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설계기준 47 80 30 광역철도역

광역철도역 연계교통시설 설계 기준

1. 일반사항

1.1 목적

  • 본 기준은 광역철도역 시설물에 대한 조사,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제시합니다.

1.2 적용 범위

  • 내용 없음

1.3 참고 기준

  • 연계교통시설은 광역철도역 입지와 이용수요 특성에 맞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 광역철도역과 연계교통시설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철도 이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역 주변 교통 혼잡을 방지해야 합니다.
  • 접근교통시설 위계는 도보, 자전거, 버스, 택시, 승용차 순으로 합니다.
  • 도시철도역의 경우 본 광역철도역 설계 기준을 참고하여 연계교통시설을 계획합니다.

1.4 용어의 정의

  • 내용 없음

1.5 기호의 정의

  • 내용 없음

1.6 설계 고려사항

1.6.1 연계교통시설 설치 시 고려사항
1.6.1.1 접근교통시설
  • 모든 광역철도 이용자는 편리하고 안전하게 철도역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승하차 및 환승은 쉽고 불편함이 없어야 하며, 교통약자를 고려하여 시설을 계획해야 합니다.
  • 접근교통시설은 광역철도 이용률이 제고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접근교통시설은 해당 역 입지와 접근수단별 특성 및 분담율을 고려하여 필요한 시설을 마련해야 합니다.
1.6.1.2 이용자 편의시설
  • 광역철도역의 규모,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이용자 편의시설을 마련해야 합니다.
1.6.1.3 연계교통 정보시설
  • 광역철도역 내부 및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필요한 연계교통정보 안내시설을 제공해야 합니다.
1.6.1.4 철도역간 환승시설
  • 다른 철도와 환승이 계획된 역사는 환승거리가 최소화되도록 계획해야 합니다.
1.6.2 연계교통시설 설치 기준
1.6.2.1 접근교통시설
  • 자전거 보관소, 버스 정류장, 택시 정류장은 모든 역에 필수시설로 설치하며, 시설 규모는 각 시설별 연계수요를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 도심부가 아닌 외곽지역과 같이 대중교통 서비스가 충분치 않아 승용차, 택시 접근이 많은 광역철도역의 경우 택시 대기공간, 승용차 정차장, 승용차 주차장의 설치를 적극 고려해야 합니다. 다만, 용지 확보 곤란 등 부득이한 경우 택시 대기공간, 승용차 정차장, 승용차 주차장의 설치는 별도의 공간으로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불가피한 경우 설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1.6.2.2 도보
  • 이용자가 보도를 통해 광역철도역 출입구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시설을 계획해야 하며, 횡단보도를 건너는 횟수가 가급적 최소화되도록 해야 합니다.
  • 이용자 동선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출입구 위치를 계획해야 합니다.
  • 접근로 폭원은 첨두시 수요를 감안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 대규모 수요를 유발하는 인접 건물이 존재하는 경우 관련기관과 협의하여 이용자가 접근이 용이하도록 연결통로 등 시설을 계획해야 합니다.
  • 교통약자 이용을 고려한 시설(휠체어리프트, 경사로, 점자블럭 등)을 이동 동선에 따라 계획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1.6.2.3 자전거
  • 광역철도역 주변에 자전거 도로가 있는 경우 자전거 보관소와 직접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광역철도역 출입구 인근에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보관 시설을 충분히 설치해야 합니다.
  • 공공자전거를 운영하는 도시에 광역철도역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당 지자체와 협의하여 공공자전거 대여소를 계획해야 합니다.
  • 자전거 보관시설에 대한 안내 표지판은 시인성이 양호한 장소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 자전거 보관시설은 파손 방지,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눈, 비 등을 가릴 수 있는 지붕 등의 가림막을 설치해야 합니다.
  • 자전거 보관시설은 건축물 안에 설치하는 경우나 임시적 이용이 주가 되는 경우에는 지붕이 없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1.6.2.4 버스
  • 버스 정류장은 광역철도역 출입구에서 최대한 가깝게 위치해야 하며, 가급적이면 버스베이(Bus Bay)를 설치하여 승하차가 편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 광역철도역 설치 시 해당 철도 노선과 중복되는 버스 노선의 조정 및 지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계 버스 노선이 운행되도록 관련기관과 협의해야 합니다.
  • 열차 운행 횟수가 적은 광역철도역은 연계되는 버스 노선과 열차의 출도착 시각이 연계되도록 해야 합니다.
  • 버스 정류장은 마을버스 정류장, 시내버스 정류장, 광역/시외버스 정류장, 리무진 버스 정류장 등으로 구분합니다.
  • 광역/시외버스 정류장 및 리무진 버스 정류장과 같이 철도역에 위치한 버스 정류장이 버스 노선의 기종점 역할을 할 경우 별도의 버스 대기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 광역/시외버스 정류장, 리무진 버스 정류장은 수송 수요,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하여 별도 계획이 불필요할 경우, 시내버스 정류장과 통합 운영할 수 있습니다.
1.6.2.5 택시
  • 택시 정류장: 택시 정류장은 광역철도역의 출입구와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되, 버스 정류장과 상충이 있는 경우 버스 정류장의 설치를 우선하도록 합니다. 역 규모 및 이용자 특성에 따라 모범택시나 리무진택시 정류장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택시 대기공간: 택시 대기공간 시설은 혼잡을 줄이기 위해 택시 정류장 시설과 분리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다만, 철도역 규모와 이용 수요를 감안하여 필요시 택시 정류장과 공용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택시 대기공간에는 필요시 택시를 호출할 수 있는 안내 정보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1.6.2.6 승용차
  • 승용차 정차장: 승용차 정차장 시설은 택시 정류장 시설 및 택시 대기공간과 분리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다만, 철도역 규모와 이용 수요를 감안하여 택시 연계 시설과 공용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승용차 주차장: 승용차 운전자가 주차장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안내 표지가 설치되어야 하며, 주차장 여유 공간 등을 알 수 있도록 실시간 주차 정보 안내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시인성이 양호한 장소에 주차장에서 광역철도역 접근 동선에 대한 안내 표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주차장 진입 동선은 기존 도로의 혼잡이 최소화되도록 계획해야 합니다.
1.6.3 이용자 편의시설
1.6.3.1 에스컬레이터/엘리베이터
  • 이용자가 역사 내 이동 및 버스, 택시 등 접근교통시설로 이동하는 경로에 수직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계단 외에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1.6.3.2 무빙워크
  • 역사 내 연계교통시설 이용을 위한 단일 수평 이동 거리가 5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빙워크 설치를 검토해야 합니다.
1.6.3.3 열차 운행 정보 시스템
  • 열차 운행 정보 시스템은 역사 내, 역 출입구 등에 설치하여 광역철도 이용자들에게 열차 운행 정보를 제공합니다.
  • 열차 운행 정보는 열차 출발 및 도착, 최단 환승 위치, 열차 탑승 위치, 지연 시간 안내 등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1.6.3.4 안내 표지판
  • 이용자가 철도역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광역철도역 주변에 적정한 안내 표지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 열차 이용 관련 정보는 해당 역사의 방향별 열차 시각표, 해당 노선의 전 구간 노선도, 해당 광역권의 전체 철도 노선도, 비상 대피 안내도 등을 제공해야 합니다.
  • 열차 이용 관련 정보 안내판은 대기 공간 및 승강장 등 열차 승객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1.6.4 연계교통 정보 시설
1.6.4.1 주변 지역 안내도
  • 주변 지역 안내도는 역사 내에 설치하며, 해당 역사를 중심으로 도보권에 위치한 반경 1km 이내의 지역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 주변 지역 안내도에는 자전거 보관소, 버스 정류장, 택시 정류장, 승용차 주차장 등 인접한 접근교통시설 위치를 포함하여야 하며, 주요 공공기관 및 대규모 시설물 등을 표기해야 합니다.
1.6.4.2 출구별 안내판
  • 출구별 안내판은 철도역 출구별로 인접한 주요 공공기관 및 대규모 시설물 등을 표기해야 하며, 출구 방향별 연계 버스 노선 등에 대한 안내를 포함해야 합니다.
1.6.4.3 키오스크 등
  • 철도역의 규모, 특성 등에 따라 키오스크, 대중교통 안내 시스템(버스, 도시철도, 광역철도, BRT 등) 등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연계교통정보 시설은 접근교통시설과 상호 연계되도록 계획합니다.
1.6.4.4 버스 정보 시스템
  • 버스 정보 시스템(BIS)을 운용 중인 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광역철도역에 연계되는 버스 운행 노선의 출도착 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버스 정보 시스템 단말기를 역사 내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적극 협조합니다.
  • 연계되는 버스 정류장이 출구별로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출구 방향별 정류장에 해당되는 버스 운행 출도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1.6.4.5 철도역간 환승시설
  • 광역철도 노선간 환승 또는 일반철도 및 도시철도와의 환승 시 환승 통로의 수직 및 수평 이동을 최소화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 무빙워크 등을 설치합니다.
  • 환승 역사의 환승 거리는 환승 방향별 환승객 규모에 따라 가중 평균된 평면 환산 거리를 산정하며, 환승 통로 입출구간 평면 환산 거리가 가급적 180m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 환승객 규모 가중 평균 평면 환산 거리 계산식: (1.6-1)
  • 지하에 위치한 철도역과 지상의 철도역간 이동 시 가급적 외부로 이동하지 않고 내부에서 바로 연계가 가능하도록 계획합니다.

2. 조사 및 계획

  • 내용 없음

3. 재료

  • 내용 없음

4. 설계

  • 내용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