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 범위는 KCS 14 20 33[ ] (1.1)에 따른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KCS 14 20 33 고강도 콘크리트
SMCS 14 20 10 일반콘크리트
1.3 용어의 정의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용어의 정의는 KCS 14 20 33[ ] (1.5)에 따른다.
1.4 고강도 콘크리트 일반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일반은 KCS 14 20 33[ ] (1.2)에 따른다.
1.5 제출물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출물은 KCS 14 20 33[ ] (1.6)에 따른다.
2. 자재
2.1 구성재료
2.1.1 시멘트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시멘트는 KCS 14 20 33[ ] (2.1.1)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33[ ] (2.1.1)에서 (1)항은 다음 (2)항과 같이 적용한다.(2) 상기 (1) 이외의 시멘트는 품질을 확인하고, 사용 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사용한다.
2.1.2 혼화 재료
(1) 고강도 콘크리트의 혼화 재료는 KCS 14 20 33[ ] (2.1.2)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33[ ] (2.1.2)에서 (1)항은 다음 (2)항과 같이 적용한다.② KCS 14 20 33[ ] (2.1.2)에서 (2)항은 다음 (3)항과 같이 적용한다.(2) 고성능 감수제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는데 적절한 것인가를 시험배합을 거쳐 확인한 후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사용한다.(3) 고강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플라이 애쉬, 실리카 퓸, 고로 슬래그 미분말 등의 혼화재는 시험배합을 거쳐 확인한 후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사용한다.
2.1.3 잔골재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잔골재는 KCS 14 20 33[ ] (2.1.3)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33[ ] (2.1.3)에서 명시된 항목 외에 다음 (2)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2) 잔골재는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인 것으로서 적당한 입도를 가져야 한다.
2.1.4 굵은 골재
(1) 고강도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는 KCS 14 20 33[ ] (2.1.4)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33[ ] (2.1.4)에서 명시된 항목 외에 다음 (2)~(3)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2) 굵은 골재는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알맞은 입도를 가져야 한다.(3)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량은 염소이온량으로서 0.003 kN/㎥ 이하가 되어야 한다.
2.2 배합
2.2.1 배합
(1)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은 KCS 14 20 33[ ] (2.2.1)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33[ ] (2.2.1)에서 명시된 항목 외에 다음 (2)항을 추가하여 적용한다.② KCS 14 20 33[ ] (2.2.1)에서 (4)항은 다음 (3)항과 같이 적용한다.③ KCS 14 20 33[ ] (2.2.1)에서 (7)항은 다음 (4)항과 같이 적용한다.(2) 물-결합재비는 50% 이하로 한다.(3) 단위수량은 1.8 kN/㎥ 이하로 하고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적게 한다.(4) 슬럼프값은 150 ㎜ 이하로 한다. 다만 유동화콘크리트로 할 경우에는 210 ㎜ 이하로 하며, 고강도 콘크리트로 할 경우 슬럼프 플로의 목표값은 설계기준압축강도 40 ㎫ 이상 60 ㎫ 이하의 경우 구조물의 작업 조건에 따라 500, 600 및 700 ㎜로 구분하여 정하며, 그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2.2.2 비비기
(1) 고강도 콘크리트의 비비기는 KCS 14 20 33[ ] (2.2.2)에 따른다.
2.3 재료 품질관리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재료 품질관리는 KCS 14 20 33 [ ](2.2.2)에 따른다.
3. 시공
3.1 시공일반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시공일반은 KCS 14 20 33[ ] (3.1)에 따른다.
3.2 운반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운반은 KCS 14 20 33[ ] (3.2)에 따른다.
3.3 타설
(1) 고강도 콘크리트의 타설은 KCS 14 20 33[ ] (3.3)에 따르며, 특기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KCS 14 20 33[ ] (3.3)에서 (3)항은 다음 (2)항과 같이 적용한다.(2) 콘크리트 타설 낙하높이는 1 m 이하로 하며, 콘크리트 재료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3.4 양생
(1) 고강도 콘크리트의 양생은 KCS 14 20 33[ ] (3.4)에 따른다.
3.5 현장 품질관리
(1)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 품질관리는 KCS 14 20 33[ ] (3.5)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