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설계기준 51 40 10 하천어도

하천어도 설치 기준

1. 일반사항

1.1 목적

본 기준은 하천어도 설치를 위한 관련 기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1.2 적용 범위

본 기준은 하천에 설치되는 보, 수문, 하상유지시설 등으로 인해 어류 이동이 곤란 또는 불가능해지는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하천어도에 적용한다.

1.3 참고 기준

내용 없음.

1.4 용어 정의

  • 강하: 어류가 하천을 내려가는 것
  • 격벽: 풀형식 어도에서 풀을 나누는 벽체. 월류벽 (물이 넘는 벽)과 비월류벽 (물이 넘지 않는 벽) 포함.
  • 노치: 계단식 어도에서 격벽 상단 일부를 낮게 파놓은 것
  • 도류벽: 흐름을 완만하게 하기 위해 설치한 일부분이 막히지 않은 격벽. 도벽이라고도 함.
  • 돌진속도: 물고기가 순간적으로 낼 수 있는 속도
  • 순항속도: 물고기가 장시간 계속해서 낼 수 있는 유영속도
  • 어도: 하천에 어류 이동을 곤란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진 수로 또는 장치
  • 어도입구: 어도의 하류단으로 물고기가 어도에 진입하는 곳
  • 어도출구: 어도의 상류단으로 물고기가 상류 하천으로 나가는 곳
  • 유인수로: 어류를 어도 입구로 유도하는 수로
  • 유인효율: 어류를 어도 입구로 유도하는 효율
  • 이동효율: 어류가 어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효율
  • 잠공: 어도 격벽 하단에 뚫어놓은 구멍
  • 측벽: 어도의 양측면 외벽
  • 회유: 물고기가 알을 낳거나 먹이를 찾기 위해 계절을 따라 일정한 시기에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떼 지어 헤엄쳐 다니는 일

1.5 기호의 정의

내용 없음.

1.6 시설물의 구성

1.6.1 어도의 종류
  1. 어도 형식은 크게 풀형식, 수로형식, 조작형식으로 구분한다.
  2. 풀형식은 계단식, 버티컬슬롯식, 아이스하버식을 말한다.
  3. 수로형식은 도벽식, 인공하도식, 데닐식을 말한다.
  4. 조작형식은 갑문식, 리프트식, 트럭식을 말한다.
  5. 본 설계 기준에서는 계단식, 아이스하버식, 버티컬슬롯식, 도벽식 어도를 표준형식으로 설정한다.
1.6.2 어도형식별 장·단점

어도 설치 시 경제성뿐만 아니라 피라미, 뱀장어 등 모든 어종과 참게 등 하천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운영이 쉽고, 홍수기에는 하천 통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어도 형식별 장·단점 비교는 아래 표와 같다.

| 형식 | 장점 | 단점 |
|—|—|—|
| 계단식 | – 구조가 간단하다.
– 시공이 간편하다.
– 시공비가 저렴하다.
–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 – 어도 내 유황이 고르지 못하다.
– 풀 내에 순환류가 발생할 수 있다.
– 도약력, 유영력이 좋은 물고기만 이용하기 쉽다. |
| 아이스 하버식 | – 어도 내 유황이 고르다.
– 회유 중인 물고기가 쉴 휴식 공간을 따로 둘 필요가 없다. | – 계단식보다 구조가 복잡하여 현장 시공이 어렵다. |
| 인공 하도식 | – 모든 어종이 이용할 수 있다. | – 설치할 장소가 마땅치 않다.
– 길이가 길어져서 공사비가 많이 든다. |
| 도벽식 | – 구조가 간편하여 시공이 쉽다. | – 유속이 빨라 적당한 수심을 확보하기 어렵다.
– 어도 내 수심을 20cm 이상으로 할 경우 용수 손실이 크다.
– 어도 내 유속이 고르지 못하다. |
| 버티컬 슬롯식 | – 좁은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 | – 구조가 복잡하고, 공사비가 많이 든다.
– 어도 내 수심을 20cm 이상으로 할 경우 용수 손실이 크다.
– 다양한 물고기가 이용하기 어렵다.
– 경사를 1/25 이상으로 급하게 할 경우 빠른 유속으로 어류 이동이 제한된다. |

1.6.3 어도의 표준형식 설정
  1. 어도 표준형식은 계단식, 아이스하버식, 버티컬슬롯식, 도벽식 어도로 설정하고, 표준도면을 참고한다.
  2. 어도 설치 시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출구부에 대해서는 각 형식별 표준도면을 참고한다.

2. 조사 및 계획

2.1 조사 및 계획 일반

2.1.1 어도의 설치계획 수립
  1. 어도 계획 시 수리시설물 자체의 필요성 검토가 우선되어야 한다.
  2. 어도는 어류의 진입, 회유가 용이해야 하며, 구조가 견고하고 유지관리가 쉬운 조건이어야 한다.
  3. 하천에 서식하는 대상 동물을 선정하고, 회유 시기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2.1.2 어도의 기초 설계조건
  1. 어도 입구는 하천 유심에 연결하고 하상변동이 많지 않은 곳을 선정하며, 출구는 유속을 감쇄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2. 어도 내 단면평균 유속은 0.5~1.0 m/s를 기본으로 하되, 유속 크기는 대상 어종에 따라 결정해야 하며, 유속 구조 (표면류, 잠입류, 경사류 등)는 회유에 유리하도록 한다.
  3. 어도 설계유량은 동절기 (갈수기)를 제외하고 해당 지역 서식 어종 (대표어종)이 이용할 수 있도록 유황분석을 통해 결정하며, 취수조건, 대상 동물 종류 등을 고려한다. 갈수기에는 취수 잔량이 모두 어도로 흐르도록 한다.

2.2 조사 (안정성, 사용성, 시공성, 경제성 등)

내용 없음.

2.3 계획

내용 없음.

3. 재료

3.1 재료 일반

내용 없음.

3.2 재료 특성

내용 없음.

3.3 품질 및 성능 시험

내용 없음.

4. 설계

4.1 어도 세부설계

4.1.1 어도의 설계 절차

어도 설계 절차는 자료 수집, 설계조건 설정, 기본설계, 상세설계, 유지관리계획 설계 순서로 진행한다.

4.1.2 어도형식의 선정

어도 형식 선정은 이용 어종 다양성, 대상 어종 유영력, 수리시설물 길이, 어도 유량, 수리시설물 상하류 낙차, 상류 수위 변동폭, 공사비, 유지관리비, 휴식 풀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4.1.3 어도의 세부 설계요소
  1. 어도 폭은 하천과 유로 규모 및 유량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어류 회유기 시 유량이 전량 어도로 통과될 수 있어야 한다.
  2. 어도 경사는 모든 어종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완만하게 해야 한다.
  3. 어도 내부 수심은 수로형식의 경우 격벽 사이에서 0.2 m 이상으로 하고, 풀형식의 경우 0.7 m 이상으로 한다.
  4. 어도 내부 격벽 간격, 노치와 잠공 크기 및 위치 등은 어류 회유에 유리한 흐름 구조가 생성될 수 있는 조건을 기준으로 설계한다.
  5. 어도 입구 위치는 어류 유인에 유리한 셋백식 (어도 입구를 보의 위치까지 끌어들인 형태)을 우선 적용하되, 지형 및 수리 특성에 따른 유인 효율을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6. 장기 하상변동 영향을 고려하여 어도 이용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위치를 선정한다.
4.1.4 어도의 이용효율 평가
  1. 어도 이용 효율 평가는 어류 회유뿐만 아니라 하천환경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2. 관측 시기는 어류가 주로 회유하는 3~10월을 기준으로 하되, 산란기에는 추가 조사한다.
  3. 어류 채집을 위한 어망은 치어까지 모두 채집 가능하도록 그물코가 5mm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고, 어도 출구 전체에 설치하여 24시간 동안 포집해야 한다.
  4. 어도 이용 효율 평가를 위한 어류 모니터링 방법은 주변 환경 및 조건 등을 고려하여 투망, 족대, 정치망, 자망, 통발 및 꼬리표 등 중 선택적으로 선정한다.
  5. 어류에 부착된 꼬리표를 통한 어도 이용 효율 평가 시 유인 효율과 이동 효율을 분리하여 평가하고, 각각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6. 장기 하상변동에 따른 어도 주변 수리 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어도 이용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