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설계기준 142070 콘크리트 슬래브와 기초판 설계기준

KDS_콘크리트 슬래브와 기초판 설계기준
KDS_콘크리트 슬래브와 기초판 설계기준

콘크리트 슬래브 및 기초판 설계 기준

1. 일반사항

(1) 목적

  • 본 기준은 콘크리트 슬래브와 기초판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부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 조건을 규정합니다.

(2) 적용 범위

  • 4.1.1의 규정은 1방향 슬래브에 적용됩니다.
  • 4.1의 나머지 규정은 받침부 사이에 보의 유무와 관계없이 2방향 이상으로 휨 보강되는 슬래브 시스템 설계에 적용됩니다.
  • 장방형 2방향 슬래브는 부록에 따라 설계할 수 있습니다.
  • 속찬 슬래브와 장선 또는 리브 사이에 영구적이거나 제거할 수 있는 채움재에 의하여 움푹 파인 곳이나 구멍이 있는 슬래브도 본 기준의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 본 기준의 규정에 따라 설계된 슬래브의 최소 두께는 KDS 14 20 30(4.2) 규정에 따라야 합니다.
  • 독립기초의 기초판 설계는 본 기준의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벽기초, 복합기초와 전면기초의 기초판 설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벽기초, 복합기초와 전면기초의 기초판을 설계할 경우에는 4.2.4.2의 규정도 따라야 합니다.

(3) 참고 기준

  • KDS 14 20 01 콘크리트구조 설계(강도설계법) 일반사항
  • KDS 14 20 10 콘크리트구조 해석과 설계 원칙
  • KDS 14 20 20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
  • KDS 14 20 22 콘크리트구조 전단 및 비틀림 설계기준
  • KDS 14 20 24 콘크리트구조 스트럿-타이모델 기준
  • KDS 14 20 26 콘크리트구조 피로 설계기준
  • KDS 14 20 30 콘크리트구조 사용성 설계기준
  • KDS 14 20 40 콘크리트구조 내구성 설계기준
  • KDS 14 20 50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
  • KDS 14 20 52 콘크리트구조 정착 및 이음 설계기준
  • KDS 14 20 54 콘크리트용 앵커 설계기준
  • KDS 14 20 6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 KDS 14 20 6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 KDS 14 20 64 구조용 무근콘크리트 설계기준
  • KDS 14 20 66 합성콘크리트 설계기준
  • KDS 14 20 72 콘크리트 벽체 설계기준
  • KDS 14 20 74 기타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 KDS 14 20 80 콘크리트 내진설계구조 설계기준
  • KDS 14 20 90 기존 콘크리트구조물의 안전성 평가기준

(4) 용어의 정의

  • KDS 14 20 01(1.4)에 따릅니다.

(5) 기호의 정의

  • : KDS 14 20 22(4.11.1)에서 정의한 위험단면에서 휨모멘트를 산정하는 경간방향으로 측정한 폭, mm
  • : KDS 14 20 22(4.11.1)에서 정의한 위험단면에서 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한 폭, mm
  • : 휨모멘트를 산정하는 경간방향으로 측정한 직사각형 또는 등가직사각형의 기둥, 기둥머리 또는 브래킷의 폭, mm
  • : 휨모멘트를 산정하는 경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한 직사각형 또는 등가직사각형의 기둥, 기둥머리 또는 브래킷의 폭, mm
  • : 비틀림 특성을 정의하는 단면상수 = T형 또는 L형 단면은 여러 개의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값을 더하여 산정한다.
  • : 슬래브나 지판, 기초판 유효깊이, mm
  • : 기초판 밑면에 연결된 말뚝의 지름, mm
  • : 스트럿의 콘크리트 유효압축강도, MPa
  • : 보의 콘크리트 탄성계수
  • : 기둥의 콘크리트 탄성계수
  • : 슬래브의 콘크리트 탄성계수
  • : 부재의 전체 두께, mm
  • : 4.1.2.1(4)에 정의한 비틀림 보 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 : 슬래브 전체 단면의 중심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와 에서 정의되는 슬래브 폭의 배)
  • : 비틀림 부재의 비틀림 강성. 단위회전각에 대한 비틀림모멘트, 4.1.4.5 참조
  • : 휨모멘트를 산정하는 방향의 받침부 사이의 순경간
  • : 휨모멘트를 산정하는 방향의 받침부 중심 사이의 경간
  • : 에 수직한 방향의 받침부 중심 사이의 경간. 4.1.3.2(3)과 4.1.3.2(4) 참조
  • : 상하 기둥이 저항하여야 할 계수휨모멘트, 4.1.3.9(2) 참조
  • : 슬래브-기둥 접합부 위험단면의 전면과 후면 슬래브의 휨강도의 합
  • : 전체 정적 계수휨모멘트
  • : 단면의 계수휨모멘트
  • : 콘크리트에 의한 공칭전단강도, KDS 14 20 22(4.9.2(2)) 참조
  • : 단면의 계수전단력
  • : 단위면적당 계수고정하중
  • : 단위면적당 계수활하중
  • : 단위면적당 계수하중
  • : 단면의 직사각형 부분 중 단변의 치수
  • : 단면의 직사각형 부분 중 장변의 치수
  • : 의 양측 또는 한 측에 인접하여 있는 슬래브 판의 중심선에 의해 구획된 폭으로 이루어진 슬래브의 휨강성에 대한 보의 휨강성의 비 =
  • : 방향의
  • : 방향의
  • : 기초판의 짧은 변에 대한 긴 변의 비
  • : 슬래브의 휨강성에 대한 테두리보의 비틀림강성 비, 이때 슬래브의 폭은 테두리보의 받침부 중심간 경간과 동일함. =
  • : 인장철근비
  • : 균형철근비
  • : 강도감소계수

2. 조사 및 계획

(내용 없음)

3. 재료

  • KDS 14 20 01(3)에 따릅니다.

4. 설계

4.1 슬래브 설계

4.1.1 1방향 슬래브

(1) 설계 원칙

  • 마주보는 두 변에만 지지되는 1방향 슬래브는 KDS 14 20 20의 규정에 따라 설계해야 합니다.
  • 4변에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 중에서 단변에 대한 장변의 비가 2배를 넘으면 1방향 슬래브로 해석하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슬래브의 단변방향의 경간을 사용하여 KDS 14 20 20의 규정에 따라 설계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때 사용하는 경간은 KDS 14 20 10(4.7)의 규정에 따라야 합니다.

(2) 철근콘크리트 보와 일체로 된 연속 슬래브

  • 철근콘크리트 보와 일체로 만든 연속 슬래브의 휨모멘트 및 전단력을 구하기 위하여, 단순받침부 위에 놓인 연속보로 가정하여 탄성해석 또는 KDS 14 20 10(4.1)에 따른 근사적인 계산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경간은 KDS 14 20 10(4.7)의 규정에 따라야 하고, 산정되는 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 활하중에 의한 경간 중앙의 부모멘트는 산정된 값의 1/2만 취할 수 있습니다.
    • 경간 중앙의 정모멘트는 양단 고정으로 보고 계산한 값 이상이어야 합니다.
    • 순경간이 3.0m를 초과할 때 순경간 내면의 휨모멘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값들이 순경간을 경간으로 하여 계산한 고정단 휨모멘트 이상으로 하여야 합니다.
  • 슬래브 양단부의 보의 처짐이 서로 다를 때는 그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3) 구조 상세

  •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KDS 14 20 30(4.2.1)에 따라야 하며, 최소 100mm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 간격은 위험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해야 합니다. 기타의 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50mm 이하로 해야 합니다.
  • 1방향 슬래브에서는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수축·온도철근을 KDS 14 20 50(4.6.2)에 따라 배치해야 합니다.
  • 슬래브 끝의 단순받침부에서도 내민슬래브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는 철근을 배치해야 합니다.
  • 슬래브의 단변방향 보의 상부에 부모멘트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장변방향으로 슬래브 상부에 철근을 배치해야 합니다. 배치 방법은 KDS 14 20 10(4.10(3))에 따라야 합니다.
4.1.2 2방향 슬래브의 설계 절차

(1) 정의

  • 기둥 또는 벽체가 지지하는 슬래브의 과 그리고 순경간 은 슬래브 하부의 접촉면에 의해 정의된 유효지지단면에 근거하여야 합니다. 유효지지단면은 슬래브의 바닥 표면 또는 지판이 있는 경우는 이의 바닥 표면이 기둥축을 중심으로 45° 내로 펼쳐진 기둥과 기둥머리 또는 브래킷 내에 위치한 가장 큰 정원추, 정사면추 또는 쐐기 형태의 표면과 이루는 절단면으로 정의됩니다.
  • 주열대는 기둥 중심선 양쪽으로 0.25와 0.25 중 작은 값을 한쪽의 폭으로 하는 슬래브의 영역을 가리킵니다. 받침부 사이의 보는 주열대에 포함합니다.
  • 중간대는 두 주열대 사이의 슬래브 영역을 가리킵니다.
  • 보가 슬래브와 일체로 되거나 완전한 합성구조로 되어 있을 때, 보의 단면은 보가 슬래브의 위 또는 아래로 내민 깊이 중 큰 깊이만큼을 보의 양측으로 연장한 슬래브 부분을 포함한 것으로서, 보의 한 측으로 연장되는 거리는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로 해야 합니다.
  • 슬래브와 기둥의 접합부에서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을 확장시킬 때는 전단머리를 슬래브 아래로 돌출시켜야 하고, 돌출된 두께만큼 기둥 표면부터 최소 위험단면을 넓혀야 합니다.

(2) 해석 및 설계 방법

  • 슬래브 시스템은 평형조건과 기하학적 적합조건을 만족한다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설계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단면의 설계강도가 KDS 14 20 10(3) 적용한 소요강도 이상이어야 하고 처짐의 제한 등 사용성을 만족해야 합니다.
  • 슬래브와 보가 있을 경우 받침부 사이의 보 및 이들과 직교하여 골조를 이루는 기둥 또는 벽체를 포함하는 슬래브 시스템은 연직하중에 대하여 4.1.3에서 규정하고 있는 직접설계법이나 4.1.4에서 규정하고 있는 등가골조법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 횡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골조의 횡력해석을 위한 부재의 강성은 철근과 균열의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 슬래브 시스템이 횡하중을 받는 경우 횡력해석과 연직하중의 해석 결과는 조합해야 합니다.
  • 슬래브와 보가 있을 경우 받침부 사이의 보는 모든 단면에서 발생하는 계수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3) 불균형휨모멘트의 전달

  • 연직하중, 풍하중, 지진하중 또는 기타 횡방향 하중으로 인하여 슬래브와 기둥 사이에 휨모멘트가 전달될 때, 이 불균형휨모멘트는 KDS 14 20 22(4.11.7)에 따라 설계해야 합니다.
  • KDS 14 20 22(4.11.7)에 규정된 식 (4.11-14), 식 (4.11-15)의 만큼의 불균형휨모멘트는 슬래브 위험단면 내에서 휨에 의해 전달된다고 간주합니다. 여기서, 슬래브 위험단면은 기둥 또는 기둥머리 면에서 양쪽으로 슬래브나 지판 유효 두께의 0.5배(0.5 ) 만큼 떨어진 폭을 나타냅니다.
  • 전단과 비틀림에 의하여 슬래브에서 기둥과 벽체로 전달되는 하중에 대한 설계는 KDS 14 20 22 기준에 따라야 합니다.

(4) 플랫 슬래브의 지판

  • 플랫 슬래브에서 기둥 상부의 부모멘트에 대한 철근을 줄이기 위하여 지판을 사용하는 경우 지판의 크기는 다음 (2)에서 (4)까지 규정에 따라야 합니다.
  • 지판은 받침부 중심선에서 각 방향 받침부 중심 간 경간의 1/6 이상을 각 방향으로 연장시켜야 합니다.
  • 지판의 슬래브 아래로 돌출한 두께는 돌출부를 제외한 슬래브 두께의 1/4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 지판 부위의 슬래브 철근량을 계산할 때 슬래브 아래로 돌출한 지판의 두께는 지판의 외단부에서 기둥이나 기둥머리 면까지 거리의 1/4 이하이어야 합니다.
4.1.3 직접설계법

(1) 제한 사항

  • 다음 (2)에서 (8)까지 규정을 만족하는 슬래브 시스템은 직접설계법을 사용하여 설계할 수 있습니다.
  • 각 방향으로 3경간 이상 연속되어야 합니다.
  • 슬래브 판들은 단변 경간에 대한 장변 경간의 비가 2 이하인 직사각형이어야 합니다.
  • 각 방향으로 연속한 받침부 중심간 경간 차이는 긴 경간의 1/3 이하이어야 합니다.
  • 연속한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기둥의 어긋남은 그 방향 경간의 10% 이하이어야 합니다.
  • 모든 하중은 슬래브 판 전체에 걸쳐 등분포된 연직하중이어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하이어야 합니다.
  • 모든 변에서 보가 슬래브를 지지할 경우 직교하는 두 방향에서 보의 상대강성은 식 (4.1-1)을 만족해야 합니다.
  • 직접설계법으로 설계한 슬래브 시스템은 KDS 14 20 10(4.2)에서 허용한 휨모멘트 재분배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휨모멘트의 재분배는 4.1.3.7을 참조합니다.
  • 4.1.2.2의 규정을 만족하는 해석으로 입증한다면 4.1.3.1의 제한 사항을 다소 벗어나더라도 직접설계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전체 정적 계수휨모멘트

  • 각 경간의 전체 정적 계수휨모멘트는 받침부 중심선 양측의 슬래브 판 중심선을 경계로 하는 설계대 내에서 산정해야 합니다.
  • 정계수휨모멘트와 평균 부계수휨모멘트의 절댓값의 합은 어느 방향에서나 다음 값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 받침부 중심선 양측 슬래브 판의 직각방향 경간이 다른 경우, 식 (4.1-2)의 는 이들 횡방향 두 경간의 평균값으로 해야 합니다.
  •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그에 평행한 경간은 식 (4.1-2)의 는 가장자리부터 슬래브 판 중심선까지 거리로 해야 합니다.
  • 순경간 은 기둥, 기둥머리, 브래킷 또는 벽체의 내면 사이의 거리입니다. 다만, 식 (4.1-2)의 값은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원형이나 정다각형 받침부는 같은 단면적의 정사각형 받침부로 취급해야 합니다.

(3) 정 및 부계수휨모멘트

  • 부계수휨모멘트는 직사각형 받침부 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합니다. 원형이나 정다각형 받침부는 같은 단면적의 정사각형 받침부로 취급할 수 있습니다.
  • 내부 경간에서는 전체 정적 계수휨모멘트 를 다음과 같은 비율로 분배해야 합니다.
    • 부계수휨모멘트 0.65
    • 정계수휨모멘트 0.35
  • 단부 경간에서는 전체 정적 계수휨모멘트 를 표 4.1-1에 따라 분배해야 합니다. 표 4.1-1 단부 경간 정 및 부계수휨모멘트의 분배율
    | 구분 | (1) | (2) | (3) | (4) | (5) | |—|—|—|—|—|—| | 구속되지 않은 외부 받침부 | 모든 받침부 사이에 보가 있는 슬래브 | 내부 받침부 사이에 보가 없는 슬래브 | 완전 구속된 외부 받침부 | 테두리보가 없는 경우 | 테두리보가 있는 경우 | | 내부 받침부의 부계수휨모멘트 | 0.75 | 0.70 | 0.70 | 0.70 | 0.65 | | 정계수휨모멘트 | 0.63 | 0.57 | 0.52 | 0.50 | 0.35 | | 외부 받침부의 부계수휨모멘트 | 0 | 0.16 | 0.26 | 0.30 | 0.65 |
  • 불균형휨모멘트를 인접한 부재의 강성에 따라 분배되도록 해석하여 설계하거나 받침부 양쪽 경간의 부계수휨모멘트 중 큰 휨모멘트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슬래브 단부 또는 테두리보는 외부 받침부의 부계수휨모멘트가 분배되는 만큼 비틀림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4.1.2.3(2)에 따라 슬래브와 외부 기둥 사이에 전달되는 연직하중에 대한 휨모멘트는 로 해야 합니다.

(4) 주열대의 계수휨모멘트

  • 주열대는 내부 받침부의 부계수휨모멘트를 표 4.1-2의 비율로 분배한 휨모멘트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표 4.1-2 주열대 내부 받침부의 분배백분율(%)
    | | 0.5 | 1.0 | 2.0 | |—|—|—|—| | ()=0 | 75 | 75 | 75 | | ()≥1.0 | 90 | 75 | 45 |
    • 위의 값 사이에서는 직선보간법을 적용합니다.
  • 주열대는 외부 받침부의 부계수휨모멘트를 표 4.1-3의 비율로 분배한 휨모멘트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표 4.1-3 주열대 외부 받침부의 분배배분율(%)
    | | 0.5 | 1.0 | 2.0 | |—|—|—|—| | ()=0 =0 | 100 | 100 | 100 | | ≥2.5 | 75 | 75 | 75 | | ()≥1.0 =0 | 100 | 100 | 100 | | ≥2.5 | 90 | 75 | 45 |
    • 위의 값 사이에서는 직선보간법을 적용합니다.
  • 계산에 사용한 경간 의 3/4 이상이 기둥이나 벽체로 지지되는 경우, 부모멘트는 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한다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 주열대는 정계수휨모멘트를 표 4.1-4의 비율로 분배한 휨모멘트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표 4.1-4 주열대 중앙부의 분배백분율(%)
    | | 0.5 | 1.0 | 2.0 | |—|—|—|—| | ()=0 | 60 | 60 | 60 | | ()≥1.0 | 90 | 75 | 45 |
    • 위의 값 사이에서는 직선보간법을 적용합니다.
  • 받침부 사이에 보가 있는 슬래브의 주열대는 보가 부담하지 않는 주열대 휨모멘트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5) 보의 계수휨모멘트

  • ()값이 1.0 이상인 경우, 받침부 사이의 보는 주열대 휨모멘트의 85%를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값이 1.0과 0 사이인 경우는 보의 주열대 휨모멘트 분담률을 85%와 0% 사이를 직선보간하여 구해야 합니다.
  • 보는 (1), (2)와 4.1.3.2(2)의 규정에 따라 등분포하중에 대하여 산정한 휨모멘트뿐만 아니라, 슬래브 상하로 내민보 부분의 무게와 보에 직접 작용하는 집중하중이나 분포하중에 의한 휨모멘트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6) 중간대의 계수휨모멘트

  • 주열대가 부담하지 않는 정 및 부계수휨모멘트의 분담분은 주열대 양쪽의 1/2 중간대에 비례하여 할당해야 합니다.
  • 각 중간대는 2개의 1/2 중간대에 할당한 휨모멘트들의 합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벽체가 지지하는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그에 평행한 중간대는 첫 번째 내부 받침부의 1/2 중간대에 할당된 휨모멘트의 2배를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7) 계수휨모멘트의 수정

  • 고려하는 방향에서 슬래브 판에 대한 전체 정적 계수휨모멘트가 식 (4.1-2)에 의해 요구된 휨모멘트보다 작지 않은 범위 내에서 정 및 부계수휨모멘트는 10%까지 수정할 수 있습니다.

(8) 보가 있는 슬래브의 계수전단력

  • ()의 값이 1 이상인 보는 슬래브 판의 네 모퉁이에서 변과 45°의 각을 이루는 선과 장변에 평행한 슬래브 판 중심선이 만드는 재하면적에 작용하는 계수하중에 의한 전단력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의 값이 1 미만일 때에는 인 경우 보가 하중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직선보간하여 보가 분담하는 전단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 보는 (1)과 (2)에 따라 산정한 전단력뿐만 아니라 보에 직접 작용하는 계수하중에 의한 전단력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슬래브의 전단강도는 (1)과 (2)에 따라 하중이 보에 분배된다는 가정에 의해 산정해야 합니다. 또한 슬래브는 슬래브 판에 일어나는 전체 전단력에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전단강도는 KDS 14 20 22의 규정을 만족해야 합니다.

(9) 기둥과 벽체의 계수휨모멘트

  • 슬래브 시스템과 일체로 이루어진 기둥과 벽체들은 슬래브 시스템에 작용하는 계수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 전체적인 해석을 하지 않는 한, 내부 받침부에서 슬래브 상하의 받침부재는 상하 부재의 강성에 직접 비례하여 식 (4.1-3)에 규정된 휨모멘트를 견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여기서, , , 는 짧은 경간에 대한 값입니다.
4.1.4 등가골조법

(1) 기본가정

  • 등가골조법에 의한 슬래브 시스템의 설계는 4.1.4.2부터 4.1.4.6까지 규정의 기본 가정을 바탕으로 하고, 이로부터 얻은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견디도록 슬래브 및 받침부재의 모든 단면을 설계해야 합니다.
  • 강재로 된 기둥머리를 사용하는 경우,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한 이들 기둥머리의 강성과 저항력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직접응력에 의한 기둥과 슬래브의 길이변화와 전단력에 의한 처짐은 무시할 수 있습니다.

(2) 등가골조

  • 건물 전체 구조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기둥선을 따라 등가골조로 이루어진다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 각 골조는 기둥이나 받침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좌우 슬래브 판의 중심선에 의해서 구획된 일련의 기둥 또는 받침부와 슬래브-보 대로 구성해야 합니다.
  • 기둥 또는 받침부는 비틀림 부재에 의해 슬래브-보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4.1.4.5 참조). 이 비틀림 부재는 휨모멘트를 산정하는 경간방향에 직교하고 기둥 측면부터 등가골조로 구획된 양측 슬래브 판 중심선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 단부에 인접하고 그에 평행한 골조는 그 단부와 인접한 슬래브 판의 중심선에 의해 구획되어야 합니다.
  • 각 등가골조는 전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연직하중에 대해서는 상하 기둥의 먼 단부를 고정으로 간주하여 각 층별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 슬래브-보를 각 층별로 분리하여 해석할 경우, 연속 슬래브의 한 받침부의 휨모멘트는 슬래브-보가 그 받침부부터 두 경간 떨어진 받침부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3) 슬래브-보

  • 접합부 또는 기둥머리 바깥의 슬래브-보 단면의 단면2차모멘트는 콘크리트 단면 전체에 대하여 산정해야 합니다.
  • 골조를 해석할 때 슬래브-보의 축을 따라 변하는 단면2차모멘트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 기둥 중심에서 기둥, 브래킷 및 기둥머리 면까지의 슬래브-보의 단면2차모멘트는 기둥, 브래킷 및 기둥머리 면의 단면2차모멘트를 으로 나눈 값과 같다고 가정해야 합니다. 여기서, 와 는 휨모멘트를 산정하는 경간에서 직교방향으로 측정한 값들입니다.

(4) 기둥

  • 접합부 또는 기둥머리 바깥에 있는 기둥의 단면2차모멘트는 콘크리트 단면 전체에 대하여 산정해야 합니다.
  • 기둥의 축을 따라서 변하는 단면2차모멘트의 변화는 골조를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 슬래브-보의 윗면과 아래면 사이 접합부에서 기둥단면의 단면2차모멘트는 무한대로 가정해야 합니다.

(5) 비틀림 부재

  • 비틀림 부재(4.1.4.2(3) 참조)는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 단면은 다음 중 큰 것으로 택해야 합니다.
    • 휨모멘트를 결정 산정하는 경간방향의 기둥, 브래킷 또는 기둥머리의 폭과 같은 폭의 슬래브 부분
    • 일체식이거나 완전합성구조일 경우 위의 ①에서 규정된 슬래브 부분에 슬래브 상하의 횡방향 보를 더한 것
    • 4.1.2.1(4)에서 정의한 횡방향 보
  • 비틀림 부재의 강성 는 근사적으로 다음 식 (4.1-4)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는 비틀림 상수로서, 유효플랜지폭을 갖는 보에서는 단면을 여러 개의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식 (4.1-5)에 따라 구해야 합니다.
  •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