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시방서 KCS

표준시방서 KCS 모음입니다.

KCS_31 45 10 35_연결송수관 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10 35 연결송수관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연결송수관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자재 2.1 방수구 기구함 (1) 함의 재질은 두께가 1.5mm 이상의 강판으로 하고 방식처리를 한다.(2) 함의 문짝은 1.5mm 이상의 스테인리스 강판 혹은 강판이나 동등 이상의 재질로 하고 ‘방수구 […]

KCS_31 45 10 30_소화용수 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10 30 소화용수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소화용수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자재 2.1 상수도 소화전 소화전 형식은 옥외 소화전으로 한다. 2.2 배관재료 KCS 31 20 15에 따른다. 2.3 소화수조 및 저수조 소화에 필요한 물을 항시 채워두는 수조를 설치한다. 3.

KCS_31 45 10 25_포소화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10 25 포소화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포소화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자재 2.1 개방밸브 (1) 자동식 개방밸브는 화재감지장치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한다.(2) 수동식 개방밸브는 화재 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2.2 포소화약제의 종류 포소화약제의

KCS_31 45 10 20_물분무 소화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10 20 물분무 소화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물분무 소화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자재 2.1 물분무 헤드 물분무 헤드는 소화펌프의 유량 및 양정 조건에 의하여 분사각도, 유량 및 분무 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2.2 자동개방밸브(deluge valve) (1) 자동개방밸브는 감압 개방식으로

KCS_31 45 10 15_간이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10 15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간이스프링클러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자재 2.1 헤드 2.1.1 간이 헤드 (1) 폐쇄형 간이헤드를 사용한다. 다만, 동파 등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개방형 간이헤드를 사용할 수 있다. (2) 설치장소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표시온도

KCS_31 45 10 10_스프링클러 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10 10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스프링클러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자재 2.1 헤드 2.1.1 스프링클러 헤드 (1) 폐쇄형헤드는 본체, 프레임, 디플렉터 및 감열기구 등으로 구성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설치장소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표시온도 및 살수방향을 갖는 디플렉터를

건설기준정보 모음
최신 건설 시방서(KCS), 부동산 관련 법규 및 세무 정보, 그리고
국토교통부 등 정부기관의 공식 질의회시를 제공하는 전문 정보 아카이브입니다. 면책조항: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지 않으며,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정보 및 법률 자문은 반드시 해당 기관 또는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2024 건설기준정보 모음. All Rights Reserved.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