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24 61 10 시멘트콘크리트 교면포장(한계상태설계법)
“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이 기준은 시멘트콘크리트 교면포장 신설 및 덧씌우기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표준 포함)
●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용적 질량 및 공기량 시험방법(질량방법)● KS F 2456 급속 동결 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 시험 방법● KS F 2711 전기전도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시험방법● KS F 2762 콘크리트 보수ㆍ보호재의 접착강도 시험방법● 도로공사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ASTM C 1260 Standard Test Method for Potential Alkali Reactivity of Aggregates (Mortar-Bar Method):골재의 알칼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 (촉진 모르타르 봉 방법)● ASTM C 1567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tential Alkali-Silica Reactivity of Combinations of Cementitious Materials and Aggregate(Accelerated Mortar-Bar Method):시멘트계와 골재 혼합물의 알칼리-골재 잠재 반응성 여부 결정 시험방법(촉진 모르타르 봉 방법)● AASHTO PP 37-40 Determination of International Roughness Index(IRI) to Quantify Roughness of Pavements(포장의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한 IRI 결정법)
1.3 용어의 정의
● 감수제:혼화제의 일종으로, 시멘트 분말을 분산시켜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얻기에 필요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재료● 검사:품질이 판정기준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시험, 확인 및 필요한 조처를 하는 행위● 결합재:물과 반응하여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기여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의 총칭으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시, 실리카흄, 팽창재 등을 함유하는 것● 고로슬래그 미분말:용광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되는 용융상태의 고로슬래그를 물로 급랭시켜 건조 분쇄한 것, 또는 여기에 석고를 첨가한 것● 고로슬래그 시멘트: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와 고로슬래그에 적당량의 석고를 가하여 분말로 하거나 포틀랜드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 고로슬래그 또는 석고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분말로 한 것을 충분히 혼합한 것● 고성능 공기연행 감수제:공기연행 성능을 가지며 감수제보다도 더욱 높은 감수 성능 및 양호한 슬럼프 유지 성능을 가지는 혼화제● 고성능 시멘트 콘크리트:요구되는 성능에 맞도록 특별히 설계된 콘크리트를 통칭하며, 고강도, 고내구성, 고유동 콘크리트 등으로 분류됨. 교면포장에서는 시멘트를 베이스로 주로 광물질 혼화재나 포졸란 재료를 사용하여 강도, 유동성, 내구성을 증진시킨 시멘트 콘크리트● 골재: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시멘트 및 물과 혼합하는 잔골재, 부순 모래, 자갈, 부순 굵은 골재, 바닷모래, 고로 슬래그 잔골재,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 골재의 실적률:용기에 채운 골재 절대용적의 그 용기 용적에 대한 백분율로, 단위질량을 밀도로 나눈 값의 백분율● 골재의 유효흡수율:골재가 표면건조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하는 수량의, 절대건조상태의 골재 질량에 대한 백분율● 골재의 입도:골재의 크고 작은 알이 섞여 있는 정도● 골재의 절대건조밀도:골재 내부의 빈틈에 포함된 물이 전부 제거된 상태의 골재알의 밀도로서 골재의 절대건조상태 질량을 골재의 절대용적으로 나눈 값● 골재의 절대건조상태:골재를 100∼110℃의 온도에서 일정한 질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여 골재알의 내부에 포함된 자유수가 제거된 상태● 골재의 조립률:80mm, 40mm, 20mm, 10mm, 5mm, 2.5mm, 1.2mm, 0.6mm, 0.3mm, 0.15mm 등 10개의 체를 1조로 하여 체가름 시험을 하였을 때, 각 체에 남는 누계량의 전체 시료에 대한 질량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눈 값● 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골재의 표면수는 없고 골재알 속의 빈틈이 물로 차 있는 상태● 골재의 표면수율: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수량의 표면건조포화상태 골재질량에 대한 백분율● 골재의 흡수율:표면건조포화상태의 골재에 함유된 전체수량의 절대건조상태의 골재 질량에 대한 백분율● 공기량:시멘트 콘크리트 속에 포함하는 공기의 양으로 시멘트 콘크리트에 대한 용적비(퍼센트)● 공기연행 감수제:공기연행제와 감수제의 두 가지 효과를 겸비한 혼화제● 공기연행 시멘트 콘크리트:공기연행제 등을 사용하여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킨 시멘트 콘크리트● 공기연행제:혼화제의 일종으로, 미소하고 독립된 수없이 많은 기포를 발생시켜 이를 시멘트 콘크리트 중에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혼화제● 굵은 골재:5mm 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 또는 5mm 체에 다 남는 골재●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질량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 균열저항성:시멘트 콘크리트에 요구되는 균열 발생에 대한 저항성● 내구성: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조물의 성능 저하에 대한 저항성● 단위굵은골재 용적:시멘트 콘크리트 1m3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 겉보기용적으로서 다음 식으로 표시함.
● 단위량: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1m3를 만들 때 쓰이는 각 재료의 사용량으로, 단위시멘트량, 단위수량, 단위굵은골재량, 단위잔골재량, 단위혼화재량 및 단위혼화제량 등이 있음.● 계약자:계약상대자는 “공사 계약 일반 조건 제2조의 계약상대자”를 말하며 “시공자” 라고도 하며, 하도급자는 계약상대자로부터 건설공사를 하도급받은 자를 의미함.● 레디믹스트 시멘트 콘크리트:정비된 시멘트 콘크리트 제조설비를 갖춘 공장으로부터 구입자에게 배달되는 지점에 있어서의 품질을 지시하여 구입할 수 있는 굳지 않은 시멘트 콘크리트● 레이턴스:블리딩으로 인하여 시멘트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표면에 떠올라서 가라앉은 물질로서 시멘트나 골재 중의 미립자● 마모층:직접 교통하중, 충격 및 마찰작용에 저항하는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의 표층● 모노머:고분자화합물 또는 회합체(會合體)를 구성하는 단위가 되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 모래:자연작용에 의하여 암석으로부터 만들어진 잔골재● 모르타르:시멘트, 잔골재, 물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혼화재료를 구성재료로 하여, 이들을 비벼서 만든 것, 또는 경화된 것● 물-결합재비: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굳지 않은 모르타르에 포함된 시멘트풀 속의 물과 결합재의 질량비(기호:
1.4 제출물
(1)내용 없음
1.5 공사관리
(1)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기술자는 ʻ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건설사업관리기술자 양성과정ʼ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2. 자재
2.1 재료의 품질기준
(1)
구 분 | 시험방법 | 기 준 |
고형분 함유량(%) | KS M 6516 | 46∼53 |
pH | KS M 6516 | 8.5∼12.0 |
응고량(%) | KS M 6516 | 0.1 이하 |
표면장력(dyn/cm) | KS M 6516 | 50 이하(최초 승인값의 ±5) |
200번체 잔류량(g/ℓ) | KS M 6516 | 0.5 이하 |
평균 입자크기( |
KS A ISO 13320-1 | 1,400∼2,500(최초 승인값의 ±300) |
동결 융해 안정성 | KS M 6403 | 응고량:0.1% 이하 |
부타디엔 함유량(%) | FHWA-RD-78-35 | 30∼40 |
2.2 골재의 입도
(1)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입도는
2.3 재료의 승인 및 시험
(1)재료의 승인 및 시험과 관련된 사항은
2.4 재료의 저장
(1)재료의 저장과 관련된 사항은
3. 시공
3.1 시공장비
3.1.1 시공일반
(1)시공일반과 관련된 사항은
3.1.2 배치플랜트(batch plant)
(1)배치플랜트와 관련된 사항은
3.1.3 믹서
(1)믹서와 관련된 사항은
3.1.4 이동식 믹서
(1)이동식 믹서와 관련된 사항은
3.1.5 마무리 장비
(1)마무리 장비와 관련된 사항은
3.1.6 거친 면 마무리기
(1)거친 면 마무리기와 관련된 사항은
3.1.7 양생제 살포기
(1)양생제 살포기와 관련된 사항은
3.1.8 노후 콘크리트의 표면 절삭장비
(1)노후 콘크리트의 표면 절삭장비와 관련된 사항은
3.1.9 2차 청소장비
(1)2차 청소장비와 관련된 사항은
3.1.10 워터제트
(1)워터제트와 관련된 사항은
3.1.11 진공흡입트럭
(1)진공흡입트럭과 관련된 사항은
3.1.12 최종 청소장비
(1)최종 청소장비와 관련된 사항은
3.2 배합
3.2.1 시공일반
(1)시공일반과 관련된 사항은
3.2.2 배합기준/내구성능기준
(1)교면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은 아래 표 3.2-1에 제시하는 기준값을 만족하여야 한다.
(2)교면포장용 콘크리트는 별도로 내구성능 품질기준을 두고 있으며, 표 3.2-2에 나타난 기준값을 만족하여야 한다.
내구성능 | 실험방법 | 내구성능등급 |
균열저항성 | ASTM C 1581 | 재령 56일까지 균열 없음 |
동결융해 저항성 (상대동탄성계수) | KS F 2456 A법 (300사이클) | 80% 이상 |
표면박리저항성 | SS 13 72 44 A법 ASTM C 5456 | 적정(acceptable)등급 이상 Rating 1 등급 이상 |
염분침투저항성 | KS F 2711 | 1,000C(coulombs, 쿨롱) 이하 |
(3)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일체식(노출) 교면포장의 경우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공칭 최대치수는 거푸집 양 측면 사이의 최소 거리의 1/5, 바닥판 두께의 1/3, 개별 철근․다발철근․긴장재 또는 덕트 사이 최소 순간격의 3/4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덧씌우기 교면포장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공칭 최대치수는 덧씌우기 두께의 1/2 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4)교면포장용 콘크리트는 포설방법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가지며, 요구되는 평탄성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피니셔빌리티를 가져야 한다.
3.2.3 시방배합
(1)시방배합과 관련된 사항은
3.2.4 현장배합
(1)현장배합과 관련된 사항은
3.3 시험포장
(1)시험포장과 관련된 사항은
3.4 콘크리트 제조
(1)콘크리트제조와 관련된 사항은
3.5 시공면 준비
(1)시공면 준비와 관련된 사항은
3.6 타설
3.6.1 브루밍 작업
(1)브루밍 작업과 관련된 사항은
3.6.2 포설
(1)포설과 관련된 사항은
3.6.3 환경조건
(1)대기조건을 고려한 수분증발량이 0.5kg/m2/hr 이상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낮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아야 한다. 단, 바람을 차단하거나 분무시스템을 사용하여 수분증발량을 낮출 수 있는 경우는 공사감독자의 승인하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2)타설 시점의 콘크리트 온도는 21±11℃ 범위에 있어야 한다.(3)비가 오거나 기온이 7℃ 이하이거나 양생할 때 기온이 7℃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포설하지 않아야 한다.
3.7 마무리
(1)마무리와 관련된 사항은
3.8 품질관리 및 검사
3.8.1 평탄성 측정
(1)평탄성 측정과 관련된 사항은
3.8.2 교면포장 슬래브의 두께측정
(1)포장슬래브의 두께 측정과 관련된 사항은
3.8.3 품질시험
(1)품질시험과 관련된 사항은
3.8.4 내구성능 품질시험
(1)내구성능 품질시험과 관련된 사항은
3.8.5 균열관리
(1)균열관리와 관련된 사항은
3.8.6 접착강도
(1)덧씌우기 시멘트콘크리트 교면포장의 시공완료 후에 접착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KS F 2762의 방법에 따라 접착강도 시험을 실시하고, 접착강도는 1.4MPa 이상이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