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화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10조 ①항 8호에 해당하는 장경간 케이블 교량의 내진설계 적용
적용하는 교량 및 준용 방법은 KDS 24 10 12(1.1)에 따름
1.3 참고 기준
KDS 17 10 00 내진설계 일반
KDS 24 10 12 교량설계 일반사항(케이블교량)
KDS 24 12 12 교량 설계하중조합(케이블교량)
KDS 24 12 21 교량 설계하중(한계상태설계법)
KDS 24 14 21 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1.4 용어의 정의
구조감쇠: 진동하는 물체의 에너지 소산을 통한 진동 감소
기능수행수준: 설계지진 하중 작용 시 교량 기능 유지 가능한 수준
내진성능목표: 설계지진 하중에 대한 내진성능 수준 만족을 위한 목표
내진성능수준: 설계지진 하중에 대한 교량 성능 수준 (기능수행, 즉시복구, 장기복구, 붕괴방지)
다중모드 스펙트럼해석법: 여러 진동모드를 사용하는 스펙트럼 해석 방법
단부구역: 주탑/기둥 하단 및 상단 캔틸레버/골조 거동 영역
모멘트-곡률 해석: 횡구속 효과, 축력 등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모멘트-곡률 관계 해석
발산감쇠: 지진 에너지가 지반 변형으로 소산되어 구조물 진동 감소
붕괴방지수준: 설계지진 하중 작용 시 붕괴 방지 가능한 수준
설계변위: 설계에서 요구되는 수평 지진 변위
액상화: 지반의 전단강도 상실로 인한 액체화 현상
위험도계수: 평균 재현 주기가 다른 지진의 유효 수평 지반 가속도 비율
유효지반가속도: 지진 하중 산정을 위한 기반암 지반 운동 수준 (수평, 수직)
응답(시간)이력해석법: 지진 지속 시간 동안 구조물 동적 응답 계산 방법
장기복구수준: 설계지진 하중 작용 시 주부재 손상 없이 장기 복구 가능한 수준
전단파속도: 지반을 통한 전단파 전파 속도
지반응답해석: 지진파가 지표면으로 전파될 때 토층 동적 거동에 대한 해석
지반종류: 지진 증폭 특성에 따른 지반 분류
지진구역: 지진 위험도에 따른 행정 구역 구분 (지진구역 I, II)
지진구역계수: 지진구역 I, II의 기반암에서 평균 재현 주기 500년 지진의 유효 수평 지반 가속도
항복강성: 축방향력과 콘크리트 균열 고려한 교각의 강성 (항복 모멘트 / 항복 곡률)
1.5 기호의 정의
: 콘크리트 단면의 유효 단면적
: 콘크리트 단면의 총 단면적
: 전단철근의 단면적
: 타원형/사각형 기초의 지진력 방향 단면 크기의 1/2
: 타원형/사각형 기초의 지진력 직각 방향 단면 크기의 1/2
: 사각형 단면의 유효 깊이 또는 설계 지진 시 지반에 대한 거더의 총 변위
: 설계 지진 시 거더의 변위
: 나선철근 간의 중심 간격
: 심부 단면 치수
: 설계 지진 시 하부 구조의 변위
: 축력을 고려한 교각의 항복 강성
: 소선의 변형률이 0.2%인 곳에서의 케이블 강도
: 콘크리트 기준 압축 강도
: 전단철근의 항복 강도
: 단면 치수
: 위험도 계수
: 구조 전체의 강성 매트릭스
: 구성 요소 i의 강성 매트릭스
: 직사각형 단면 기초의 부가 질량 보정 계수
: 축력을 고려한 교각의 항복 모멘트
: 기초에 작용하는 수압 영향 고려 단위 길이 당 가상 부가 질량
: 구조 감쇠 계산 시 구성 요소 수
: 축하중
: 원형 단면 기초의 지름
: 지점의 반력
: 유효 수평 지반 가속도
: 설계 응답 가속도
: 평균 설계 응답 가속도
: 전단철근의 배근 간격
: 진동 모드의 주기
: 스펙트럼 가속도가 상수인 구간의 상한 통제 주기
: 지반 운동 시간 이력 포락 곡선의 감쇠 시간
: 지반 운동 시간 이력 포락 곡선의 강진동 지속 시간
: 지반 운동 시간 이력 포락 곡선의 상승 시간
: 전단 성능 검증 시 콘크리트 전단 강도
: 응답(시간)이력 해석에서 얻은 단면의 최대 전단력
: 부재의 전단 강도
: 전단철근의 전단 강도
: 지진구역 계수
: 전단 경간비 고려 계수
: 축방향 철근비 고려 계수
: 소요 변위 연성도에 따른 전단 강도 감소 고려 계수
: 콘크리트 크리프에 의한 거더의 이동량
: 거더의 이동 변위
: 콘크리트 건조 수축에 의한 거더의 이동량
: 온도 변화에 의한 거더의 이동량
: 항복 변위에 대한 최대 응답 변위의 비
: 물의 밀도
: 단면 외형 치수에 대한 축방향 철근의 영향 고려 계수
: j차 진동 모드의 구조 전체 모드 벡터
: 축력을 고려한 교각의 항복 곡률
1.6 설계 원칙
1.6.1 목적
설계 지진 하중에 대한 케이블 교량의 기능 수행, 장기 복구 및 붕괴 방지 수준의 내진 성능 수준 확보 위한 설계 요구 조건 규정
1.6.2 내진 설계의 기본 개념
국토교통부 KDS 17 00 00 및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개정
설계 지진 시 요구되는 내진 성능 수준 유지 위한 강도 및 연성 확보, 낙교 방지 설계
보다 발전된 설계 인정
1.6.3 품질보증 요건
KDS 17 10 00(1.6)에 따름
1.6.4 지진응답 계측
1.6.4.1 일반사항
KDS 17 10 00(4.6)에 따름
유지 관리, 내진 설계 기술 개발 및 개선 자료 확보를 위한 지진계/가속도계 설치 및 운영 요구 가능
1.6.4.2 계측기기의 설치와 관리
계측기기 설치 위치, 종류, 개수 및 관리 결정
2. 조사 및 계획
내용 없음
3. 재료
내용 없음
4. 설계
4.1 설계 일반사항
4.1.1 설계지반운동
4.1.1.1 일반사항
부지 정지 작업 완료된 지면에서의 지반 운동으로 정의
토질 조건, 지질 조건, 지형의 지반 운동 영향 고려
세기, 진동수 성분, 지속 시간으로 특성 정의
수평 2축 방향 성분 및 수직 방향 성분으로 정의 (수평 성분은 동일한 세기 및 특성, 수직 성분은 세기가 수평 성분의 0.77 또는 공학적 판단)
지점별 동일한 가진이 불합리한 경우 공간적 변화 모델 사용
4.1.1.2 지진위험도 및 유효수평지반가속도
지진 구역은 KDS 17 10 00 (4.2.1.1(1))에 따름
지진 구역 계수(Z)는 KDS 17 10 00 (4.2.1.1(2))에 따름
위험도 계수()는 KDS 17 10 00 (4.2.1.1(3))에 따름
부지 유효 수평 지반 가속도()는 행정 구역에 의해 결정 시 식 (4.1-1) 적용
국가 지진 위험 지도 이용 시 행정 구역 결정 값의 80% 이상 확보
4.1.2 내진등급
내진 특등급
4.1.3 지반의 분류
KDS 17 10 00 (4.2.1.2)에 따름 (탄성파 시험 결과 없을 시 표준 관입 시험 관입 저항치(SPT-N치)를 전단파 속도로 변환)
4.1.4 내진성능수준과 설계지진수준
4.1.4.1 내진성능수준
기능수행, 장기복구, 붕괴방지 수준
발생 빈도가 높은 지진에 대해 기능수행 수준 만족
발생 빈도가 낮은 지진에 대해 장기복구 수준 만족
발생 빈도가 매우 낮은 지진에 대해 붕괴방지 수준 만족
4.1.4.2 설계지진수준
발생 빈도가 높은 지진: 평균 재현 주기 200년 지진
발생 빈도가 낮은 지진: 설계 수명 100년일 때 평균 재현 주기 1,000년, 200년일 때 평균 재현 주기 2,400년 지진
발생 빈도가 매우 낮은 지진: 설계 수명 100년일 때 평균 재현 주기 2,400년, 200년일 때 평균 재현 주기 4,800년 지진
4.1.5 내진성능목표
설계 수명에 따른 내진 성능 목표 표 4.1-1 참조
4.1.6 구성요소의 허용손상수준
교량 내진 성능 수준 만족을 위한 허용 손상 수준
구성 요소의 내진 성능 수준별 허용 손상 수준 표 4.1-2 참조
KDS 24 12 12(4.1.1.5)의 사용 한계 상태 하중 조합 Ⅵ 및 극단 상황 한계 상태 하중 조합 Ⅰ에 안전하면 각각 기능 수행 수준 지진 및 장기 복구 수준 지진 만족
4.2 해석 및 설계에 대한 규정
4.2.1 일반사항
교량 구성 요소 설계 및 사용성 검토 규정 (붕괴 방지 수준 내진 성능 검증은 4.6에 따름)
기초/교대 설계 조건 및 콘크리트교 내진 설계 추가 요구 조건은 4.4 및 4.5에 따름
4.2.2 기본해석방법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4.3) 또는 응답(시간)이력해석법 (4.6.3) 사용
4.2.3 탄성지진력 및 탄성변위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사용 시 수평 2축 및 수직축에 대한 독립 해석 후 4.2.4에 따라 조합
응답(시간)이력해석법 사용 시 4.6.3에 따름
4.2.4 탄성지진력 및 탄성변위의 조합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사용 시 4.2.3에서 구한 값을 다음과 같이 조합하여 사용
하중 경우 1: 종방향 지진력/변위에 횡방향/수직 지진력/변위의 30% 합산
하중 경우 2: 횡방향 지진력/변위에 종방향/수직 지진력/변위의 30% 합산
하중 경우 3: 수직방향 지진력/변위에 횡방향/종방향 지진력/변위의 30% 합산
응답(시간)이력해석법 사용 시 4.6.3에 따름
4.2.5 설계지진력 하중조합
구성 요소 설계를 위한 설계 지진력은 4.2.4에서 조합한 탄성 지진력
KDS 24 12 12(4.1.1.2)의 극단 상황 한계 상태 하중 조합 Ⅰ으로 조합
사용성 검토를 위한 설계 지진력은 KDS 24 12 12(4.1.1.3)의 사용 한계 상태 하중 조합 Ⅵ으로 조합
설계 지진력 부호는 불리한 경우 적용
4.2.6 설계변위
붕괴 방지 수준 설계 지진 시 상부 구조 낙교 방지를 위한 받침 지지 길이 확보 또는 이동 변위 제한 장치 설치
장기 복구 수준 설계 지진 시 상부 구조/교대 또는 인접 상부 구조 간 충돌 방지 위한 여유 간격 확보 또는 충돌 보호 장치 설치
거더 이동 변위는 식 (4.2-2)에 따라 산정
4.3 해석방법
4.3.1 일반사항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에 대한 규정
고정된 주탑/교각/교대 지점이 넓게 분포되어 시간차/위상차 발생 가능성 검토 및 지진 응답 해석 수행
4.3.2 스펙트럼가속도
지진 환경 및 부지 특성 고려한 스펙트럼 가속도() 산정
합리적인 산정이 불가능할 시 표준 설계 응답 스펙트럼 사용
암반/토사 지반 설계 지반 운동 가속도 표준 설계 응답 스펙트럼은 KDS 17 10 00 (4.2.1.4(2)/(3))에 따름
4.3.3 다중모드스펙트럼해석법
4.3.3.1 일반사항
공인된 공간 뼈대 선형 동적 해석 프로그램 사용
지점별 동일 설계 응답 스펙트럼 적용이 불가능할 시 응답이 크게 산정되는 스펙트럼 사용 또는 식 (4.3-1) 적용
4.3.3.2 수학적 모형
교량을 연결부/절점으로 구성된 3차원 공간 뼈대 구조물로 모형화
각 연결부/절점은 6개의 자유도 (3개 병진, 3개 회전)
구조 질량은 3개 이상의 이동 관성항을 갖는 집중 질량으로 모형화 (하부 구조 포함)
활하중의 관성 효과 고려 필요 시 반영
지반/물의 거동 특성을 반영하여 모델링
상부 구조는 경간 단부 연결부 및 지간 1/4 지점에 절점을 가진 공간 뼈대 부재 집합체로 모형화
하부 구조의 중간 기둥/교각은 짧고 강성이 강한 기둥은 중간 절점 불필요, 길고 유연한 기둥은 1/3 지점에 중간 절점 모형화
지반은 등가 선형 스프링 계수를 이용하여 모형화
4.3.3.3 진동모드의 형상, 주기 및 구조감쇠
고려 방향에 대한 주기 및 모드 형상은 전체 시스템 질량/강성 고려하여 계산
구성 요소의 역학적 거동 특성을 고려하여 감쇠 산정
각 진동 모드의 구조 감쇠는 안전 측으로 산정하거나 각 구성 요소의 감쇠 기여도 고려하여 산정
4.3.3.4 모드 수
응답 해석 시 응답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는 모드 수 이상 고려
4.3.3.5 부재력과 변위
부재 단면력/변위는 개별 모드별 응답 성분을 CQC 방법으로 조합하여 계산
4.4 기초 및 교대의 내진설계
4.4.1 적용 범위
교량 기초/교대의 내진 설계 규정
기초/교대는 지진 하중 외 수직/수평 하중 지지 가능하도록 설계 (조사 범위, 성토, 사면 안정, 지지력, 수평 토압, 배수, 침하, 말뚝 기초 요건 및 지지력 등 포함)
4.4.2 기초
4.4.2.1 조사
지진구역 Ⅰ에서는 사면 불안정, 액상화, 성토 지반 침하, 수평 토압 증가 관련 조사 추가
최대 지반 가속도는 암반/토사 지반에 따라 KDS 17 10 00 (4.2.1.4(3))의 표 4.2-8 단주기 지반 증폭 계수()를 곱한 값 또는 부지 고유 지반 응답 해석 결과 적용
4.4.2.2 기초 설계를 위한 해석과 검토
등가 정적/동적 해석 수행하여 기초 구조체 최대 응력/단면력, 상부 구조 최대 변위, 기초의 전도/활동/침하/지지력 검토
얕은 기초에 대한 등가 정적 해석: 등가 정적 하중 결정, 미끄러짐/지지력/전도 안전성 및 변형/침하량 검토, 액상화 발생 가능성 평가 및 대책 강구
말뚝 기초에 대한 등가 정적 해석: 지진 하중을 말뚝 머리에 작용하는 등가 정적 하중으로 환산하여 정적 해석 수행, 군 말뚝 해석 수행, 내진 성능 평가 대상 말뚝 선정 및 등가 정적 해석 수행, 말뚝 본체/두부 응력/단면력, 변위량/모멘트 검토
동적 해석: 기초/지반/구조물 상호 작용 고려하는 동적 해석 방법 사용, 현장/실내 시험 결과를 고려하여 기초를 스프링으로 모델링 후 설계 지진 하중으로 응답 해석 수행,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 결정 및 안전성 검토
4.4.2.3 말뚝설계 시 특별히 요구되는 사항
극한 지지력 개념 사용, 설계 지진 하중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 확보, 파일캡과 적절한 연결, 인발력 전달 위한 철근 매립, 보강 철근 연장, 말뚝 파괴 방지, 깊은 기초의 경우 수직/수평 변위 고려한 이음부 안전성 검토
4.4.3 교대
4.4.3.1 일반사항
교대 파괴/변위로 인한 교량 손상 방지 위한 설계
4.4.3.2 독립식 교대
지진에 의한 수평 토압과 교대 관성력 고려, 상부 구조 고정 단 받침으로 지지될 경우 상부 구조로부터 전달되는 지진력 고려
지진 시 교대에 작용하는 토압은 Mononobe-Okabe 등가 정적 하중법으로 계산
교축 방향 변위 허용 설계 가능 (미끄러짐만 허용, 전도 방지, 받침 손상 최소화)
교축 방향 변위 구속 시 Mononobe-Okabe 토압보다 큰 수평 토압 고려
4.4.3.3 일체식 교대
과다한 상대 변위 방지 위한 적절한 수동 저항력 확보
교대-뒷채움흙 구조 및 기초 강성 계산하여 내진 설계
4.5 콘크리트교의 설계
4.5.1 일반사항
주탑/교각/확대 기초/연결부 내진 설계는 KDS 24 14 22, KDS 24 14 52 및 이 절의 추가 요구 조건 만족
교각은 기둥 형식 교각 (단일 기둥/다주 가구), 벽식 교각, 말뚝 가구를 총칭
4.5.2 주탑 및 교각의 해석 및 설계강도
4.5.2.1 일반사항
균열 영향, 축력 영향 등 구조적 거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 고려
축방향 철근 설계 기준 항복 강도는 500 MPa 초과 불가, 소성 거동 구역 통과하는 축방향 철근은 KS D 3504의 특수 내진용 S등급 철근 또는 일반 구조용 철근 (인장 강도가 항복 강도의 1.25배 이상) 사용
횡방향 철근 설계 기준 항복 강도는 500 MPa 초과 불가
4.5.2.2 주탑 및 교각의 휨강성
탄성 해석 시 축방향 철근이 항복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식 (4.5-1)로 결정되는 항복 강성 적용
탄성 해석 시 축방향 철근이 항복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철근을 무시한 콘크리트 전체 단면의 중심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와 콘크리트 탄성 계수로 표현되는 휨 강성 적용 (단, 변위 계산 시 항복 강성 적용)
4.5.2.3 주탑 및 교각의 P-Δ효과
총 모멘트는 P-Δ 효과 고려하여 결정, 선형 탄성 해석 시 지진 해석에 의한 1차 모멘트에 횡방향 지진 변위와 축력에 의한 2차 모멘트를 추가하여 총 모멘트 결정
엄밀한 해석에 의하여 P-Δ 효과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근사적으로 2차 모멘트 계산
캔틸레버 교각: 기둥 상단/하단 횡방향 최대 상대 변위의 1.5배에 축력을 곱한 값을 2차 모멘트로 취함
골조 교각: 모멘트가 0인 위치를 기준으로 상단/하단 횡방향 상대 변위를 각각 구한 후 1.5배를 취한 값에 축력을 곱하여 2차 모멘트로 취함
4.5.2.4 주탑 및 교각의 설계 휨강도
KDS 24 14 21(4.1.1)에 따름
콘크리트 압축 응력 분포를 이용한 휨 강도 해석 또는 콘크리트/축방향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이용한 모멘트-곡률 해석으로 결정
축력 영향 고려, 횡방향 철근 배근 구간은 횡구속 효과 고려하여 KDS 24 14 21(3.1.2.5(3))의 응력-변형률 관계 적용
4.5.2.5 주탑 및 교각의 설계 전단강도
KDS 24 14 21(4.1.2)에 따름
4.5.3 주탑 및 기둥
4.5.3.1 일반사항
주탑/기둥 내진 설계 적용
전단 지배적인 벽식 교각은 4.5.4에 따라 벽체로 설계
말뚝 가구에도 적용
4.5.3.2 단부구역의 설계
캔틸레버/골조 거동 주탑/기둥의 하단/상단을 단부 구역으로 정의
길이는 부재 최대 단면 치수, 휨 모멘트 변곡점까지 높이의 1/6, 450 mm 중 가장 큰 값
말뚝 가구의 상단 단부 구역은 기둥의 상단 단부 구역과 동일, 하단 단부 구역은 모멘트 고정점에서 말뚝 지름의 3배 길이만큼 내려간 위치로부터 진흙선에서 말뚝 지름과 450 mm 중 큰 값 이상의 길이
단부 구역은 4.5.3.3 및 4.5.3.5의 규정 만족
중공 단면 주탑/기둥의 단부 구역은 중실 단면 또는 충분한 크기의 헌치를 두어 단면 확대
4.5.3.3 축방향철근과 횡방향철근
축방향 철근 단면적은 기둥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6배 이하
소성 거동 구역에서는 축방향 철근 겹침 이음 금지, 겹침 이음 시 완전 기계적 이음 연결
소성 거동을 하지 않는 구역에서는 전체 축방향 철근의 1/2 초과 겹침 이음 금지, 겹침 이음 간 거리는 600 mm 이상
소성 거동 구역의 횡방향 철근은 4.5.3.4의 철근량 및 4.5.3.5의 철근 상세 만족
붕괴 방지 수준 설계 지진에 대해 소성 거동을 하지 않는 구역은 축방향 철근 겹침 이음 없이 연속될 필요 없음
단부 구역의 횡방향 철근은 인접 부재와의 연결 면으로부터 부재 치수의 0.5배와 380 mm 중 큰 값 이상까지 연장 설치
나선 철근에 대한 일반 규정 적용 제외
4.5.3.4 소성거동구역의 횡방향철근량
붕괴 방지 수준 설계 지진에 대해 주탑/기둥에서 소성 거동을 하는 구역의 심부 콘크리트는 비선형 응답(시간)이력 해석으로 구한 콘크리트 압축 단면의 최대 응답 변형률을 만족하도록 횡방향 철근으로 구속
비선형 응답(시간)이력 해석에 사용되는 횡구속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 및 철근의 응력-변형률 곡선은 KDS 24 14 21(3.1.2.5), KDS 24 14 21(3.2.3) 또는 널리 알려진 관계식 사용, 소요 횡방향 철근량은 관계식 이용하여 산정
4.5.3.5 단부구역의 횡방향철근상세
D13 이상, 지름이 축방향 철근 지름의 2/5 이상
최대 수직 간격은 부재 최소 단면 치수의 1/4 또는 축방향 철근 지름의 6배 중 작은 값 초과 불가
소성 거동 구역의 나선 철근은 겹침 이음 금지, 기계적 연결 또는 완전 용접 이음으로 연결
사각형 횡방향 철근은 하나의 사각형 후프 띠 철근 또는 중복된 사각형 폐합 띠 철근 사용, 보강 띠 철근은 후프 띠 철근과 유사한 크기 사용
사각형 후프 띠 철근은 외측 축방향 철근을 감싸는 폐합 띠 철근 형태 또는 연속적으로 감은 연속 띠 철근 형태 사용, 폐합 띠 철근 형태는 양단에 135° 갈고리를 가지거나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완전 기계적 이음, 연속 띠 철근 형태는 양단에 135° 갈고리 (축방향 철근에 걸리게 함)
보강 띠 철근은 한쪽 단에 135° 이상, 다른 쪽 단에 90° 이상의 갈고리를 갖도록 함
사각형 후프 띠 철근에 추가되는 보강 띠 철근의 갈고리는 외측 축방향 철근/후프 띠 철근에 함께 걸리도록 하거나 외측 축방향 철근을 감싸도록 배치, 90° 갈고리가 연달아 걸리지 않도록 양단 바꿔줌
사각형 횡방향 철근은 후프 띠 철근/보강 띠 철근의 수평 간격은 1 m 이내
양단에 90° 갈고리를 갖고 1개소 또는 2개소에서 철근 지름의 40배 이상으로 겹침 이음된 원형 후프 띠 철근에 2개의 보강 띠 철근이 겹침 이음 구간을 감싸는 경우 완전 원형 후프로 간주, 후프 띠 철근의 90° 갈고리는 축방향 철근에 걸리게 하며 보강 띠 철근은 겹침 이음 구간 양쪽 끝부분에 배치, 교각의 길이 방향과 단면 평면 방향으로 90° 갈고리가 연달아 걸리지 않도록 양단을 바꿔줌, 겹침 이음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연달아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
4.5.3.6 결합나선철근
2개 이상의 나선 철근을 결합한 결합 나선 철근 사용 가능
소성 거동 구역의 결합 나선 철근량은 각각의 나선 철근에 대해 독립적으로 계산
축방향 철근 중심 간 수평 간격은 200 mm 이하, 결합 부분에는 최소 4개 이상의 축방향 철근 배근
결합 나선 철근의 나선 철근 간 중심 간격()은 심부 단면 치수()의 0.75배 이하
원형 후프 띠 철근을 용접/기계적 연결 장치 등으로 연결하거나 보강 띠 철근을 추가하여 정착 단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나선 철근과 동등한 심부 구속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면 결합 원형 띠 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 나선 철근과 동등하게 취급
결합 나선 철근 또는 결합 원형 띠 철근은 해당 규정을 따라야 함
널리 알려진 이론/최신 연구 문헌/실험/해석적으로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규정 적용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