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사설계기준 KDS

건설공사설계기준 KDS 모음입니다.

KDS_None_경지정리 일반사항
건설공사설계기준 KDS

KDS 경지정리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목적 (1) 경지정리는 지역개발의 일환으로서 농업생산 및  농촌환경의 주된 구성요소인 포장조건을 종합적으로 정비함으로써 농업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농촌환경의 보전에 기여하는 것이므로 계획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에 유의하여 수립해야 한다.① 대상지역에 대해 장래 예측되는 영농의 형태에 적합하고, 토지 및 노동 생산성이 높고 효율적이며 합리적인 영농을 할 수 있을 것.② 농촌의 환경조건(생산환경 및 생활환경) […]

KDS_67 45 90_농지배수 유지관리
건설공사설계기준 KDS

KDS67 45 90 농지배수 유지관리

1. 일반사항 1.1. 목적 (1) 농지배수 유지관리 기준은 농지의 배수펌프장, 배수문, 배수로 등 배수시설에 의한 농작물 침수피해 방지 및 작물재배 여건 유지를 위한 시설물의 사용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고 농지 유출수의 수질관리 계획 관련 사항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2) 이 설계기준(이하 ‘기준’이라 칭함)은 기후변화 등 이상기상 현상을 반영한 농지배수 시설물 및 유출수의 효율적, 경제적 관리를 위해 수립한다.

KDS_67 45 40_농지 지하배수
건설공사설계기준 KDS

KDS67 45 40 농지 지하배수

1. 일반사항 1.1 목적 (1) 농지 지하배수계획은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에서 농업용 배수시설의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지하배수시설의 배수량 및 배수조직의 구성 등 시설계획의 수립을 위한 관련 설계 사항을 규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2) 이 기준은 농지의 과습방지와 농지의 전작화, 범용화 및 복합영농 등을 위하여 농지의 배수능력 향상 및 기계 작업의 효율 제고 영농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수립한다. 1.2 적용

KDS_67 45 30_농지 지표배수
건설공사설계기준 KDS

KDS67 45 30 농지 지표배수

1. 일반사항 1.1 목적 (1) 농지 지표배수는 홍수시 배수량을 안전하게 배제하기 위한 시설관련 사항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2) 기후변화와 국지성 호우 및 기습폭우 등 이상기상 현상을 반영한 침수재해예방과 농지의 전작화 및 범용화를 고려한 영농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수립한다. 1.2 적용 범위 (1) 본 기준은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농지배수를 위한 지표배수시설 계획 시에 조사 및 분석, 계획수립 등의

KDS_67 45 20_농지배수 수문설계
건설공사설계기준 KDS

KDS67 45 20 농지배수 수문설계

1. 일반사항 1.1 목적 (1) 농지배수 수문설계는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에서 농업용 배수시설의 사업계획(이하 계획이라 칭함)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강우량, 홍수량, 배수량 등 수문 관련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관련 사항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2) 농지배수 수문설계에서 제시하는 설계기준(이하‘기준’이라 칭함)은 기후변화와 집중호우, 극한호우 및 기습폭우 등 이상기상 현상을 반영한 침수재해예방과 농지의 전작화 및 범용화를 고려한 영농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수립한다.

KDS_67 40 90_농지관개 유지관리
건설공사설계기준 KDS

KDS67 40 90 농지관개 유지관리

1. 일반사항 1.1 목적 이 기준은 관개용수의 안정적인 공급과 사용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적용 범위 이 기준은 「농어촌정비법」제2조6호 및 제18조의 규정에 따라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유지관리에 적용한다. 1.3 참고기준 1.3.1 관련법규 ·농지법·농어촌정비법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물관리기본법·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자연재해대책법·저수지·댐의 안전관리 및 재해예방에 관한 법·지속가능한

건설기준정보 모음
최신 건설 시방서(KCS), 부동산 관련 법규 및 세무 정보, 그리고
국토교통부 등 정부기관의 공식 질의회시를 제공하는 전문 정보 아카이브입니다. 면책조항: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지 않으며,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정보 및 법률 자문은 반드시 해당 기관 또는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2024 건설기준정보 모음. All Rights Reserved.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