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 표준시방서 11 50 30 특수기초
“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 이 기준은 지하연속벽,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 PIP 말뚝 및 유사계통의 말뚝, 합성말뚝, 기타 특수말뚝 등 특수기초 공사에 적용됩니다.
1.2 참고기준
1.2.1 관련 법규
- 해당 사항 없음
1.2.2 관련 기준
- KCS 11 50 10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 KCS 11 50 15 기성말뚝
- KCS 14 20 11 철근공사
-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1.3 용어의 정의
- 해당 사항 없음
1.4 제출자료
1.4.1 시공계획서
- 공사 착수 전, 지반조사를 통해 지층, 지하수, 해수, 인근 우물 사용 현황 등 주변 상황을 조사하여 시공계획서를 작성하고 공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 지하연속벽의 최소 두께는 구조물의 응력해석 결과에 따라 0.6~1.5m 또는 그 이상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 파이핑, 히빙 및 보일링 위험이 있는 지반 조건에서는 검토 및 보강 계획을 반영해야 합니다.
- 지반조사, 지하수 조사, 기존 구조물, 매설물, 주변 상황 등 필요한 조사 계획을 포함해야 합니다.
- 안전하고 원활한 공사를 위해 필요에 따라 공사 감독자가 제시한 설계 변경 또는 시공법 변경을 수용해야 합니다.
- 공사 중 지장 또는 손상 우려가 있는 기존 수도관, 가스관 등의 설비는 관계기관과 협의 후 공사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시공 계획에 반영해야 합니다.
- 굴착 중 출토물 발생 시 공사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시공 계획에 반영해야 합니다.
- 안내벽은 굴착기 등 중량에 의한 표면 흙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시공 계획에 반영해야 합니다.
- 시공 기계 및 장치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여 선정해야 합니다.
- 지반 조건, 굴착 깊이, 현장 조건에 맞는 기계를 선정해야 합니다.
- 안정액 제조 및 재생 장치는 충분한 성능과 용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2. 자재
-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공사 시방서에 따르며, 달리 명시되지 않은 경우 다음을 따릅니다.
- 시멘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시멘트계 고화재 및 혼화재는 공사 시방서에 따릅니다.
- 골재 치수는 13~25㎜를 표준으로 합니다.
- 공기 함유율은 (4.5±1.5)%를 표준으로 합니다.
- 단위 시멘트량은 350 ㎏/㎥ 이상, 물-시멘트 비는 50% 이하로 합니다.
- 슬럼프값은 18~21 ㎝를 표준으로 합니다.
- 배합 강도는 설계 강도의 125% 이상으로 합니다.
- 팽창제, AE제 또는 감수제의 배합 비율은 제조자의 시방서에 따릅니다.
- 철근은 KS D 3504에 적합한 이형 철근을 사용해야 합니다.
- 슬러리는 천연산의 분말 벤토나이트를 사용하며, 입도는 90%가 0.850 ㎜보다 가늘고, 0.075 ㎜보다 가는 것은 10% 미만이어야 합니다.
- 물에 혼합된 벤토나이트 슬러리는 분말 벤토나이트가 안정된 부유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비중은 1.04~1.36 범위이어야 합니다.
-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 시공 시 주입 모르타르의 재료, 배합, 굵은 골재 크기 등은 공사 시방서에 따릅니다.
- 기타 자재는 관련 시방서에 따릅니다.
3. 시공
3.1 지하연속벽
3.1.1 일반사항
- 지중에 굴착 또는 천공 후 공 내에 철근 또는 보강 강재를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하는 지하연속벽에 적용됩니다. 벽체를 건물의 일부로 사용할 때에는 공사 시방서에 따릅니다.
3.1.2 장비
- 파내기 슬러리 장비는 다음 사항을 만족하도록 선정해야 합니다.
- 자갈 및 호박돌을 포함한 이물질을 깊은 도랑에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도랑 내에서 슬러리의 수직 통과가 자유롭고 흡입이나 압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합니다.
- 깊은 도랑의 검사용 도구나 장치는 승인된 시공 상세요면에 명시된 치수로 도랑이 패고, 침전된 파낸 재료가 제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슬러리 혼합기는 기계적 교반으로 벤토나이트와 물이 안정된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야 하며, 벤토나이트 슬러리는 가설 배관이나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 도랑까지 운송해야 합니다.
- 슬러리를 파낸 도랑의 전 깊이에 걸쳐서 순환 및 교반해주는 장비를 갖추어야 하며, 슬러리를 압축 공기로 교반해서는 안 됩니다.
- 슬러리 회수 장비를 사용하여 도랑 내에 깨끗한 슬러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슬러리에 섞여 있는 해로운 재료를 제거해야 하며, 회수된 슬러리는 연속적으로 도랑에 재순환시켜야 합니다.
- 슬러리는 감시하고 조절하여 분말이 부유 상태에 있도록 해야 합니다.
- 파내기는 계획서를 기초로 하여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 파내기 구멍은 수직으로 판다. 최대 허용차는 1.0% 이하로 합니다.
- 필요 깊이까지 정확하게 파내기를 합니다.
- 파내기할 때는 주위 지반의 붕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 항상 계측하면서 파내기를 하여야 하며, 파내기 구멍벽의 붕괴 방지에 유의합니다.
- 접속 부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주의하며 차수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3.1.3 시공 관리
- 벤토나이트 등의 안정액을 사용할 때에는 파내기 지반에 적합한 조합이 될 수 있도록 선정하고 사용 중에는 그 성능을 관리하며, 나빠진 안정액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파내기 완료 후 파내기 심도를 확인하고 바닥의 슬라임을 제거합니다.
- 소정의 파내기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할 때에는 그 원인을 충분히 검토하여 공사 감독자와 협의하여 적절히 처리합니다.
- 트레미 콘크리트는 다음 사항에 주의합니다.
- 슬러리 도랑벽은 트레미 콘크리트로 벤토나이트 슬러리를 완전히 대치해서 만들어야 합니다.
- 철근 또는 보강 강재를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철근이나 보강재 등이 이동되지 않도록 처리해야 하며, 철근망과 도랑 측면 사이는 최소 100㎜ 정도의 콘크리트 피복이 유지되도록 시공합니다.
- 수중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트레미관을 사용하여 선단은 항상 콘크리트 중에 2 m 이상 묻혀 있도록 하고, 트레미관의 접속 부분은 누수되지 않도록 조치합니다.
- 콘크리트는 트레미 파이프를 통해서 자연류나 펌핑으로 타설하며, 트레미 파이프는 슬러리가 트레미 파이프 속의 콘크리트와 혼합되지 않도록 바닥에 밸브를 갖추어야 합니다.
- 패널 파기가 완료되고 12시간 내에 파낸 패널에 트레미 콘크리트 타설을 바닥에서부터 시작하며 완료될 때까지 중단 없이 계속해서 진행해야 합니다.
- 지하연속벽이 완료된 후 필요하면 윗부분의 벤토나이트 등의 혼입 부분을 정확하게 제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합니다.
- 콘크리트 타설 시 사고 발생 시 공사 감독자와 협의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 철근 또는 보강 강재의 삽입은 다음 사항에 주의합니다.
- 철근 또는 보강 강재의 치수를 정확하게 하고 집어넣을 때 구부러지거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합니다.
- 철근 또는 보강 강재를 넣을 때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흙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파내기벽을 손상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합니다.
- 철근 또는 보강 강재를 사용할 때에는 상하의 철근 또는 보강 강재가 일체되도록 시공합니다.
- 벽체와 슬래브 연결을 위한 철근은 구부려 되펴기할 경우 구조 부재가 되지 못하므로 연결 철근 설치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 매몰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슬래브 철근 배근 시 구멍에 삽입 등의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 벽체 아래의 파이핑이나 벽체의 횡이동으로 인한 지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공 기면 아래로 충분히 벽체를 매입해야 합니다.
- 슬러리벽 부근의 설비 시설과 구조물 탐지, 보호, 유지, 이설 및 복구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 슬러리벽은 승인된 시공 상세요면에 명시된 폭과 깊이를 갖는 패널로 파내어야 하며, 지반 침하에 민감한 시설물에 인접한 땅 파기에서는 패널 길이를 줄여야 합니다.
- 벽체 패널은 트레미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될 때까지 시공 상세요면에 명시된 한도까지 슬러리를 채워 두어야 합니다.
- 시공 중에는 주변 도로를 훼손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흙 파기 구멍에 투입된 안정액이 지반을 통하여 매설물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현장 타설 지하연속벽 시공 중에 필요한 검사, 시험, 측정 등을 실시하여 기록을 보관해야 합니다.
3.2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
- 말뚝에 사용하는 철근의 배근, 지름, 이음 방법 및 피복 두께와 철골 등은 설계서에 따릅니다.
- 나선 철근 및 띠 철근과 주 철근의 교차점은 결속선으로 고정시키고 주 철근의 길이 1m 이내마다 점용 접을 합니다.
- 굵은 골재를 투입할 때나 모르타르를 주입할 때에 흙과 모래가 혼입되지 않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케이싱 등을 사용합니다.
- 굴착 후 철근 또는 철골을 삽입한 다음에는 모르타르 주입관을 넣고 그 사이에 자갈을 채웁니다.
- 모르타르 주입관의 이음은 방수를 하고, 관의 끝 부분은 항상 주입 모르타르의 표면 이하에 두고 관 내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배려합니다.
- 구멍 안에 자갈을 채운 후 주입관을 이용하여 밑에서부터 모르타르를 주입하는데, 모르타르 주입 전에 자갈에 물기가 없을 경우에는 물을 부어 자갈이 물에 잠기도록 하고, 모르타르 주입 완료 시에는 말뚝 머리 부분에 굵은 골재를 두께 500㎜ 이상 여분으로 넣은 뒤 철판으로 누르고 그 후에 모르타르가 굳으면 떼어냅니다.
- 말뚝 매 1개의 모르타르 주입 작업은 중단하지 않고 완료해야 합니다.
- 모르타르를 주입할 때의 채움 상승 속도는 매분 1m 이하로 합니다.
- 오거, 모르타르 믹서, 모르타르 펌프 및 모르타르 주입관 등에 대하여 공사 감독자의 승인을 받습니다.
- 기타의 공법 및 공기구에 대해서는 공사 시방서에 따릅니다.
3.3 PIP 말뚝 및 유사계통의 말뚝
- 철근의 조립은 KCS 14 20 11에 따릅니다.
- 주입 속도와 오거의 끌어올리기 속도와의 관계는 오거의 밑바닥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조작하되, 오거 끝 부분에서의 수압 및 토압을 고려하여 이것에 상당하는 압력으로 주입하고 과다한 고압 또는 저압으로 작업하여서는 안 됩니다.
- 철근의 삽입은 철근과 구멍 둘레 벽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모르타르 주입 후 신속히 실시합니다.
- 기타의 공법 및 공기구에 대하여서는 공사 시방서에 따릅니다.
3.4 합성 말뚝
- 기성 콘크리트 말뚝은 KCS 11 50 15에 따릅니다.
- 강재 말뚝은 KCS 11 50 15에 따릅니다.
-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은 KCS 11 50 10에 따릅니다.
- 시공 치수, 형상 등은 설계서에 따르며, 이음 부분의 맞춤도 그에 따라 정밀하게 맞춥니다.
- 상하 말뚝의 중심은 일직선이 되도록 박습니다.
3.5 기타 특수 말뚝
- 공사 시방서에서 지정한 공법에 따라 시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