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CS 금속 현장제작품공사(서울특별시 전문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금속 현장제작품공사의 적용 범위는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1) 다음 사항은
1.5 품질보증
1.5.1 시험시공
(1) 공사감독자가 지정하는 위치에 종류 및 규격별로 1개소씩 견본 시공한다.(2)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경우 시험 시공부위를 시공 등의 일부분으로 간주한다.
1.6 운반, 보관 및 취급
(1) 현장에 반입된 제품 및 자재는 눈이나 비, 유해물질 또는 흙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부식이나 변형 또는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2) 제품에 녹막이 칠이 칠해져 있거나 아연도금 등이 되어 있는 경우 마감칠을 할 때까지 녹막이칠 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한다.(3) 설치 후 별도의 마감공사를 하지 않는 완제품인 경우 현장 반입 시 손상되지 않도록 발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보양한 상태로 현장에 반입되어야 하며, 운반, 보관 및 설치할 때 최초 보양 상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2. 자재
2.1 계단 난간류
(1) 금속 현장제작품공사의 계단 난간류는
2.1.1 스테인리스제 난간
(1) 재료① 난간에 사용하는 스테인리스 강관은 KS D 3536의 STS 304 TKC에 적합한 재질로 하며, 스테인리스 강관 두께의 바깥지름 허용오차는 KS D 3536에 의한다.② 플랜지 등에 사용하는 스테인리스 강판은 KS D 3698의 STS 304에 적합한 재질로 한다.③ 스테인리스 강관 및 강판은 해로운 구멍 및 레미네이션이 없어야 하며, 기계 연마한 제품으로 하여야 한다.④ 세대 발코니 난간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재료는 KS D 6005의 아연합금 다이캐스팅 2종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2) 제작① 제작은 공장제작을 원칙으로 하며 제작 전 공장 시설, 장비의 성능 및 샘플(Sample)시공 등을 검토 후 제작하여야 하고 공장 제작이 불가할 시는 공장에 가공하여 현장 조립한다.② 부재의 접합은 아르곤용접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이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되,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가. 용접은 전압, 전류, 용접속도, 운봉방법 등을 숙지한 숙련된 용접공이 용접하여야 한다.나. 용접봉은 KS D 7014에 의한 D 308L 제품으로서 끝부분의 색깔이 빨강색인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다. 용접하기 전에 녹, 기름, 페인트, 토사, 철분 및 수분 등의 불순물이 없도록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라. 용접한 후 용접부위를 미려하게 그라인딩 하여야 하며, 표면이 변색된 부분은 현장에서 용접이 진행될 부위를 제외하고 스테인 크리너(Stain cleaner) 처리를 하여 원상복구 하여야 한다.
2.1.2 철제난간
(1) 중앙홈지주형 철제 계단난간① 간살과 상・하부관의 관통연결부위는 간살이 부착되는 상・하부관에 정확하게 구멍을 내어 간살을 끼워 연결한 후 연결부위당 10 ㎜ 이상 2개소를 용접하여 제작한다.② 난간의 도장은 공장에서 완료되어야 하며, 도장방법은 다음 중에서 하나로 한다.가. 침전식 도장방식∶폴리에틸렌계 도료로 열처리와 침전처리하는 방식으로서 700 ㎛ 이상의 두께로 코팅한다.나. 정전분체도장∶폴리에스테르계 도료로 180 ℃에서 14분 이상 정전분체도장을 하며, 도막두께는 80 ㎛ 이상으로 한다.③ 난간의 핸드레일은 알맞은 각도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난간대의 수직부분이 만나는 경우는 철물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한다.(2) 복도철제난간① 재료가. 복도난간의 차폐판은 KS D 3512에 의한 냉간 압연강판을 사용한 KS D 3506의 일반용(SGCC)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되, 도금의 표면마무리는 결함 및 레미네이션 등이 없어야 한다.나. 철제각관은 KS D 3506에 의한 일반용(SGHC)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② 제작가. 도면에 표시된 재료의 마감치수와 사전현장 실측결과를 토대로 제작도면, 견본품 및 색상을 제출하여 공사감독자의 승인 후 제작하여야 한다.나. 차폐판 조립은 복도난간 후레임에 차폐판 4면을 10 ㎜ 이상 직각으로 접어서 도면에 의한 리벳으로 고정한다.다. 차폐판 무늬 펀칭부위의 녹 발생이 되지 않도록 도장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라. 도료 및 도장은 용융아연도금각관 위 분체도장난간과 동일하게 한다.③ 검사가. 수급인은 KS규정에 의한 아연도금강판의 인장강도, 도금의 부착량과 도료의 염소분무시험, 부착성, 내충격성, 내후성 등, 유공판은 표면마무리, 도금부착량을 제조업체별로 시험성적서를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한다.(3) 용융아연도금각관위 분체도장 난간① 재료가. 제각관 제작용 용융 아연도금강판은 KS D 3506에 의한 일반용(SGHC)에 적합한 재질을 사용하며 결함 및 레미네이션 등이 없어야 한다.나. 브라켓을 고정하는 앵커볼트는 도면에 의한다.② 제작가. 도면에 표시된 재료의 마감치수와 사전현장 실측결과를 토대로 제작도면, 견본품 및 색상을 제출하여 공사감독자의 승인 후 제작하여야 한다.나. 난간의 부재간 조립은 도면에 의해 조립하고 횡주관과 기둥, 기둥과 횡관 접촉면의 틈새는 Filler gauge로 측정, 평균 0.4 ㎜, 최대 0.8 ㎜ 이내이어야 하며 조립 시 소재표면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다. 도료는 폴리에스테르계 도료를 사용하되 도장은 정전분체도장으로서 180 ℃에서 14분 이상 하여야 하며, 도막두께는 80 ㎛ 이상으로 한다.라. 발코니난간 유공판은 복도난간에 설치하는 차폐판과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되 타공율은 도면에 따른다.③ 검사가. 수급인은 KS규정에 의한 아연도금강판의 인장강도, 도금의 부착량과 도료의 염소분무시험, 부착성, 내충격성, 내후성 등, 유공판은 표면마무리, 도금부착량을 제조업체별로 시험성적서를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한다.
2.1.3 용접봉
(1) 용접봉은 오손되거나 변질된 것을 사용하면 안 되며, 특히 습기를 배제토록 한다.(2) 스테인리스용 용접봉∶스테인리스 용접봉은 KS D 7014에 의한 D 308L에 적합한 제품으로 끝부분 색상이 빨강색인 것을 사용한다.(3) 철재용 용접봉∶철재 용접봉은 KS D 7004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1.4 고정철물
(1) 각종 고정철물은 특기가 없는 경우 승인된 제조업자의 제품자료에 따른다.
2.1.5 녹막이칠
(1) 철제난간 등의 각종 철제제작물은 공장에서 제작 후 광명단 조합페인트로 녹막이 처리를 한다.
2.2 격자공사
(1) 금속 현장제작품공사의 격자공사는
2.3. 철사다리 공사
(1) 금속 현장제작품공사의 철사다리 공사는
3. 시공
(1) 금속 현장제작품공사의 시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