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준정보 모음

건설 시방서, 안전기준

건설공사설계기준 KDS

KDS 설계기준 241712 교량내진 설계기준(케이블교량)

KDS_교량내진 설계기준(케이블교량)
KDS_교량내진 설계기준(케이블교량)

목차

1. 일반사항

1.1 목적

  • 설계지진에 대한 케이블 교량의 내진성능 수준 확보를 위한 최소 설계 요구조건 규정

1.2 적용 범위

  • 지진·화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10조 ①항 8호에 해당하는 장경간 케이블 교량의 내진설계 적용
  • 적용하는 교량 및 준용 방법은 KDS 24 10 12(1.1)에 따름

1.3 참고 기준

  • KDS 17 10 00 내진설계 일반
  • KDS 24 10 12 교량설계 일반사항(케이블교량)
  • KDS 24 12 12 교량 설계하중조합(케이블교량)
  • KDS 24 12 21 교량 설계하중(한계상태설계법)
  • KDS 24 14 21 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1.4 용어의 정의

  • 구조감쇠: 진동하는 물체의 에너지 소산을 통한 진동 감소
  • 기능수행수준: 설계지진 하중 작용 시 교량 기능 유지 가능한 수준
  • 내진성능목표: 설계지진 하중에 대한 내진성능 수준 만족을 위한 목표
  • 내진성능수준: 설계지진 하중에 대한 교량 성능 수준 (기능수행, 즉시복구, 장기복구, 붕괴방지)
  • 다중모드 스펙트럼해석법: 여러 진동모드를 사용하는 스펙트럼 해석 방법
  • 단부구역: 주탑/기둥 하단 및 상단 캔틸레버/골조 거동 영역
  • 모멘트-곡률 해석: 횡구속 효과, 축력 등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모멘트-곡률 관계 해석
  • 발산감쇠: 지진 에너지가 지반 변형으로 소산되어 구조물 진동 감소
  • 붕괴방지수준: 설계지진 하중 작용 시 붕괴 방지 가능한 수준
  • 설계변위: 설계에서 요구되는 수평 지진 변위
  • 액상화: 지반의 전단강도 상실로 인한 액체화 현상
  • 위험도계수: 평균 재현 주기가 다른 지진의 유효 수평 지반 가속도 비율
  • 유효지반가속도: 지진 하중 산정을 위한 기반암 지반 운동 수준 (수평, 수직)
  • 응답(시간)이력해석법: 지진 지속 시간 동안 구조물 동적 응답 계산 방법
  • 장기복구수준: 설계지진 하중 작용 시 주부재 손상 없이 장기 복구 가능한 수준
  • 전단파속도: 지반을 통한 전단파 전파 속도
  • 지반응답해석: 지진파가 지표면으로 전파될 때 토층 동적 거동에 대한 해석
  • 지반종류: 지진 증폭 특성에 따른 지반 분류
  • 지진구역: 지진 위험도에 따른 행정 구역 구분 (지진구역 I, II)
  • 지진구역계수: 지진구역 I, II의 기반암에서 평균 재현 주기 500년 지진의 유효 수평 지반 가속도
  • 항복강성: 축방향력과 콘크리트 균열 고려한 교각의 강성 (항복 모멘트 / 항복 곡률)

1.5 기호의 정의

  • : 콘크리트 단면의 유효 단면적
  • : 콘크리트 단면의 총 단면적
  • : 전단철근의 단면적
  • : 타원형/사각형 기초의 지진력 방향 단면 크기의 1/2
  • : 타원형/사각형 기초의 지진력 직각 방향 단면 크기의 1/2
  • : 사각형 단면의 유효 깊이 또는 설계 지진 시 지반에 대한 거더의 총 변위
  • : 설계 지진 시 거더의 변위
  • : 나선철근 간의 중심 간격
  • : 심부 단면 치수
  • : 설계 지진 시 하부 구조의 변위
  • : 축력을 고려한 교각의 항복 강성
  • : 소선의 변형률이 0.2%인 곳에서의 케이블 강도
  • : 콘크리트 기준 압축 강도
  • : 전단철근의 항복 강도
  • : 단면 치수
  • : 위험도 계수
  • : 구조 전체의 강성 매트릭스
  • : 구성 요소 i의 강성 매트릭스
  • : 직사각형 단면 기초의 부가 질량 보정 계수
  • : 축력을 고려한 교각의 항복 모멘트
  • : 기초에 작용하는 수압 영향 고려 단위 길이 당 가상 부가 질량
  • : 구조 감쇠 계산 시 구성 요소 수
  • : 축하중
  • : 원형 단면 기초의 지름
  • : 지점의 반력
  • : 유효 수평 지반 가속도
  • : 설계 응답 가속도
  • : 평균 설계 응답 가속도
  • : 전단철근의 배근 간격
  • : 진동 모드의 주기
  • : 스펙트럼 가속도가 상수인 구간의 상한 통제 주기
  • : 지반 운동 시간 이력 포락 곡선의 감쇠 시간
  • : 지반 운동 시간 이력 포락 곡선의 강진동 지속 시간
  • : 지반 운동 시간 이력 포락 곡선의 상승 시간
  • : 전단 성능 검증 시 콘크리트 전단 강도
  • : 응답(시간)이력 해석에서 얻은 단면의 최대 전단력
  • : 부재의 전단 강도
  • : 전단철근의 전단 강도
  • : 지진구역 계수
  • : 전단 경간비 고려 계수
  • : 축방향 철근비 고려 계수
  • : 소요 변위 연성도에 따른 전단 강도 감소 고려 계수
  • : 콘크리트 크리프에 의한 거더의 이동량
  • : 거더의 이동 변위
  • : 콘크리트 건조 수축에 의한 거더의 이동량
  • : 온도 변화에 의한 거더의 이동량
  • : 항복 변위에 대한 최대 응답 변위의 비
  • : 물의 밀도
  • : 단면 외형 치수에 대한 축방향 철근의 영향 고려 계수
  • : j차 진동 모드의 구조 전체 모드 벡터
  • : 축력을 고려한 교각의 항복 곡률

1.6 설계 원칙

1.6.1 목적

  • 설계 지진 하중에 대한 케이블 교량의 기능 수행, 장기 복구 및 붕괴 방지 수준의 내진 성능 수준 확보 위한 설계 요구 조건 규정

1.6.2 내진 설계의 기본 개념

  • 국토교통부 KDS 17 00 00 및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개정
  • 설계 지진 시 요구되는 내진 성능 수준 유지 위한 강도 및 연성 확보, 낙교 방지 설계
  • 보다 발전된 설계 인정

1.6.3 품질보증 요건

  • KDS 17 10 00(1.6)에 따름

1.6.4 지진응답 계측

1.6.4.1 일반사항
  • KDS 17 10 00(4.6)에 따름
  • 유지 관리, 내진 설계 기술 개발 및 개선 자료 확보를 위한 지진계/가속도계 설치 및 운영 요구 가능
1.6.4.2 계측기기의 설치와 관리
  • 계측기기 설치 위치, 종류, 개수 및 관리 결정

2. 조사 및 계획

  • 내용 없음

3. 재료

  • 내용 없음

4. 설계

4.1 설계 일반사항

4.1.1 설계지반운동

4.1.1.1 일반사항
  • 부지 정지 작업 완료된 지면에서의 지반 운동으로 정의
  • 토질 조건, 지질 조건, 지형의 지반 운동 영향 고려
  • 세기, 진동수 성분, 지속 시간으로 특성 정의
  • 수평 2축 방향 성분 및 수직 방향 성분으로 정의 (수평 성분은 동일한 세기 및 특성, 수직 성분은 세기가 수평 성분의 0.77 또는 공학적 판단)
  • 지점별 동일한 가진이 불합리한 경우 공간적 변화 모델 사용
4.1.1.2 지진위험도 및 유효수평지반가속도
  • 지진 구역은 KDS 17 10 00 (4.2.1.1(1))에 따름
  • 지진 구역 계수(Z)는 KDS 17 10 00 (4.2.1.1(2))에 따름
  • 위험도 계수()는 KDS 17 10 00 (4.2.1.1(3))에 따름
  • 부지 유효 수평 지반 가속도()는 행정 구역에 의해 결정 시 식 (4.1-1) 적용
  • 국가 지진 위험 지도 이용 시 행정 구역 결정 값의 80% 이상 확보

4.1.2 내진등급

  • 내진 특등급

4.1.3 지반의 분류

  • KDS 17 10 00 (4.2.1.2)에 따름 (탄성파 시험 결과 없을 시 표준 관입 시험 관입 저항치(SPT-N치)를 전단파 속도로 변환)

4.1.4 내진성능수준과 설계지진수준

4.1.4.1 내진성능수준
  • 기능수행, 장기복구, 붕괴방지 수준
  • 발생 빈도가 높은 지진에 대해 기능수행 수준 만족
  • 발생 빈도가 낮은 지진에 대해 장기복구 수준 만족
  • 발생 빈도가 매우 낮은 지진에 대해 붕괴방지 수준 만족
4.1.4.2 설계지진수준
  • 발생 빈도가 높은 지진: 평균 재현 주기 200년 지진
  • 발생 빈도가 낮은 지진: 설계 수명 100년일 때 평균 재현 주기 1,000년, 200년일 때 평균 재현 주기 2,400년 지진
  • 발생 빈도가 매우 낮은 지진: 설계 수명 100년일 때 평균 재현 주기 2,400년, 200년일 때 평균 재현 주기 4,800년 지진

4.1.5 내진성능목표

  • 설계 수명에 따른 내진 성능 목표 표 4.1-1 참조

4.1.6 구성요소의 허용손상수준

  • 교량 내진 성능 수준 만족을 위한 허용 손상 수준
  • 구성 요소의 내진 성능 수준별 허용 손상 수준 표 4.1-2 참조
  • KDS 24 12 12(4.1.1.5)의 사용 한계 상태 하중 조합 Ⅵ 및 극단 상황 한계 상태 하중 조합 Ⅰ에 안전하면 각각 기능 수행 수준 지진 및 장기 복구 수준 지진 만족

4.2 해석 및 설계에 대한 규정

4.2.1 일반사항

  • 교량 구성 요소 설계 및 사용성 검토 규정 (붕괴 방지 수준 내진 성능 검증은 4.6에 따름)
  • 기초/교대 설계 조건 및 콘크리트교 내진 설계 추가 요구 조건은 4.4 및 4.5에 따름

4.2.2 기본해석방법

  •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4.3) 또는 응답(시간)이력해석법 (4.6.3) 사용

4.2.3 탄성지진력 및 탄성변위

  •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사용 시 수평 2축 및 수직축에 대한 독립 해석 후 4.2.4에 따라 조합
  • 응답(시간)이력해석법 사용 시 4.6.3에 따름

4.2.4 탄성지진력 및 탄성변위의 조합

  •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사용 시 4.2.3에서 구한 값을 다음과 같이 조합하여 사용
    • 하중 경우 1: 종방향 지진력/변위에 횡방향/수직 지진력/변위의 30% 합산
    • 하중 경우 2: 횡방향 지진력/변위에 종방향/수직 지진력/변위의 30% 합산
    • 하중 경우 3: 수직방향 지진력/변위에 횡방향/종방향 지진력/변위의 30% 합산
  • 응답(시간)이력해석법 사용 시 4.6.3에 따름

4.2.5 설계지진력 하중조합

  • 구성 요소 설계를 위한 설계 지진력은 4.2.4에서 조합한 탄성 지진력
  • KDS 24 12 12(4.1.1.2)의 극단 상황 한계 상태 하중 조합 Ⅰ으로 조합
  • 사용성 검토를 위한 설계 지진력은 KDS 24 12 12(4.1.1.3)의 사용 한계 상태 하중 조합 Ⅵ으로 조합
  • 설계 지진력 부호는 불리한 경우 적용

4.2.6 설계변위

  • 붕괴 방지 수준 설계 지진 시 상부 구조 낙교 방지를 위한 받침 지지 길이 확보 또는 이동 변위 제한 장치 설치
  • 장기 복구 수준 설계 지진 시 상부 구조/교대 또는 인접 상부 구조 간 충돌 방지 위한 여유 간격 확보 또는 충돌 보호 장치 설치
  • 거더 이동 변위는 식 (4.2-2)에 따라 산정

4.3 해석방법

4.3.1 일반사항

  •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에 대한 규정
  • 고정된 주탑/교각/교대 지점이 넓게 분포되어 시간차/위상차 발생 가능성 검토 및 지진 응답 해석 수행

4.3.2 스펙트럼가속도

  • 지진 환경 및 부지 특성 고려한 스펙트럼 가속도() 산정
  • 합리적인 산정이 불가능할 시 표준 설계 응답 스펙트럼 사용
  • 암반/토사 지반 설계 지반 운동 가속도 표준 설계 응답 스펙트럼은 KDS 17 10 00 (4.2.1.4(2)/(3))에 따름

4.3.3 다중모드스펙트럼해석법

4.3.3.1 일반사항
  • 공인된 공간 뼈대 선형 동적 해석 프로그램 사용
  • 지점별 동일 설계 응답 스펙트럼 적용이 불가능할 시 응답이 크게 산정되는 스펙트럼 사용 또는 식 (4.3-1) 적용
4.3.3.2 수학적 모형
  • 교량을 연결부/절점으로 구성된 3차원 공간 뼈대 구조물로 모형화
  • 각 연결부/절점은 6개의 자유도 (3개 병진, 3개 회전)
  • 구조 질량은 3개 이상의 이동 관성항을 갖는 집중 질량으로 모형화 (하부 구조 포함)
  • 활하중의 관성 효과 고려 필요 시 반영
  • 지반/물의 거동 특성을 반영하여 모델링
  • 상부 구조는 경간 단부 연결부 및 지간 1/4 지점에 절점을 가진 공간 뼈대 부재 집합체로 모형화
  • 하부 구조의 중간 기둥/교각은 짧고 강성이 강한 기둥은 중간 절점 불필요, 길고 유연한 기둥은 1/3 지점에 중간 절점 모형화
  • 지반은 등가 선형 스프링 계수를 이용하여 모형화
4.3.3.3 진동모드의 형상, 주기 및 구조감쇠
  • 고려 방향에 대한 주기 및 모드 형상은 전체 시스템 질량/강성 고려하여 계산
  • 구성 요소의 역학적 거동 특성을 고려하여 감쇠 산정
  • 각 진동 모드의 구조 감쇠는 안전 측으로 산정하거나 각 구성 요소의 감쇠 기여도 고려하여 산정
4.3.3.4 모드 수
  • 응답 해석 시 응답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는 모드 수 이상 고려
4.3.3.5 부재력과 변위
  • 부재 단면력/변위는 개별 모드별 응답 성분을 CQC 방법으로 조합하여 계산

4.4 기초 및 교대의 내진설계

4.4.1 적용 범위

  • 교량 기초/교대의 내진 설계 규정
  • 기초/교대는 지진 하중 외 수직/수평 하중 지지 가능하도록 설계 (조사 범위, 성토, 사면 안정, 지지력, 수평 토압, 배수, 침하, 말뚝 기초 요건 및 지지력 등 포함)

4.4.2 기초

4.4.2.1 조사
  • 지진구역 Ⅰ에서는 사면 불안정, 액상화, 성토 지반 침하, 수평 토압 증가 관련 조사 추가
  • 최대 지반 가속도는 암반/토사 지반에 따라 KDS 17 10 00 (4.2.1.4(3))의 표 4.2-8 단주기 지반 증폭 계수()를 곱한 값 또는 부지 고유 지반 응답 해석 결과 적용
4.4.2.2 기초 설계를 위한 해석과 검토
  • 등가 정적/동적 해석 수행하여 기초 구조체 최대 응력/단면력, 상부 구조 최대 변위, 기초의 전도/활동/침하/지지력 검토
  • 얕은 기초에 대한 등가 정적 해석: 등가 정적 하중 결정, 미끄러짐/지지력/전도 안전성 및 변형/침하량 검토, 액상화 발생 가능성 평가 및 대책 강구
  • 말뚝 기초에 대한 등가 정적 해석: 지진 하중을 말뚝 머리에 작용하는 등가 정적 하중으로 환산하여 정적 해석 수행, 군 말뚝 해석 수행, 내진 성능 평가 대상 말뚝 선정 및 등가 정적 해석 수행, 말뚝 본체/두부 응력/단면력, 변위량/모멘트 검토
  • 동적 해석: 기초/지반/구조물 상호 작용 고려하는 동적 해석 방법 사용, 현장/실내 시험 결과를 고려하여 기초를 스프링으로 모델링 후 설계 지진 하중으로 응답 해석 수행,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 결정 및 안전성 검토
4.4.2.3 말뚝설계 시 특별히 요구되는 사항
  • 극한 지지력 개념 사용, 설계 지진 하중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 확보, 파일캡과 적절한 연결, 인발력 전달 위한 철근 매립, 보강 철근 연장, 말뚝 파괴 방지, 깊은 기초의 경우 수직/수평 변위 고려한 이음부 안전성 검토

4.4.3 교대

4.4.3.1 일반사항
  • 교대 파괴/변위로 인한 교량 손상 방지 위한 설계
4.4.3.2 독립식 교대
  • 지진에 의한 수평 토압과 교대 관성력 고려, 상부 구조 고정 단 받침으로 지지될 경우 상부 구조로부터 전달되는 지진력 고려
  • 지진 시 교대에 작용하는 토압은 Mononobe-Okabe 등가 정적 하중법으로 계산
  • 교축 방향 변위 허용 설계 가능 (미끄러짐만 허용, 전도 방지, 받침 손상 최소화)
  • 교축 방향 변위 구속 시 Mononobe-Okabe 토압보다 큰 수평 토압 고려
4.4.3.3 일체식 교대
  • 과다한 상대 변위 방지 위한 적절한 수동 저항력 확보
  • 교대-뒷채움흙 구조 및 기초 강성 계산하여 내진 설계

4.5 콘크리트교의 설계

4.5.1 일반사항

  • 주탑/교각/확대 기초/연결부 내진 설계는 KDS 24 14 22, KDS 24 14 52 및 이 절의 추가 요구 조건 만족
  • 교각은 기둥 형식 교각 (단일 기둥/다주 가구), 벽식 교각, 말뚝 가구를 총칭

4.5.2 주탑 및 교각의 해석 및 설계강도

4.5.2.1 일반사항
  • 균열 영향, 축력 영향 등 구조적 거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 고려
  • 축방향 철근 설계 기준 항복 강도는 500 MPa 초과 불가, 소성 거동 구역 통과하는 축방향 철근은 KS D 3504의 특수 내진용 S등급 철근 또는 일반 구조용 철근 (인장 강도가 항복 강도의 1.25배 이상) 사용
  • 횡방향 철근 설계 기준 항복 강도는 500 MPa 초과 불가
4.5.2.2 주탑 및 교각의 휨강성
  • 탄성 해석 시 축방향 철근이 항복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식 (4.5-1)로 결정되는 항복 강성 적용
  • 탄성 해석 시 축방향 철근이 항복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철근을 무시한 콘크리트 전체 단면의 중심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와 콘크리트 탄성 계수로 표현되는 휨 강성 적용 (단, 변위 계산 시 항복 강성 적용)
4.5.2.3 주탑 및 교각의 P-Δ효과
  • 총 모멘트는 P-Δ 효과 고려하여 결정, 선형 탄성 해석 시 지진 해석에 의한 1차 모멘트에 횡방향 지진 변위와 축력에 의한 2차 모멘트를 추가하여 총 모멘트 결정
  • 엄밀한 해석에 의하여 P-Δ 효과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근사적으로 2차 모멘트 계산
  • 캔틸레버 교각: 기둥 상단/하단 횡방향 최대 상대 변위의 1.5배에 축력을 곱한 값을 2차 모멘트로 취함
  • 골조 교각: 모멘트가 0인 위치를 기준으로 상단/하단 횡방향 상대 변위를 각각 구한 후 1.5배를 취한 값에 축력을 곱하여 2차 모멘트로 취함
4.5.2.4 주탑 및 교각의 설계 휨강도
  • KDS 24 14 21(4.1.1)에 따름
  • 콘크리트 압축 응력 분포를 이용한 휨 강도 해석 또는 콘크리트/축방향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이용한 모멘트-곡률 해석으로 결정
  • 축력 영향 고려, 횡방향 철근 배근 구간은 횡구속 효과 고려하여 KDS 24 14 21(3.1.2.5(3))의 응력-변형률 관계 적용
4.5.2.5 주탑 및 교각의 설계 전단강도
  • KDS 24 14 21(4.1.2)에 따름

4.5.3 주탑 및 기둥

4.5.3.1 일반사항
  • 주탑/기둥 내진 설계 적용
  • 전단 지배적인 벽식 교각은 4.5.4에 따라 벽체로 설계
  • 말뚝 가구에도 적용
4.5.3.2 단부구역의 설계
  • 캔틸레버/골조 거동 주탑/기둥의 하단/상단을 단부 구역으로 정의
  • 길이는 부재 최대 단면 치수, 휨 모멘트 변곡점까지 높이의 1/6, 450 mm 중 가장 큰 값
  • 말뚝 가구의 상단 단부 구역은 기둥의 상단 단부 구역과 동일, 하단 단부 구역은 모멘트 고정점에서 말뚝 지름의 3배 길이만큼 내려간 위치로부터 진흙선에서 말뚝 지름과 450 mm 중 큰 값 이상의 길이
  • 단부 구역은 4.5.3.3 및 4.5.3.5의 규정 만족
  • 중공 단면 주탑/기둥의 단부 구역은 중실 단면 또는 충분한 크기의 헌치를 두어 단면 확대
4.5.3.3 축방향철근과 횡방향철근
  • 축방향 철근 단면적은 기둥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6배 이하
  • 소성 거동 구역에서는 축방향 철근 겹침 이음 금지, 겹침 이음 시 완전 기계적 이음 연결
  • 소성 거동을 하지 않는 구역에서는 전체 축방향 철근의 1/2 초과 겹침 이음 금지, 겹침 이음 간 거리는 600 mm 이상
  • 소성 거동 구역의 횡방향 철근은 4.5.3.4의 철근량 및 4.5.3.5의 철근 상세 만족
  • 붕괴 방지 수준 설계 지진에 대해 소성 거동을 하지 않는 구역은 축방향 철근 겹침 이음 없이 연속될 필요 없음
  • 단부 구역의 횡방향 철근은 인접 부재와의 연결 면으로부터 부재 치수의 0.5배와 380 mm 중 큰 값 이상까지 연장 설치
  • 나선 철근에 대한 일반 규정 적용 제외
4.5.3.4 소성거동구역의 횡방향철근량
  • 붕괴 방지 수준 설계 지진에 대해 주탑/기둥에서 소성 거동을 하는 구역의 심부 콘크리트는 비선형 응답(시간)이력 해석으로 구한 콘크리트 압축 단면의 최대 응답 변형률을 만족하도록 횡방향 철근으로 구속
  • 비선형 응답(시간)이력 해석에 사용되는 횡구속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 및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은 KDS 24 14 21(3.1.2.5), KDS 24 14 21(3.2.3) 또는 널리 알려진 관계식 사용, 소요 횡방향 철근량은 관계식 이용하여 산정
4.5.3.5 단부구역의 횡방향철근상세
  • D13 이상, 지름이 축방향 철근 지름의 2/5 이상
  • 최대 수직 간격은 부재 최소 단면 치수의 1/4 또는 축방향 철근 지름의 6배 중 작은 값 초과 불가
  • 소성 거동 구역의 나선 철근은 겹침 이음 금지, 기계적 연결 또는 완전 용접 이음으로 연결
  • 사각형 횡방향 철근은 하나의 사각형 후프 띠 철근 또는 중복된 사각형 폐합 띠 철근 사용, 보강 띠 철근은 후프 띠 철근과 유사한 크기 사용
  • 사각형 후프 띠 철근은 외측 축방향 철근을 감싸는 폐합 띠 철근 형태 또는 연속적으로 감은 연속 띠 철근 형태 사용, 폐합 띠 철근 형태는 양단에 135° 갈고리를 가지거나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완전 기계적 이음, 연속 띠 철근 형태는 양단에 135° 갈고리 (축방향 철근에 걸리게 함)
  • 보강 띠 철근은 한쪽 단에 135° 이상, 다른 쪽 단에 90° 이상의 갈고리를 갖도록 함
  • 사각형 후프 띠 철근에 추가되는 보강 띠 철근의 갈고리는 외측 축방향 철근/후프 띠 철근에 함께 걸리도록 하거나 외측 축방향 철근을 감싸도록 배치, 90° 갈고리가 연달아 걸리지 않도록 양단 바꿔줌
  • 사각형 횡방향 철근은 후프 띠 철근/보강 띠 철근의 수평 간격은 1 m 이내
  • 양단에 90° 갈고리를 갖고 1개소 또는 2개소에서 철근 지름의 40배 이상으로 겹침 이음된 원형 후프 띠 철근에 2개의 보강 띠 철근이 겹침 이음 구간을 감싸는 경우 완전 원형 후프로 간주, 후프 띠 철근의 90° 갈고리는 축방향 철근에 걸리게 하며 보강 띠 철근은 겹침 이음 구간 양쪽 끝부분에 배치, 교각의 길이 방향과 단면 평면 방향으로 90° 갈고리가 연달아 걸리지 않도록 양단을 바꿔줌, 겹침 이음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연달아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
4.5.3.6 결합나선철근
  • 2개 이상의 나선 철근을 결합한 결합 나선 철근 사용 가능
  • 소성 거동 구역의 결합 나선 철근량은 각각의 나선 철근에 대해 독립적으로 계산
  • 축방향 철근 중심 간 수평 간격은 200 mm 이하, 결합 부분에는 최소 4개 이상의 축방향 철근 배근
  • 결합 나선 철근의 나선 철근 간 중심 간격()은 심부 단면 치수()의 0.75배 이하
  • 원형 후프 띠 철근을 용접/기계적 연결 장치 등으로 연결하거나 보강 띠 철근을 추가하여 정착 단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나선 철근과 동등한 심부 구속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면 결합 원형 띠 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 나선 철근과 동등하게 취급
  • 결합 나선 철근 또는 결합 원형 띠 철근은 해당 규정을 따라야 함
  • 널리 알려진 이론/최신 연구 문헌/실험/해석적으로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규정 적용 제외

4.5.4 벽식 교각

  • 약축 방향은 일반 기둥으로 설계 가능
  • 강축 방향은 KDS 24 1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