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 표준시방서 313030 오수정화및물재이용설비공사

KCS_오수정화및물재이용설비공사
KCS_오수정화및물재이용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다음의 공사에 적용됩니다.

  • 오수처리시설 정화조:
    • 설치 지역: 「하수도법」에 따라 하수관로가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폐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지역, 또는 지방자치단체 조례에서 정한 오수처리시설 설치 대상 지역.
    • 설치 대상:
      • 종말처리구역으로 합류식 관거가 설치된 지역의 건물 및 기타 시설물 (건축면적 관계없이 설치)
      • 오수를 하수종말처리장 또는 폐수종말처리장으로 우수 및 오수분류식 하수도를 통해 유입 처리하는 경우
      • 환경부장관이 단독정화조 설치가 불필요하다고 지정 고시한 지역은 설치 제외
  • 단독 정화조:
    • 현장 시공형: 현장에서 설치하거나 반제품으로 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방식
    • 유닛형: 공장에서 생산된 완제품으로, 하수도법에 따른 재질검사 및 성능시험을 거친 제품
  • 물 재이용시설: 빗물이용시설, 중수도, 하·폐수처리수 재이용시설, 온배수 재이용시설 (단, 산업·환경설비공사표준시방서 (KSC 31 90 50)에 지정된 빗물이용시설 제외)
  • 빗물이용시설: 건축물 지붕면 등에 내린 빗물을 모아 이용하도록 처리하는 시설

1.2 참고 기준

  • 관련 법규: 건축법, 하수도법,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환경부 예규, 환경부 고시
  • 한국산업표준:
    • KS B 6301 원심펌프, 사류펌프 및 축류펌프 시험 및 검사방법
    • KS B 6302 펌프토출량 측정방법
    • KS B 6321 배수용 수중모터펌프
    • KS B 6351 용적형압축기의 시험 및 검사방법
    • KS M ISO 11833-1 플라스틱 – 무기소화 폴리염화비닐(PVC-U) 시트 – 종류, 치수 및 특성 제1부: 두께 1mm 이상의 시트
  • 관련 시방:
    • KCS 31 10 10 기계설비공사 일반사항
    • KCS 31 20 15 배관설비공사
    • KCS 31 35 15 현장제어 설비공사

1.3 용어의 정의

  • 오수처리시설: 하수도법에 따라 정화조 설치 지역을 정의하며, 해당 지역의 건물 및 시설물에 오수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단,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폐수종말처리장으로 오수를 직접 유입 처리하는 경우, 또는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단독정화조 설치 불필요 지역은 제외됩니다.
  • 단독 정화조: 오수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시설로, 현장 시공형과 유닛형으로 구분됩니다.
    • 현장 시공형: 현장에서 설치하거나 반제품을 현장 조립하는 방식입니다.
    • 유닛형: 공장에서 생산된 완제품이며, 하수도법에 따른 재질검사와 성능시험을 거칩니다.
  • 물 재이용: 빗물, 오수, 하수처리수, 폐수처리수, 발전소 온배수 등을 물 재이용 시설을 통해 처리하여 생활, 공업, 농업, 조경, 하천 유지 등에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 빗물이용시설: 건축물 지붕 등에서 내린 빗물을 모아 이용하도록 처리하는 시설이며,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상 건축물에 적법하게 설치하고 신고 및 확인을 받아 관리해야 합니다.

1.4 처리방법

  • 오수처리시설 및 물 재이용 시설: 처리 대상에 따라 적합한 처리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처리 효율은 법규에 맞춰야 합니다.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호기성생물학적 방법
    • 혐기성생물학적 방법
    • 물리·화학적 방법
    • 위의 방법을 조합한 방법
  • 단독정화조 시설: 처리 대상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며, 환경부에서 승인받은 새로운 처리방법도 적용 가능합니다.

1.5 방류수질 적용 기준

  • 오수처리시설 및 단독정화조: 「하수도법」에 따른 방류수질 기준을 적용합니다.
  • 수변구역 및 특별대책지역: 환경부장관은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위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자재

2.1 일반사항

  • 골조: 내수성 재료 (철근콘크리트, 철재, 플라스틱, 철근콘크리트관 등) 사용하며, 필요한 강도를 갖춰야 합니다.
  • 부식 및 변형 방지: 부식, 변형 우려가 있는 부분에는 내식성 재료 또는 방식, 보강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강재 부분 방청: 부식 우려가 있는 강재 부분에는 용융아연도금, 타르 에폭시수지 도료 3회 도장 또는 이와 동등한 방청처리를 시행해야 합니다.
  • 기기류: 장시간 연속 운전에도 고장 발생 없이 견고한 구조이며,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기계 장비: 분해, 청소, 조립,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제작됩니다.
  • 오수 중 설치 기계 장비: 막히거나 오물이 엉키지 않는 구조로 설계합니다.
  • 빗물이용설비: 주변 환경에 적합한 장비를 선택하여 설치합니다.

2.2 스크린

  • 자동 구동 스크린: 고정스크린, 설치프레임, 인양장치, 전동기 등으로 구성되며, 인양장치를 통해 스크린 찌꺼기를 자동 제거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고정 스크린: 두께 5mm의 STS 304 강재로 제작되며, 스크린 간격 유지를 위한 내식성 강재 지지부를 갖추고, 인양장치 갈퀴 및 레이크는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합니다.
    • 수중 설치 자재: 내식성 자재를 사용하고, 기타 자재는 내식성 또는 기계구조용 강재로 방식도장을 완벽하게 합니다.
    • 갈퀴장치: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하여 틀 안쪽 고정 연속 톱니궤도 위를 주행하는 구조로 합니다.
    • 축: 체인 길이 조절 가능한 지그베어링(UCF 211) 등을 부착하여 상하로 조절 가능해야 합니다.
    • 봉 간격: 10mm 이하, 설치 각도는 수평면 대비 45~60도 정도로 합니다.
  • 고정 스크린: 고정스크린과 설치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강봉스크린은 두께 5mm의 스테인리스 304 강재로 제작, 스크린 간격 유지를 위한 스테인리스 강재 지지부를 갖추고, 수중 설치 자재는 내식성 자재를 사용하며 기타 자재는 내식성 또는 기계구조용 강재로 방식도장을 완벽하게 합니다.
    • 봉 간격: 조목 스크린 25~50mm, 세목 스크린 5~20mm, 설치 각도는 수평면 대비 45~60도 정도로 합니다.
  • 스크린 부속품: 스크린 찌꺼기 인양 도구 (수제 버킷 1개)를 갖추어야 합니다.

2.3 파쇄장치

  • 구조: 감속기 부착형 전동기 직결 드럼형으로, 회전드럼, 고무, 절삭날, 커터 바 등으로 구성됩니다. 돌 및 금속 이외 고형물을 미세하게 자를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합니다.
  • 재질: 드럼 – 주철제, 절삭날 – 텅스텐 카바이드 소결초경합금, 고무 및 커터 바 – 특수강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재질 사용.
  • 본체 구조: 절삭날과 커터 바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됩니다.
  • 과부하 방지: 구동 장치 정회전 시 이물질 유입으로 과부하가 걸릴 경우, 역회전하여 이물질을 자동 제거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합니다.

2.4 위어판

  • 재질: KSMISO 11833-1에 따른 두께 10mm 이상의 FRP,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동등 이상의 내식성 및 강도를 갖춘 재료 사용.
  • 구조: 오물이 유로 밖으로 넘치지 않도록 설계합니다.

2.5 오수펌프

  • 기능: 오수 또는 오니를 필요한 곳으로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며, 기능이 확실해야 합니다.
  • 제작 기준: KS B 6302에 따라 제작된 제품으로, 유도전동기는 KS B 6301, KS B 6302, KS B 6321에 따라야 합니다.
  • 형식: 고형물이나 협잡물에 막히지 않는 구조의 임펠러형, 논클로깅형, 수중형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합니다.
  • 유량 조정 조 오수 이송 펌프: 이물질이 유입될 때 분쇄될 수 있는 커터형을 사용합니다.

2.6 배관 재료

| 구분 | 관 종류 | 명칭 | 규격 | 사용 구분 | 비고 | |—|—|—|—|—|—| | 오수 | 금속관 | 강관 | KS D 3507 | ○ | | | | | 백관 | KS D 8307 | ○ | | | | | 수도용 경질 염화 비닐 라이닝 강관 | KS D 3619 | ○ | | | | | 흑관, 백관 | 스테인리스 강관 | KS D 3595 | ○ | | | | |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 KS D 3576 | ○ | STS304 | | | 비철 금속관 | 플라스틱관 | 일반용 경질 염화 비닐관 | ○ | 허용 온도 이하의 곳에 사용 | | | | 경질 염화 비닐관 (두께 얇음) | | ○ | 이송관 등 압력이 걸리지 않는 곳에 사용 | | | | 수도용 내 충격성 경질 염화 비닐관 | KS M 3401 | ○ | 허용 온도 이하의 곳에 사용 | | | | 내열성 경질 염화 비닐관 | | ○ | | | 소포 | 금속관 | 강관 | KS D 3507 | ○ | | | | | 백관 | KS D 8307 | ○ | | | | | 수도용 경질 염화 비닐 라이닝 강관 | KS D 3619 | ○ | | | | | 흑관, 백관 | 스테인리스 강관 | KS D 3595 | ○ | | | | |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 KS D 3576 | ○ | STS304 | | | 비철 금속관 | 플라스틱관 | 일반용 경질 염화 비닐관 | ○ | 허용 온도 이하의 곳에 사용 | | | | 경질 염화 비닐관 (두께 얇음) | | ○ | 이송관 등 압력이 걸리지 않는 곳에 사용 | | | | 수도용 내 충격성 경질 염화 비닐관 | KS M 3401 | ○ | 허용 온도 이하의 곳에 사용 | | | | 내열성 경질 염화 비닐관 | | ○ | | | 오니 | 금속관 | 강관 | KS D 3507 | ○ | | | | | 백관 | KS D 8307 | ○ | | | | | 수도용 경질 염화 비닐 라이닝 강관 | KS D 3619 | ○ | | | | | 흑관, 백관 | 스테인리스 강관 | KS D 3595 | ○ | | | | |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 KS D 3576 | ○ | STS304 | | | 비철 금속관 | 플라스틱관 | 일반용 경질 염화 비닐관 | ○ | 허용 온도 이하의 곳에 사용 | | | | 경질 염화 비닐관 (두께 얇음) | | ○ | 이송관 등 압력이 걸리지 않는 곳에 사용 | | | | 수도용 내 충격성 경질 염화 비닐관 | KS M 3401 | ○ | 허용 온도 이하의 곳에 사용 | | | | 내열성 경질 염화 비닐관 | | ○ | | | 공기 | 금속관 | 강관 | KS D 3507 | ○ | | | | | 백관 | KS D 8307 | | | | | | 수도용 경질 염화 비닐 라이닝 강관 | KS D 3619 | | | | | | 흑관, 백관 | 스테인리스 강관 | KS D 3595 | ○ | | | | |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 KS D 3576 | ○ | STS304 | | | 비철 금속관 | 플라스틱관 | 일반용 경질 염화 비닐관 | ○ | 허용 온도 이하의 곳에 사용 | | | | 경질 염화 비닐관 (두께 얇음) | | ○ | 이송관 등 압력이 걸리지 않는 곳에 사용 | | | | 수도용 내 충격성 경질 염화 비닐관 | KS M 3401 | ○ | 허용 온도 이하의 곳에 사용 | | | | 내열성 경질 염화 비닐관 | | ○ | |

  • 주: 플라스틱관을 직사광선이 닿는 곳에 사용할 경우, 경질염화 비닐용 도장관을 사용합니다.

2.7 전동기

  • KCS 31 10 10 기계설비공사 일반사항에 따릅니다.

2.8 제어판

  • 구성: 판 본체, 계전기, 전원표시, 운전표시, 시동, 정지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누전차단기, 경보장치를 설치합니다.
  • 운전 방식: 오수 및 오물 펌프는 수동 및 자동 운전이 가능하며, 자동 운전은 액면제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2대를 설치할 경우,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상호 또는 동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2.9 액면제어장치

  • 수위액면계: 오뚜기형
  • 방류수 액면계: 4극형 (비상운전 및 경보 기능 포함)
  • 기타 사항: KCS 31 35 15에 따릅니다.

2.10 계측장치

| 계측 항목 | 계측 장치의 종류 | 계측 대상 | |—|—|—| | 유량 | 차압식 유량계, 전자식 유량계, 위어식 유량계, 파샬 플륨, 부표식 유량계, 초음파 유량계, 면적식 유량계 | 오수, 처리수, 오니, 공기 | | 액면 | 부표식 액면계, 워터퍼지식 액면계, 에어퍼지식 액면계, 전극식 액면계, 음파식 액면계 | 오수, 처리수, 오니, 공기 |

  • 계측장치: 대상 (오수, 오니, 공기 등)에 필요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이며, 내식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합니다.
  • 공사 시방서에 없는 경우: 위 표에 따라 계측 장치를 선택합니다.

2.11 유닛형 단독정화조

2.11.1 슈퍼스크린, 멀티시브스크린, 드럼스크린

  • 기능: 미세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오수 중 오물을 자동으로 수거하고, 수거된 오물을 이송, 압축, 탈수하여 오물 수거통으로 이송하는 구조 또는 레이크 형태로, 바닥 수평에서 30~40도 각도로 설치합니다.
  • 스크린 재질: 스테인리스강판으로 제작, 타공 지름은 5mm로 제작하여 오물을 최소화합니다. 스크린 유효 통과 면적은 시간 최대 유입 오수량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스크류 및 축 재질: 스테인리스강판으로 제작하며, 스크류는 오물 수거부, 이송부, 압축부로 나누어 용도에 맞게 타공 수량, 크기, 각도 및 간격을 정밀하게 맞춰 제작합니다. 오물 수거부 날개 끝에는 내마모성 수지로 가공된 브러쉬를 장착하여 스크린 구멍에 낀 오물을 쓸어 올리는 구조로 설계합니다. 축은 휨이나 굽힘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 감속기: 사이클로기어 방식 사용, 감속비율은 회전 속도를 1분당 약 2m로 계산하여 정합니다.
  • 전동기: 완전 밀폐형 양방향 회전형 전동기 사용, 절연 등급은 B급으로 합니다.

2.11.2 송풍기

  • 형식: 링 형 또는 루츠 형 또는 동등한 성능을 가진 제품 사용, 운전 중 저소음 및 저진동 (1m 이내 거리에서 측정 시 소음 90데시벨 이하)
  • 안전 밸브: 송풍기 토출 측에 안전 밸브 설치하여 운전 중 과부하를 방지합니다.
  • 기계실 환기: 송풍기 설치 기계실은 흡입에 필요한 흡입 공기와 압축열을 식힐 신선 공기 도입이 충분하도록 급배기 시설을 갖추어야 합니다.
  • 전동기: 절연이 양호한 반밀폐형 전동기 사용, 토출관에는 압력게이지를 설치하여 토출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2.11.3 오수 및 배수펌프

  • KCS 31 30 30 (2.5)에 따릅니다.

2.11.4 산기장치

  • 기능: 산기관과 산기 노즐 등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공기를 토출시키고, 높은 산소 용해율로 폭기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간격 및 높이를 일정하고 견고하게 설치합니다.
  • 구조: 막힘 없이 오수 중 협잡물이 엉키지 않는 구조로 설계하며, 기능 이상 발생 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나사식으로 설치합니다.
  • 강도: 수심에서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추어야 합니다.
  • 구획: 산기관 1개 구획은 10개 미만으로 하고, 각 구획별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여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합니다.

2.11.5 자동제어

  • 구성: 프로그램 로직 제어 (P.L.C) 시스템으로 구성, 전원 유닛, 중앙 처리 장치, 출력 유닛, 입력 유닛, 분석 유닛 및 이들을 부착하는 랙, 결선 단자와 프로그램머로 이루어집니다. 패널은 방습형으로 설치하며, 내부에 설치된 동력 차단 장치와 제어 장치는 부식으로 인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합니다.
  • 프로그램 작성: 자동 운전을 위한 기본 로직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중앙 처리 장치에 입력, 정화 처리 과정과 기계 장비 작동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합니다.
  • 계측기 설치: 오수 처리 시설에 설치되는 계기 중 작동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대상에는 법규에 적합한 계측기 (작동 상태 확인 기기)를 설치합니다.

2.11.6 탱크 및 부속설비

  • 탱크: 유입관, 방류수관, 탱크 사이 배관 접속이 적정한 구조로 제작합니다.
  • 내부 부품 및 부속설비: 부식 및 변형에 견디는 재료로 제작합니다.
  • 배관 재료: KCS 31 30 30 (2.6)에 따릅니다.

3. 시공

3.1 일반사항

3.1.1 적용범위

  • 정화조 설비공사 및 물 재이용 설비공사: 각각 해당하는 절의 규정에 따릅니다.
  • 가설공사, 토공사, 콘크리트공사, 미장공사, 방수공사, 강재공사, 보온 공사, 도장, 방청, 방식공사, 전기공사: KCS 31 10 10에 따릅니다.
  • 탱크, 기기, 배관, 배선 등: 설치, 운전, 유지에 관하여 관련 법규 및 본 시방서에 따라 안전, 위생, 방호를 위한 시설 및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 소음 및 진동 저감: 기기 운전으로 인한 소음,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방진기초, 방진고무, 방진이음, 소음장치 등을 설치합니다.
  • 기기 및 탱크류 양생: 설치 후 사용할 때까지 오손, 파손, 물, 습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양생을 실시합니다.
  • 탱크 시공: 탱크 바닥, 주벽, 칸막이벽은 내면이 평활하고 누수가 없도록 시공해야 합니다. 탱크는 토압, 수압, 부압, 자중, 적설, 자동차, 관리층 등의 하중에 충분히 견디도록 시공하고, 부동침하 위험이 있는 경우는 적절한 부동침하 대책을 강구합니다.
  • 개구부: 통기 및 배기를 위한 개구부는 우수, 토사 등 유입을 방지하고, 적설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구조로 합니다. 곤충 침입 우려가 있는 부분에는 방충망을 설치합니다.

3.1.2 기기의 설치

  • 수평 및 수직 조정: 기기 설치 시 정확하게 수평, 수직 중심 조정을 하고 기초 볼트 구멍에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킵니다. 모르타르 (배합비 1:3)를 굳혀서 볼트가 수직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 라이너: 기계 사용 시 흔들림이 없도록 양질의 라이너를 사용하며, 중심 맞추기에 사용하는 쐐기는 최종적으로 라이너와 교체하여 고정합니다.
  • 기초면: 라이너와 직접 접촉하는 기초면은 평탄해야 하며, 접촉면에 잘 맞게 설치합니다.

3.2 배관 및 용접

  • KCS 31 20 15에 따릅니다.

3.3 기기 설치

3.3.1 스크린의 설치

  • 설치 위치: 오수 유도부 하부는 평활한 상태를 유지하고, 스크린은 수도에 직각으로 설치하며, 설치 각도는 수평면 대비 45~60도로 합니다.
  • 수위 고려: 오수 유도부에 유입되는 오수는 스크린을 통과하도록 수위를 고려합니다.
  • 스크린 장치 하부 및 측면: 유도된 오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산성 재질을 사용하여 밀실하게 설치합니다.

3.3.2 파쇄장치의 설치

  • 유입 및 유출부: 수로에 밀착시키고 누수되지 않도록 설치합니다.

3.3.3 오수펌프의 설치

  • 탈착장치 연결: 탈착장치와 펌프 연결을 정확하게 하고, 탈착부를 패드에 고정할 때는 수평을 유지합니다.
  • 안내봉: 펌프 인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안내봉 간격과 수직을 적절히 조절합니다.
  • 맨홀 크기: 펌프 인양 작업을 고려하여 맨홀 크기를 결정합니다.
  • 인양 체인: 팽팽하게 당겨 상부에 고리를 설치하고 걸 수 있도록 합니다.
  • 동력 케이블: 적당히 당겨진 상태에서 더 이상 물속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결선합니다.

3.3.4 폭기장치의 설치

  • 설치 위치: 탱크 내 오수를 균등하게 교반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합니다.
  • 산기장치:
    • 산기관 및 산기 노즐: 이탈하지 않도록 수심이 일정하고 수평이 되도록 설치합니다.
    • 진동 및 보수: 공기 분출에 의한 진동이 적고,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설치합니다.
  • 기계식 교반 장치: 주축은 폭기조 중심부에서 수직이 되도록 설치하고, 교반 날개는 수위에 적절한 위치가 되도록 고정합니다.
  • 수중 폭기장치:
    • 제어 밸브: 급기관 또는 송기관에 설치된 제어 밸브는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부착합니다.
    • 플랜지 이음: 급기관 또는 송기관 도중에 플랜지 이음을 삽입하여 장치 교체를 용이하게 합니다.
    • 플럭: 탱크 천장에는 필요에 따라 중량물을 매달 수 있는 플럭을 설치합니다.

3.3.5 송풍기의 설치

  • 수평 설치: 송풍기는 기초 윗면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진동에 따른 이격을 방지하기 위해 기초 볼트를 견고하게 조입니다.
  • 방진 및 방음 장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방진 및 방음 장치를 설치합니다.
  • 플렉시블 조인트: 연결 배관에는 진동에 따른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시블 조인트를 설치합니다.
  • 벨트 걸이: 벨트 걸이의 경우, 벨트 길이가 적당하게 되도록 본체 및 전동기 위치 조정을 합니다.

3.3.6 접촉 여재의 설치

  • 변형 및 파손 방지: 접촉 여재는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양을 충진합니다.
  • 고정상 접촉 여재: 접촉함을 설치하여 충진합니다.
  • 플라스틱재 충진재: 담배재나 용접 불꽃 등 화기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고정상 접촉 여재 간극: 설치 후 오수 흐름이 원활하도록 적당한 간극을 유지하여 접촉 여재와 오수가 원활하게 접촉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합니다.

3.3.7 회전 원판 접촉 장치의 설치

  • 회전 원활성: 전동기, 감속기, 주축 축 등의 중심 및 수평 조정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회전이 원활하도록 합니다.
  • 스프로킷: 축에 견고하게 부착하고, 구동 측과 중동 측 스프로킷 중심은 정확하게 유지합니다.
  • 축과 감속기 간격: 체인 피치의 30~50배 거리 이내로 설치하고, 베어링 설치 부분은 회전 원판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합니다.
  • 베어링베이스 및 감속기베이스 앵커: 회전 원판 이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합니다.

3.3.8 정량 주입 펌프의 설치

  • 흡입 및 배출 호스: PE 호스 또는 PVC관 사용,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보양 조치를 합니다.
  • 고정: 수평을 유지하도록 적정한 간격으로 고정하며, 다이어프램 작동에 무리가 없도록 합니다.

3.3.9 월류 위어의 설치

  • 설치 위치: 소정의 위치에 전 길이에 걸쳐 수평으로 설치합니다.
  • 누수 방지: 설치 부가 누수되지 않도록 합니다.

3.3.10 찌꺼기 제거 장치의 설치

  • 찌꺼기 균등 흐름: 유입부에서 찌꺼기가 균등하게 흐르게 하고, 수준을 거의 수면과 동일 수준으로 하여 물만 유입되도록 설치합니다.

3.3.11 모듈의 설치

  • 재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에폭시 처리된 SS-41 사용
  • 폭기조 설치: 폭기조에서 모듈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다음 요령에 따라 설치합니다.
    • 폭기조 측면에서 모듈까지 500mm 간격 유지
    • 폭기조 바닥에서 모듈까지 500mm 여유 확보
    • 상과 상의 간격은 1m 이상 3m 이하로 유지하여 메디아가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합니다.
    • 고정상 접촉재 중 코드형 접촉재를 설치하는 경우, 여재 간극을 100~150mm 이내로 유지하여 설치합니다.

3.3.12 오니 인양기의 설치

  • 중심 구동식 인양기:
    • 기초 타설: 침전조 저부에는 기기 본체 설치 완료 후 두께 50mm 정도의 마무리 모르타르 (배합비 1:3)를 오니 인양기를 회전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타설합니다. 플레이트 하단과 모르타르면은 탱크 전면에 걸쳐 30mm 이하의 균일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난간 고정 기초 볼트: 구체 콘크리트의 철근에 용접합니다.
  • 체인 플레이트식 오니 인양기:
    • 기초 볼트: 골조 콘크리트의 철근에 용접합니다. 가이드레일 지지 금속의 기초 볼트는 보링 앵커 공법 등으로 설치합니다.
    • 레일: 탱크 중심에서 좌우로 나누어 소정의 위치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합니다.
    • 축: 소정의 위치에 평행하고, 탱크 중심에 직각으로 설치합니다.
    • 침전조 바닥 레일: 중심 맞추기, 수평, 평행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