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CS 옥외통신관로공사(서울특별시 전문시방서)
“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옥외통신관로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1.2.2 관련 기준
KS C 8431 경질 폴리염화비닐 전선관
KS C 8433 커플링(경질 비닐 전선관용)
KS C 8434 커넥터(경질 비닐 전선관용)
KS C IEC 61386-21 경질 비닐 전선관용 부속품
KS C 8455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 전선관
KS M 5311 광명단 조합페인트
KS M 5312 조합페인트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내용 없음
2. 자재
2.1 배관
(1) 관로공사의 배관자재는
2.2 인공
(1) 인공규격 및 철근배근은 설계도서에 따른다.(2) 인공에 사용되는 빈배합 콘크리트는 C종, 기초 콘크리트는 S₂종으로 한다.(3) 인공 뚜껑은 KS 해당 규격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4) 인공 내 케이블 받침대 및 걸이의 재질은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이며 용융아연 도금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3 핸드홀
(1) 핸드홀의 규격은 설계도서에 따른다.(2) 핸드홀에 사용되는 빈배합 콘크리트는 C종, 기초 콘크리트는 S₂종으로 한다.(3) 핸드홀 뚜껑은 두께 9 ㎜ 이상의 철판으로 제작하고 KS 해당 규격에 적합한 방청도료를 사용하여 내・외부에 1회를 칠한 후, KS 해당 규격에 적합한 지정색의 유성도료를 사용하여 2회를 칠하여야 한다.(4) 핸드홀의 규격은 설계도서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5) 핸드홀에 사용되는 빈배합 콘크리트는 C종, 기초 콘크리트는 S₂종으로 한다.(6) 핸드홀 뚜껑은 두께 9 ㎜ 이상의 철판으로 제작하고 KS M 5311의 2종에 적합한 광명단을 사용하여 내・외부에 1회를 칠한 후, KS M 5312의 1급에 적합한 지정색의 조합페인트를 사용하여 2회를 칠하여야 한다.
3. 시공
3.1 설치
3.1.1 지중관로
(1) 접속① 관로 상호간의 접속은 소켓(커플링)의 관단을 청소하고 접착제를 바른 후에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② 관로 포설시 관로의 접속개소는 한 곳에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2) 상호간격① 관로 포설시 상호관계는 다음과 같다.가. 상・하 관로의 중심간격∶118 ㎜ (80 ㎜ 이하는 제외)나. 좌・우 관로의 중심간격∶150 ㎜(3) 곡률반경① 관로 포설의 곡률반경은 배관 내경의 6배 이상으로 한다.(4) 흙 되메우기① 흙 되메우기는 고운 흙으로 관로바닥에 50 ㎜ 이상 두께로 하고 관로 사이와 상단에는 100 ㎜ 이상 두께로 채운 후 되메워야 하며, 다짐을 철저히 하여 시공 후 지반 침하가 발생치 않도록 하여야 한다.(5) 도통검사① 모든 지중관로 및 예비관로는 매설 후 케이블 포설에 지장이 없도록 도통검사를 하고 나일론 줄을 넣어 두어야 한다.(6) 매설깊이① 관로 포설상세는 별도 설계도서 및 공사시방서 참조하고 매설깊이는 다음과 같다.표 3.1-1 포설장소 및 매설깊이
포 설 장 소 | 매 설 깊 이 |
차 도 | 1 m 이상 |
보도 및 자전거 도로 | 600 ㎜ 이상 |
철도・고속도로횡단구간 등 특수한 구간 | 1.5 m 이상 |
3.1.2 인공 및 핸드홀
(1) 제작① 인공 제작용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측압 및 하중에 견디고 시멘트 물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견고하고 정밀하게 제작한다.(2) 관통부위① 인공 및 핸드홀 내 배관 및 케이블 관통부위는 누수가 되지 않도록 실링 컴파운드로 밀실하게 시공하여야 한다.(3) Bond 접지① 인공 또는 핸드홀에는 Bond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3.2 현장품질관리
3.2.1 시공확인
(1) 인공 제작용 거푸집 설치 후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감독자의 시공확인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