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 표준시방서 11 80 05 콘크리트옹벽
“
콘크리트 옹벽 시공 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 본 시방서는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에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 관련 법규: 없음
- 관련 기준:
- KDS 14 20 10 일반콘크리트
-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 KS M 3401 수도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 KS M 3404 일반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 KS K 0210 섬유 제품의 혼용률 시험방법-섬유혼용률
- KS M 3015 열 경화성 플라스틱 일반시험방법
- KS K ISO 9863-1 지오신세틱스-규정 압력에서의 두께 측정-제1부 : 단일층
- KS K ISO 9863-2 지오텍스타일 및 관련 제품-규정 압력에서의 두께 측정-제2부 : 다층 제품의 단층 두께 측정 절차
- KS K ISO 9864 지오신세틱스-지오텍스타일 및 관련제품의 단위 면적당 질량 측정 시험 방법
- KS K ISO 10319 지오신세틱스-광폭 인장강도 시험
- KS K ISO 11058 지오텍스타일 및 관련 제품-수직 투수성 측정
- KS F 2471 콘크리트의 신축 이음에 쓰이는 미리 성형된 채움재의 시험 방법(비압출 탄성형식)
- KS F 4910 건축용 실링재
-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 KS F 2538 콘크리트 포장 및 구조용 신축이음 채움재
- KS F 2302 흑의 입도 시험 방법
- KS F 2306 흙의 함수비 시험 방법
- KS F 2310 도로의 평판 재하 시험 방법
- KS F 2311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1.3 용어의 정의
- 없음
1.4 제출물
- 시공계획서, 시험계획서, 시공상세도 등
- 신축이음 채움재 제조업자는 제품자료와 설치지침서
- 신축이음, 수축이음 및 시공이음부에 대한 시공상세도면
1.5 운반, 보관, 취급
1.5.1 보호조치
- 작업장 주변 시설물 보호
- 시공자는 고용원 및 장비로 인한 손상에 대한 책임 및 보수
- 건물 및 표면 훼손 방지
1.6 환경요구사항
- 일평균 기온 4℃ 이하: 한중 콘크리트 사용
- 일평균 기온 25℃ 또는 최고 기온 30℃ 초과: 서중 콘크리트 사용
2. 자재
2.1 재료
2.1.1 빈배합콘크리트
- 압축강도: 16 MPa 이상
2.1.2 구체 콘크리트
- KS F 4009 규정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 설계 요구 강도 이상
- 공기량: 4.5±1.5%
- 슬럼프: 15±2.5 ㎝
- 굵은골재 최대치수: 25 mm 이하
2.1.3 문양거푸집
- 합성수지 무늬거푸집 또는 동등품
- 재질은 제조업체 시방 적용
2.1.4 신축이음 연결재
- 슬립바: KS D 3504 이형봉강 SD400 규정 적합, 30mm 이형철근, 에폭시도장, 자유단에 승인된 그리스 도포
- 플라스틱 캡: KS M 3401 또는 KS M 3404 규정 적합, 고정단 단부 밀봉
2.1.5 조인트 채움재
- KS F 2538 규정 적합, KS F 2471 시험규정 합격 제품
2.1.6 조인트 밀봉재
- 콘크리트와 부착력 강하고 저온에서 박리되지 않는 제품
2.1.7 수팽창 지수재
- 전체 균일한 동질
- 형태 및 치수 변형 없음
- 수팽창 상태에서 고무탄성 유지, 건조 및 침수 반복에도 수팽창 유지, 내후성은 일반 천연고무와 동등
- 성능:
- 수팽창률 (60℃, 4일간): 300% 이상
- 경도 (HS): 40~60 HS
- 팽창 후 성상: 이상 없음
2.1.8 철근
- KS D 3504 이형봉강 SD300 및 SD400 규정 적합
2.1.9 옹벽 뒤채움잡석 및 되메우기재료
- 뒤채움잡석: 경질, 변질 우려 없는 잡석 또는 조약돌, 입경 150 mm 내외, 대소알 적당 혼합
- 되메우기재료:
- 유기질토, 동토, 빙설, 초목, 부식물 제외
- 실트, 점토, 불량 연석 제외
- KS F 2312 다짐시험에 의한 소요 다짐도 및 설계밀도 만족, 배수성 양호, 함수비 변화에 따른 강도 변화 작음
2.1.10 배수구멍
- KS M 3401 또는 KS M 3404 규정, 관경 65 mm~100 mm 관 또는 동등 이상
2.1.11 옹벽배면 배수용 드레인보드
- 품질기준:
- 재질: 폴리스틸렌 90% 이상
- 압축강도: 0.57 MPa 이상
- 형식: 돌기형 (두께 9.2 mm 이상) 일면배수재
2.1.12 옹벽배면 배수용 토목섬유
- 품질기준:
- 재질: 합성섬유 90% 이상, 장섬유부직포
- 중량: 1.96 N/m2 이상
- 두께: 1.8 mm 이상
- 인장강도: 0.02 MPa 이상
- 투수계수: 1.0×10-3 m/sec ~ 9.0×10-3 m/sec
2.2 부속재료
2.2.1 프라이머
- 얼룩 없고 사용 적합, 밀봉재 제작자가 추천하는 바탕질 재료
2.2.2 백업(Back up)재
- 이음매 폭보다 20~50% 크고 모양이 둥근 폴리에틸렌 폼막대
2.3 자재품질관리
- 콘크리트 품질: KCS 14 20 10 규정 적용
3. 시공
3.1 시공조건확인
3.1.1 시공전 검토사항
- 공동주택과 옹벽의 최소이격거리
- 공동주택 (4층 이상): 당해 옹벽 높이 이상 이격
- 연립주택 (3층 이하): 당해 옹벽 높이 이상 이격
- 옹벽기초가 건축물 기초 이하:
- 건축물 기초가 옹벽기초 이하: 5m 이상 이격
- 옹벽기초가 건축물 기초 이상: 당해 옹벽 높이 이상 이격
- 옹벽 상단부가 도로: 옹벽을 도로계획고보다 0.5 m 높게 하고, 난간 설치
- 옹벽 하부지반: 설계 지정 지지력 확보 여부 검토, 부족 시 보강
- 지하수 유무, 연약지반 등에 대한 보강조치
- 구조물 설치 전 바닥면 상태, 배면 흙 성질, 용수 및 지표수 상황 조사
- 콘크리트 치기 전 작업 면 점검 및 손상 부분 보수, 표면 불순물 제거
- 공사 착수 전 장비 점검
- 시공상세도면 교육
3.2 작업준비
- 작업 참여자 대상 시공상세도면 교육
3.3 시공기준
3.3.1 터파기 및 기초공
- 터파기: 설계도서 지시 깊이, 폭, 경사 굴착, 바닥 평탄화, 공사감독자 검사
- 기초지반 불량: 기초지반 보강, 공사감독자 승인 후 시공
- 터파기 후속공정: 재료 반입, 인원 및 장비 투입 계획, 기상조건, 비탈면 형상, 높이, 되메우기 시기 고려
- 비탈지반상 터파기: 계단식 시공
- 계곡부분 횡단 터파기: 옹벽 종방향 시공구간 중 좁은 계곡 별도 신축이음 구간으로 구분
- 활동방지벽 터파기: 직각 터파기, 여굴 최소화
- 인접 기존시설물 터파기:
- 양호한 사질토: 활동파괴면 연장
- 활동면이 기존시설물 바닥면에 걸리거나 지하수 용출, 연약지반 등: 별도 대책 수립
- 지하수 있는 곳 터파기:
- 가배수로 설치, 수위 저하
- 저판 설치면 하부지반 배수 힘든 경우: 설계 변경 검토
- 터파기 주변 안전사고 예방: 차단기, 조명, 경고신호, 보행자 횡단로 설치, 가배수로 또는 지면 역경사 처리
3.3.2 규준틀 설치
- 위치, 경사, 높이 확인, 정확한 위치에 설치
- 적절한 간격 설치, 시점・종점 및 평면・단면 변화점에 설치
- 대지경계부: 경계선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
3.3.3 문양거푸집
- 설치 공작도 작성, 공사감독자 승인
- 옹벽 두께 감소 방지
- 상단 마감: 상단 200 mm는 합판거푸집으로 매끈하게 처리, 모서리 양쪽에 면목 설치
- 거푸집 강도 및 강성 확보, 구조물 위치, 형상, 치수 정확하게 확보
- 시공계획서에 따른 설계 및 시공
- 재료 선정: 강도, 강성, 내구성, 작업성, 콘크리트 품질 영향, 경제성 고려
- 하중, 측압, 진동, 충격 등에 견디도록 제작 및 조립
3.3.4 철근피복
- 옹벽 전면: 설계도서 명시된 피복두께 적용
3.3.5 활동방지벽
- 직각 터파기, 여굴 최소화
- 저판 빈배합콘크리트 타설 시 여굴 부분까지 동시 타설, 활동저항력 증대
- 활동방지벽과 저판콘크리트 일체 타설: 활동방지벽 콘크리트 먼저 타설, 1~2시간 경과 후 저판콘크리트 타설, 침하 및 수축으로 인한 균열 방지
3.3.6 전면경사
- 1:0.02 경사, 시공오차 및 지반침하로 인한 옹벽 전진 방지
3.3.7 신축이음 및 수축이음
- 신축이음:
- 20~30m (중력식, 반중력식 옹벽은 10 m) 이하 간격 설치
- 기초바닥까지 철근 절단
- 절곡되는 부분에 설치 금지
- 부벽식 옹벽: 부벽 간격의 0.8배로 설치, 이음은 중앙에 설치
- 연결재, 채움재, 밀봉재 및 부대품 설치, 난간도 절단
- 채움재: 기 타설된 콘크리트 면에 밀착, 수밀성 확보
- 지반 변화, 옹벽 높이 차이, 구조공법 변화 장소에 설치
- 굴곡부: 우각부로부터 옹벽 높이 구분만큼 피하여야 함
- 명시되지 않아도 난간은 신축이음 설치
- 수축이음:
- 9m 이하 간격 설치
- 벽표면에 수직으로 옹벽 끝단까지 깊이 0.3 m의 V형 또는 U형 홈으로 크랙 유도, 철근 절단하지 않음
- 수밀을 요하는 이음: 지수판 설치
- 시공상세도에 표시된 위치에 설치, 전단력이 적은 위치에 설치, 압축력 방향과 직각으로 설치
- 전단력이 큰 위치: 홈 또는 강재 보강
3.3.8 시공이음
- 시공상세도에 표시된 위치에 설치, 전단력이 적은 위치에 설치, 부재의 압축력을 받는 방향과 직각으로 설치
- 전단력이 큰 위치: 홈 또는 강재 보강
3.3.9 배수구멍
- 옹벽 배면 지하수 신속 배출, 설계도서 명기된 크기 및 간격으로 시공
- 문양거푸집 이음부, 수직홈 등 중앙에 설치, 오염 방지
- 뒷부벽식 옹벽 각 격간: 1개 이상 설치
-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침입 방지: 거푸집 탈형 후 파쇄 제거
- 옹벽배면 배수용 드레인보드 및 토목섬유 시공:
- 옹벽배면 철선, 콘크리트 타설 돌출물 및 잔재 제거
- 탈락 또는 이동 방지, 콘크리트 못으로 고정
- 이음: 상부자재가 하부자재를 덮는 방향, 드레인보드는 돌기 끼워서 고정, 토목섬유는 겹쳐서 재봉, 이음 위치는 0.3 m 이상 떨어지도록
- 드레인보드 상단: 토목섬유로 감싼 후 옹벽에 부착
- 배수받이 바깥쪽: 토목섬유 깔고 잡석채움
- 배수구멍: 설계도서대로 시공, 상부 배수구멍 위치의 드레인보드는 잘라내고 고정
- 되메우기 토사: 투수성이 좋은 사질토 사용, 토목섬유에 접하는 0.3 m 범위는 돌 제외, 손상 방지
- 옹벽 배면 배수:
- 연직배수: 하단 배수 가능하도록 설치, 지수콘크리트 등으로 차단, 배수 경사 2%
- 구형배수: 지하수위 높은 경우 설치, 수평층과 연직층의 교점에 설치
- 경사배수: 옹벽 높고 뒤채움 흙이 투수성이 나쁜 경우, 배수층 설치
- 면배수: 뒤채움 흙이 점성토일 때, 뒤굽 윗면에 수평으로 배수층 설치
- 격리배수: 단단한 점토 뒤채움 흙 사용 시 설치
- 빙층형성 방지배수: 한랭지, 지하수위 높거나 모세관 현상 우려되는 지반에 설치
- 특수한 경우 배수: 지하수 용출 심한 지반에 설치, 배수저면 최대한 낮추어 시공
- 배수층 하부: 물받이판 설치, 옹벽 장방향 배수
- 배수관 설치: 매립토 유출 및 막힘 방지, 구멍 크기, 위치는 설계도서 따름
- 옹벽 기초공사 및 끝부분: 배수로 설치, 우수 침투 방지
- 옹벽 전면 배수:
- 높지 않고 지하수 적은 경우: 배수구멍으로 유출되는 물 방치
- 높고 지하수 많은 경우: 전면 배수로 설치
- 높은 옹벽: U형 배수구 설치
3.3.10 절곡부 보강
- 선형이 꺾이는 절곡부: 수평철근량의 30~50% 추가 배근, 절곡점 양측으로 정착길이 확보
3.3.11 콘크리트 타설 및 표면 마무리
- 바닥콘크리트:
- 토사지반: 터파기면 다짐, 암반: 절리 부석 제거, 물청소 후 타설
- 활동방지벽 부분 콘크리트 치기:
- 활동방지벽은 저판과 일체 타설
- 거푸집 설치: 합판 내측이 터파기 면쪽을 향하도록, 여굴폭은 빈배합콘크리트 타설 두께 정도
- 저판 빈배합콘크리트 타설: 활동방지벽 여굴 부분까지 동시 타설, 여굴량 많을 때 조약돌 또는 잡석 혼합
- 양생 후 활동방지벽 거푸집 해체
- 빈배합콘크리트면 처리:
- 부착력 발휘, 거칠게 요철 만들어 마감
- 돌기물 설치 가능
3.3.12 벽체콘크리트 타설
- 폭 좁고 높이 높음, 하단부 벌집현상 주의
- 신축이음 1구간을 1로트 작업 단위, 레미콘 수급 차질 없이 연속 타설
- 타설 중단 시 콜드조인트 발생 방지
- 저판콘크리트 타설: 활동방지벽 콘크리트 타설 후 1시간 경과 후 타설
- 벽체 콘크리트 강도 발휘 후 뒤채움 실시
3.3.13 벽체 콘크리트면 처리
- 노출면: 균일한 외관, 재료, 배합, 타설방법 일정하게 유지, 구획별 연속 타설, 재료 분리 방지, 다짐
- 다지기 완료 후: 스며 올라온 물 제거, 나무흙손으로 마무리, 균열 제거
3.3.14 철근
- 조립 전: 녹 제거, 설계도서 명시된 간격 및 덮개 유지, 스페이서 배치
- 굴곡부 보강철근: 굴곡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추가 배근, 정착길이 확보
- 단면 두께 얇은 부재: 주철근이 외측에 오도록 배근, 유효고 크게 함
3.3.15 지수 콘크리트
- 도면 명시된 위치, 넓이, 경사, 두께로 설치
- 하부지반 다짐, 침하 방지
3.3.16 되메우기
- 콘크리트 양생 후 빠르게 실시, 침하 및 지지력 저하 방지
- 양질의 토사 사용, 최적함수비, 두께 0.2 m 이내, 다짐
- 옹벽 배면 되메우기: 배수용 잡석층과 동일한 높이로 동시 되메우기, 표 3.3-1 기준 이상 다짐
- 지하구조물 방수층 및 관로 손상 주의, 구조물 상부 슬래브 또는 외벽으로부터 1 m까지, 관로 상단까지 기초 되메우기용 재료 사용
-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강도 발휘 후 시행, 검사 및 시험 완료 후 시행
- 물 제거, 구조물 바깥쪽으로 경사
- 젖은 지반, 스폰지 지반, 동결지반, 젖거나 덩어리지거나 동결된 재료 사용 금지
- 작업 시작 전 잔여재 제거
3.4 시공허용오차
3.4.1 옹벽구조물의 시공허용오차
- 배부름오차: 3 m 직선자로 측정 시 5 mm 이내
- 상단 수평오차: 12 m당 ± 6 mm
3.4.2 되메우기 허용오차
- 포장하부 되메우기 표면: ± 25 mm
- 일반지역 되메우기 표면: ± 50 mm
3.5 현장품질관리
3.5.1 되메우기 품질관리
- 각 층 다짐 후 공사감독자 검사
- 적정 밀도 얻지 못한 경우: 재다짐, 가래질, 살수, 재시험
- 재시공 및 재시험 비용은 수급인 부담
- 품질시험 종목 및 빈도:
- 다짐: KS F 2312, 재질변화 시마다 (현장시험)
- 현장밀도: KS F 2311, 연속구조물: 3층 마다, 50 m마다 (현장시험)
- 평판재하: KS F 2310, 현장밀도시험 불가능 시
- 입도: KS F 2302, 토질변화 시마다 (현장시험)
- 함수비: KS F 2306 또는 급속함수비 측정방법, 현장밀도시험의 빈도 (현장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