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 표준시방서 31901025 연소용 공기 공급설비공사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연소용 공기 공급설비 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본 시방서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을 위한 연소용 공기 공급설비의 제작, 납품, 설치, 시험, 검사 및 시운전에 적용됩니다.
1.2. 참고 기준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2)를 참고합니다.
1.3. 용어의 정의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3)의 용어 정의를 따릅니다.
1.4. 지급자재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4)의 지급자재 규정을 따릅니다.
1.5. 시스템 설명
- 1.5.1. 압입송풍기, 유인송풍기
- 압입송풍기는 폐기물 완전 소각에 필요한 연소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는 설비입니다.
- 유인송풍기는 소각로 내부 압력을 부압으로 유지하여 설비 내 배가스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1.5.2. 2차 공기 압입송풍기
-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미완전 연소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1차 연소실 출구에 공기를 주입하는 설비입니다.
- 1.5.3. 공기예열기
- 폐기물 완전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급되는 1, 2차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장치입니다.
- 1.5.4. 덕트
- 연소 공기를 화격자 및 공기 공급 라인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 1.5.5. 연돌
- 배출되는 가스의 통풍력과 확산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입니다.
1.6. 시스템 허용오차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6)의 허용오차 규정을 따릅니다.
1.7. 제출물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7)의 제출물 규정을 따릅니다.
1.8. 공사기록서류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8)의 공사기록서류 규정을 따릅니다.
1.9. 품질보증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9)의 품질보증 규정을 따릅니다.
1.10. 운반, 보관, 취급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10)의 운반, 보관, 취급 규정을 따릅니다.
1.11. 환경요구사항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11)의 환경요구사항 규정을 따릅니다.
1.12. 현장수량 검측
본 시방서는 KCS 91 30 10 05 (1.12)의 현장수량 검측 규정을 따릅니다.
1.13. 작업의 연속성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13)의 작업 연속성 규정을 따릅니다.
1.14. 공정계획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14)의 공정계획 규정을 따릅니다.
1.15. 타공정과의 협력작업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15)의 타공정과의 협력작업 규정을 따릅니다.
1.16. 유지관리 장비 및 자재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1.16)의 유지관리 장비 및 자재 규정을 따릅니다.
2. 자재
2.1. 재료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2.1)의 재료 규정을 따릅니다.
- 2.1.1. 압입송풍기, 2차 송풍기, 유인송풍기 등
- 임펠러: SS275 (KS D 3503)
- 케이싱: SS275 (KS D 3503)
- 축: SM45C (KS D 3752)
- 베드: SS275 (KS D 3503)
- 2.1.2. 공기예열기
- 케이싱: SS40 (KS D 3503)
- 튜브: STB340 (KS D 3563)
- 핀: A-1050
- 2.1.3. 연돌
- 외부: 콘크리트
- 덕트: SS275 (KS D 3503) + STS
- 캐스타블
2.2. 구성품
- 2.2.1. 1차, 2차 압입송풍기, 유인송풍기
- 흡입덕트, 흡입댐퍼, 열교환기, 송풍기 등으로 구성됩니다.
- 2.2.2. 공기예열기
- 증기식: 증기 자동밸브, 증기식 공기예열기
- 가스식: 배가스 자동댐퍼, 가스식 공기예열기
- 직화식: 직화식 공기예열기
2.3. 장비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2.3)의 장비 규정을 따릅니다.
2.4. 부속재료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2.4)의 부속재료 규정을 따릅니다.
2.5. 배합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2.5)의 배합 규정을 따릅니다.
2.6. 조립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2.6)의 조립 규정을 따릅니다.
2.7. 마감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2.7)의 마감 규정을 따릅니다.
2.8. 조립허용오차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2.8)의 조립 허용오차 규정을 따릅니다.
2.9. 자재품질관리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2.9)의 자재품질관리 규정을 따릅니다.
3. 시공
3.1. 시공조건 확인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1)의 시공조건 확인 규정을 따릅니다.
3.2. 작업준비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2)의 작업준비 규정을 따릅니다.
3.3. 공사 간 간섭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3)의 공사 간 간섭 규정을 따릅니다.
3.4. 시공 및 시공 허용오차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4)의 시공 및 시공 허용오차 규정을 따릅니다.
-
3.4.1. 압입송풍기
- (1) 일반사항
- ① 위치선정
- 송풍기 설치 위치를 결정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비, 바람, 직사광선 등 유해한 외부 조건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합니다.
- 실내 설치 시 송풍기의 총 흡입량을 감당할 수 있는 통기구가 있어야 합니다.
- 송풍기 운전 시 압축열이 발생하므로 실내 환기에 유의해야 합니다.
- 노천 설치 시 전동기, 벨트, 베어링에 덮개를 설치해야 합니다.
-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설치해야 합니다.
- 송풍기 설치 위치를 결정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② 설치 면적 계획
- 송풍기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계획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인접 기기의 운전에 지장이 없어야 합니다.
-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합니다.
- 임펠러 분해를 고려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 송풍기 설치 시 상부 600 mm, 측벽 450 mm 이상 떨어져야 합니다.
- 송풍기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계획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① 위치선정
- (2) 설치
- ① 수평 유지
- 일반적인 경우
- 송풍기 수평은 축을 기준으로 맞춥니다.
- 콘크리트 기초 위에 송풍기를 올려놓고 수준기로 수평을 맞춘 후 모르타르를 흘려 넣어 밀착시킵니다.
- 기초볼트 구멍에 기초볼트를 넣고 모르타르로 고정시킵니다.
- 기초볼트 체결 전에 송풍기 바닥과 콘크리트 기초가 밀착되었는지 확인 후 체결해야 합니다.
- 콘크리트 기초 중앙 부분이 높아져 양 끝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기초볼트는 수준기를 보면서 고르게 체결해야 합니다. 과도한 조임은 축 중심이 흐트러져 베어링에 무리를 주고 송풍기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챔버 내부 조립 시
- 챔버 내부 조립 송풍기의 베어링 부는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챔버 내에 설치하고 외부에서 구동할 경우 축에 조립된 풀리를 풀지 않고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측면 커버를 2매로 분할하여 베어링 교환 시 편리성을 높여야 합니다.
- 베어링 부를 패키지 내부에 조립할 경우 수리 가능한 점검용 창을 설치해야 합니다.
- 패키지에 베어링 지지대를 설치할 경우 동일 기준면에 수평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 일반적인 경우
- ② 베어링 고정
- 베어링을 조립할 때 베어링 지지대 볼트공과 베어링 취부 구멍을 일치시키고, 볼트를 조일 때 축 방향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설치 또는 운전 중에도 베어링 고정볼트를 점검해야 하며, 고정 시 위치 및 조임 정도에 주의해야 합니다.
- 진동 등으로 고정볼트가 이완되면 베어링 내륜이 겉돌아 슬리브나 축에 마모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③ 전동기 회전방향
- V-벨트를 걸기 전에 전동기 회전방향을 검사하여 송풍기 표시 방향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무부하 상태의 전동기 운전 상황을 점검해야 합니다.
- ④ V-풀리 및 V-벨트
- 전동기와 송풍기 외측 단면에 피아노선 또는 스트리지를 이용하여 일직선상에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V-벨트는 전동기 슬라이드 볼트를 풀고 조립한 후 서서히 조여 장력을 조정해야 합니다.
- 적당한 V-벨트 장력은 A형 15 N, B형 30 N, C형 50 N, D형 100 N의 힘을 V-벨트 중앙 스팬부에 가했을 때 스팬길이 1 m당 15 mm 정도 눌리는 것이 적당합니다.
- V-벨트가 너무 팽팽하면 베어링에 열이 발생하거나 축 등이 휘는 문제가 발생하고, 너무 느슨하면 벨트가 미끄러져 회전수가 줄고 송풍기 진동, 풀리 홈 마모, 소음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V-풀리를 교체할 경우 홈이 마모됐거나 각도가 맞지 않는 것은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 손으로 임펠러를 돌려서 풀리의 흔들림을 확인해야 합니다. V-풀리 흔들림은 V-풀리 가동 시 편심, 무리한 키 조립으로 인한 편심, 가공 공차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접촉각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 ⑤ 덕트와 접속
- 원칙적으로 신축 계수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볼트로 조립해야 합니다.
- 덕트를 연결할 때 볼트를 무리하게 조여 케이싱이 변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① 수평 유지
- (1) 일반사항
-
3.4.2. 공기예열기
- 본 시방서 3.4.1(2)에 따릅니다.
-
3.4.3. 2차 공기송풍기
- 본 시방서 3.4.1에 따릅니다.
-
3.4.4. 덕트
- 덕트 내부는 녹과 가스로부터 보호를 위해 녹과 가스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거나 캐스터블 라이닝 두께를 50 mm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 덕트 외부는 단열 처리하여 보호해야 합니다.
-
3.4.5. 연돌
- 연돌 유지 관리를 위해 계단 및 발판을 설치해야 합니다.
- 연돌에는 배기구, 측정구, 항공장애등, 피뢰침, 기타 설비와 보수 및 페인트 작업용 지지고리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 덕트 최상부의 외부 노출 부분은 스테인리스강으로 해야 합니다.
- 연돌 외부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안으로 도장해야 합니다.
3.5. 보수 및 재시공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5)의 보수 및 재시공 규정을 따릅니다.
3.6. 현장품질관리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6)의 현장품질관리 규정을 따릅니다.
3.7. 제작자 현장지원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7)의 제작자 현장지원 규정을 따릅니다.
3.8. 현장 뒷정리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8)의 현장 뒷정리 규정을 따릅니다.
3.9. 시운전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9)의 시운전 규정을 따릅니다.
3.10. 완성품 관리
본 시방서는 KCS 31 90 10 05 (3.10)의 완성품 관리 규정을 따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