에서 주 케이블 연결부까지 배선의 경로 등을 나타낸 것으로 공정 배관도를 기반으로 작성한다.
(11) 계장용 공기 배치도(layout of instrument air piping)
공기 공급이 필요한 계장 기기와 배관 등을 나타낸 것으로 공정 배관도 및 공정 기기조립도를 기반으로 작성한다.
(12) 계장용 주 케이블 배치도(layout of instrument main cable)
계장용 주 케이블의 경로, 포설상태, 케이블의 종류 등을 나타낸 것으로 신호, 경보, 방폭 설비, 유도 방지대책 등을 포함하여 작성한다.
(13) 현장 계기의 배치도(plot plan of field instrument)
공정 배관도, 공정 기기도를 기반으로 현장 계기를 배치한다. 다만, 계기 등이 밀집된 경우는 별도의 상세도로 나타낸다.

4.2.3 추가 필요도면

(1) 계장 패널 외장도
계장 패널의 외부 크기 및 외부에 설치된 계장 기기(계기, 램프 등)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제조업자가 제공한다.
(2) 인터록 도
공정에서 조건에 의한 경로, 신호에 의한 By-Pass 등에 대하여 작성한다. 다만, 간단한 회로의 경우는 직접 회로도에 나타낸다.
(3) 계기 신호접속도
계기 사이의 배선 및 배관에 관한 사항을 회로로 구성하고 접속 단자를 기입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제조업자가 제공한다.
(4) 그래픽 도
공정의 흐름, 계기 등을 그래픽으로 도식화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제조업자가 제공한다.
(5) 기타사항
공정에 의한 설계를 진행하는 경우에 P&ID에 나타나는 모든 기기, 장비 등의 누락이 없도록 하고, 현장에서의 위치, 유지 보수시의 편리성 등을 검토한다.

4.2.4 전기 배관

(1) 계장제어설비의 전기/정보통신 배관은 해당 공정의 운전 상태(온도, 습도, 폭발성 증기 생성 등)에 따라 시설한다.(2) 계장제어설비의 배선이 폭발성 위험 지역을 지나는 경우 내압방폭구조 또는 본질안전방폭구조 등을 적용하며, 배선방법은 전기설비기술기준 등에 따른다.(3) 계장제어설비의 배선이 습기가 체류하는 장소를 지나는 경우 배선방법은 전기설비기술기준 등에 따른다.

4.3 주차관제설비


4.3.1 설계 일반

(1) 주차관제설비는 차량 진, 출입시의 안전한 유도를 위한 설비로서 차량검지장치, 출차주의등, 장내경광등, 차량유도등, 주차관제서버 등으로 구성된다.(2) 자동으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거나 요금을 부과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주차관제설비에 포함할 수 있다.(3) 주차관제설비 설계① 주차장에서 차량의 출입 시 진입부에서 이를 알 수 있는 출차주의등을 설치한다.② 주차장 내 장내경광등, 차량유도등은 교통의 안전과 관리운영을 고려하여 설치한다.③ 차량의 검출방식을 정한다.

4.3.2 관제설비의 기능

(1) 차량 유도등은 차량의 동선에서 주차차량이 입구, 출구, 주차방향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2) 출차주의등은 차량검출장치(루프코일 또는 적외선방식 등)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3) 차량검출장치는 차량 진․출입시 경보설비 및 차단기와 원활한 연동이 가능하도록 감지하여야 한다.(4) 주차관제서버는 주차관제장치에 의한 정보장치로서 차량관리 및 주차관제장치를 제어하여야 한다.

4.3.3 설계시 고려사항

(1) 주차관제설비는 사전에 허가를 받은 차량만 통과시키거나 요금부과장치의 주차권을 발행한 경우의 차량을 통과시키는 설비이다.(2) 주차관제설비 및 요금부과 장치는 다음과 같으며,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 후 설계한다.① 게이트는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며 허가받은 차량 인식과 요금부과장치에 의해 동작한다.② 주차권 발행기는 차량검지장치 또는 수동버튼에 의하여 동작한다.③ 출입허가 차량인식장치는 리모컨스위치·무선전자태그(RFID)·센서확인방식·번호인식장치 등을 사용한다.④ 요금정산은 주차권 확인에 의한 수동요금 계산방식과 자동요금 정산장치에 의한 방식으로 한다.

4.4 호텔객실관리설비


4.4.1 설계 일반

(1) 호텔 객실관리설비는 객실의 서비스, 도난방지, 에너지절약 및 합리적인 경영을 위한 설비로서 일반적으로 객실 설비, 중간서비스 설비, 중앙 및 프론트 설비로 구성된다.(2) 설계 순서① 서비스의 규모를 상정한다.② 객실 별 관리 대상을 설정한다.③ 프론트에서의 관리해야 할 대상을 설정한다.④ 통신방식에 따른 배선시스템 및 호텔관리 프로그램을 선정한다.

4.4.2 객실설비의 기능

(1) 객실 설비는 각각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설치한다.(2) 객실제어기(control box)① 객실제어기는 판넬 형태로 유지보수가 원활한 곳에 설치한다.② 객실제어기의 기능은 객실 내 설치기기의 기능에 대한 사항을 중앙 설비로 전달하고, 또한 객실 내 설치기기의 기능을 제어한다.(3) 객실 온도제어기① 객실 내 온도를 제어하는 기능으로 객실 내 가구 및 내장 재료에 영향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② 객실 온도제어기는 객실제어기를 통해 중앙 및 프론트 설비에 연결한다.③ 기본적 제어는 설정 온도 값에 의한 자동제어(대상: 팬코일유닛, 온돌 밸브 등) 외출 시 제어 및 공실시 제어로 한다.④ 중앙제어는 예열 및 예냉 운전, 체크인 시 강제운전, 이상 온도 시 경보 및 운전정지 기능으로 한다.(4) 객실 전기에너지 제어 장치① 객실 내 전기에너지 제어는 키 센서(key sensor)를 사용하고 객실제어기를 통해 중앙 및 프론트 설비에 연결한다.② 객실 내 키 센서에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재실 시에만 전기 에너지가 소비 되도록 한다.③ 객실 내에 설치되는 전기식 금고, 전기냉장고 등 상시 전원이 필요한 시설은 전기에너지 제어설비에서 제외한다.④ 키 센서와 도어록 시스템을 일치 시키는 경우(�� 카드키 등)에는 건축설계자와 협조한다.(5) 객실 내 상황 표시설비① 객실 입구에는 해당 실의 상태(재실 유무 표시)를 알 수 있도록 입구 인디케이터를 설치한다.② 객실 입구에는 실내를 호출할 수 있는 챠임벨 스위치를 설치한다.③ 차임벨 스위치에는 입구 인디케이터 또는 방해금지(Do not Disturb) 표시를 함께 설치되도록 검토한다.④ 객실 내에는 프론트에서 보낸 메시지표시를 받을 수 있어야 하며, 독립설치, 전화기 내장설치, 나이트테이블 내장설치 등으로 한다.⑤ 객실 내에는 비상시 프론트에 연락 가능한 비상호출 스위치를 설치한다. (6)  기타 설비① 객실 내에는 나이트테이블 또는 리모콘을 통하여 객실 내에 설치된 기기(TV, 조명등, 온도제어기)를 동작 또는 정지시키는 설비를 검토한다.② 입구등은 센서등으로 설치한다.

4.4.3 중간 서비스설비

(1) 중간 서비스설비는 각 층의 서비스 실(메이드 룸)에서 객실을 관리(청소, 비품 등)하기 위한 FIP(floor indicator panel)설비이다.(2) FIP(floor indicator panel)설비① FIP는 중앙에 설치하는 CIP(centeral indicator panel)과 연결되고, 입력된 신호를 상호 공유하여, 프론트데스크에서 객실의 공실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② FIP는 각 층에서 객실의 서비스 상태(재실유무, 청소유무 등)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각 층 서비스실에 설치한다.

4.4.4 중앙 및 프론트설비

(1) 중앙 및 프론트설비는 각 층 객실의 상태를 파악하고, 각 실에 대한 서비스를 시행하며 객실에 대한 영업 및 에너지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치한다.(2) 키 랙(key-rack)설비① 키 랙은 객실의 키를 수납하는 것으로 공실(체크 인·아웃)상태를 표시하고, 키의 수납 상태에 따라 CIP 및 FIP에 객실의 재실 유무를 표시토록 하는 호텔관리의 기본설비이다.② 메시지표시 기능 및 비상호출 표시등의 부가를 검토한다.(3) CIP(centeral indicator panel)① CIP는 각층에 설치하는 FIP(floor indicator panel)과 연결되고, 입력된 신호를 상호 공유하여, 프론트데스크에서 객실의 상태(공실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② CIP는 각 층 객실의 서비스 상태(공실여부, 청소유무 등)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프론트데스크 또는 사무실에 설치한다.(4) 중앙처리설비① 중앙처리설비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키 랙, CIP 및 예약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정보를 종합하여 호텔 객실관리 업무를 수행토록 한다.② 중앙처리설비의 하드웨어로는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HDD, CD ROM, DVD 등),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를 설치한다.③ 중앙처리설비의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서비스관리시스템,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경영(예약)관리시스템을 도입한다.

4.4.5 배선설비

(1) 객실관리시스템의 간선은 TPS(telecommunication pipe shaft) 내부에 설치하고, TPS가 없는 경우 감리원의 승인을 득한 후 EPS(electrical pipe shaft) 내부에 설치하며, 객실까지의 지선은 배선 변경이 용이한 공법을 검토하여 유지보수, 증설에 대비토록 한다.(2) 배선은 화재 및 통신 장애의 우려가 없는 공사방법과 배선의 종류를 선정한다.(3) 배선에 관한 사항은 KDS 31 65 10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