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CS 롤러다짐콘크리트댐 콘크리트 타설 및 축조공
“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적용범위는
1.1.1 주요내용
(1) 주요내용은
1.2 참고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1) 관련기준은
1.3 용어의 정의
(1) 용어의 정의는
1.4 제출물
(1) 제출물은
1.5 시험시공
1.5.1 일반사항
(1) 일반사항은
1.5.2 재료 및 장비
(1) 재료 및 장비는
1.5.3 시험장소
(1) 시험장소는
1.5.4 롤러다짐용 콘크리트 시험 시공 방법
(1) 롤러다짐용 콘크리트 시험 시공 방법은
1.5.5 롤러다짐용 콘크리트공에 수반하는 기타 콘크리트
(1) 롤러다짐용 콘크리트공에 수반하는 기타 콘크리트는
1.6 공사기록서류
(1) 공사기록서류는
1.7 수량산출 및 대가의 지급
1.7.1 암 및 콘크리트 표면에 타설을 하는 콘크리트
(1) 콘크리트 기초암반 표면에 대한 청소에 대한 비용은 수급인이 내역서상의 콘크리트 항목에 입찰한 단가에 포함하여 지급하며, 별도항목으로 지급하지 아니한다. 또한 롤러다짐 콘크리트면의 모르타르 부설공은 수급인이 콘크리트 항목에 입찰한 단가에 포함하여야 한다.(2) 공간을 채우는데 필요한 모르타르의 공급과 주입 그리고 주입에 필요한 그라우트관의 공급과 설치에 대한 모든 비용은 수급인이 내역서상의 콘크리트 항목에 입찰한 단가에 포함하여 지급하며 별도 항목으로 지급하지 아니한다.
1.7.2 댐 기초 덴탈 콘크리트
(1) 댐 기초 덴탈 콘크리트에 대한 공사량은 계획 굴착선보다 아래 부분까지 부분적으로 굴착한 장소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와 그라우트 캡(grout cap) 콘크리트, 공사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기초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하여 타설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야 하며, 단위 ㎥로 산출한다.(2) 댐 기초 덴탈 콘크리트에 대한 비용은 수급인이 내역서상의 해당 항목에 입찰한 단가로 지급한다.
1.7.3 매스 콘크리트
(1) 매스 콘크리트 공사에 대한 비용은 수급인이 내역서상의 해당구조물 콘크리트 항목에 입찰한 단가로 지급하며, 별도항목으로 지급하지 아니한다. (2) 선행냉각 및 포스트쿨링 등에 대한 사항은 수급인이 설계서상의 온도관리 계획에 포함하여 산정한 계약 금액만 지급하며, 수급인이 설계시 고려하지 못한 사항으로 인하여 추가되는 선행냉각 및 관로식 냉각에 대한 비용은 별도로 지급하지 아니한다.
2. 자재
2.1 재료
(1) 재료는
3. 시공
3.1 콘크리트 타설
3.1.1 일반사항
(1) 콘크리트 타설의 일반사항은
콘크리트 타입 | 설계 기준강도 (MPa) | 굵은골재 최대치수 Gmax (㎜) | 슬럼프 (㎜) | 구 조 물 구 분 |
A | 12 | 80~150 | 0 | ∘본댐 내부 롤러다짐용 콘크리트 |
B | 18 | 80~150 | 20~50 | ∘본댐 상하류면 콘크리트 |
C | 18 | 40~80 | 10~30 | ∘암착부 콘크리트 |
3.1.2 재료운반
(1) 재료운반은
3.1.3 콘크리트 타설 준비
(1) 콘크리트 타설 준비는
3.1.4 콘크리트 타설
(1) 콘크리트 타설은
3.1.5 콘크리트 다짐
(1) 콘크리트 다짐은
3.1.6 표면 마무리
(1) 표면 마무리는
3.1.7 양생 및 보호
(1) 양생 및 보호는
3.2 이음, 지수판, 배수공
(1) 이음, 지수판, 배수공은
3.3 댐콘크리트 온도제어
(1) 댐콘크리트 온도제어는
3.4 조인트 그라우트
(1) 조인트 그라우트는
3.5 거푸집
(1) 거푸집은
3.6 프리캐스트 부재
(1) 프리캐스트 부재는
3.7 매스 콘크리트
(1) 수급인은 도면에 표시되어 있거나 공사감독자가 별도로 지시하지 않는 한 80cm 이상의 슬래브, 하단이 구속된 두께 50cm 이상인 벽체 콘크리트를 이 기준에 따라 매스 콘크리트 공사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2) 수급인은 매스 콘크리트 공사에 구조물의 품질과 기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응력과 온도균열의 발생 여부에 대하여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한 후 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관로식 냉각을 실시하거나 콘크리트 배합이나 타설두께를 조절하는 등 매스 콘크리트 타설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3) 매스 콘크리트 재료와 배합은 설계기준강도와 소정의 워커빌리티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4) 매스 콘크리트는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낮은 온도로 콘크리트 타설하여야 한다.
3.8 계측설비
(1) 롤러다짐 콘크리트의 계측설비는 시공계획을 고려하여 계측 케이블의 간섭 등을 사전에 점검하여야 하고,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케이블의 중간 연결을 실시하는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2) 롤러다짐 콘크리트의 계측설비는 중력식 콘크리트댐의 계측설비 설치 기준을 따르되, 계측설비 설치시에 다짐장비 등에 의하여 계측설비의 신뢰성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주의 깊게 설치하여야 한다.
3.9 품질관리
3.9.1 일반사항
(1) 품질관리 일반사항은
3.9.2 롤러다짐용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1) 롤러다짐용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는
시험 | 항목 | 기술내용 |
표준VC 시험 | 시험방법 | 표준 VC 시험기 사용 |
시험빈도 | ① 1회/1시간 | |
② 1회/2시간 | ||
관리방법 | X-R관리도 및 도수표 | |
시료채취개소 | ① 콘크리트 제조설비에서 채취가 원칙 | |
② 지시에 의해 타설현장 | ||
대형VC 시험 | 시험방법 | 대형 VC 시험기 사용 |
시험빈도 | ① 1회/1주일 | |
② 1회/월 | ||
③ 공시체 제작시 | ||
시료채취개소 | ① 콘크리트 제조설비에서 채취가 원칙 | |
② 지시에 의해 타설현장 | ||
공기량시험 | 시험방법 | KS F 2449 |
시험빈도 | ① 1회/2시간 | |
② 3회/일 또는 공시체 제작시 | ||
③ 공시체 제작시 | ||
압축강도 시험 | 시험방법 | KS F 2405 |
시험빈도 | ① 2회/1일 | |
② 일타설량 500㎥당 1회 | ||
③ 1 Block, 1 Lift 당 1회 | ||
공시체 | ① σ7, σ28, σ91 각 3개 | |
② σ365 추가 | ||
관리방법 | X-Rs-Rm 관리도 및 도수표 | |
압축강도시험에 대한 공시체제작방법 | 치수 | ① Φ150㎜×H 300㎜ |
② Φ300㎜×H 600㎜ | ||
다짐기계 | ① VC시험기 | |
② 탬퍼 | ||
다짐층수 | ① 3층 | |
② 2층 | ||
단위용적질량시험 | 시험빈도 | ① 1회/2시간 |
② 3회/일 또는 공시체 제작시 | ||
③ 공시체 제작시 | ||
단위용적 질량시험 | 시험방법 | KS F 2502 |
다짐방법(40 ㎜이하) | ① 압축강도시험의 다짐 방법에 준해서 | |
② 표준 VC시험기 | ||
다짐방법(Full Size) | ① 압축강도시험의 다짐 방법에 준해서 | |
② 표준 VC시험기 | ||
공시체(40㎜이하) | ① 표준VC시험공시체 | |
② 압축강도시험공시체 | ||
공시체(Full Size) | ① 대형VC시험공시체 | |
② 모르타르 치수 Φ200×400 | ||
시험빈도(40 ㎜이하) | ① 1회/2시간 | |
② 2회/일 | ||
③ 1회/일 | ||
시험빈도(Full Size) | ① 1회/주 | |
② 2회/월 | ||
③ 1회/월 | ||
씻기시험 | 시험빈도 | ① 1회/주 |
② 1회/월 | ||
③ 이상시 | ||
콘크리트 온도측정 | 측정빈도 | ① 1회/1시간 |
② 1회/2시간 | ||
③ 2회/1일 | ||
④ 공시체 제작시 | ||
⑤ 1회/일, 공시체제작시 | ||
⑥ 콘시스턴시 시험시, 공시체 제작시, 타설개시 전 | ||
⑦ 연속계측 | ||
인장강도 시험 | 다짐방법 | 압축강도시험 다짐방법에 준하여 |
시험빈도 | ① 1회/일 | |
② 2회/월 | ||
③ 1회/월 | ||
굵은골재의 및 모르타르의 시험 | 시험빈도 | ① 당초 또는 품질에 이상이 확인된 경우 |
② 1회/년초, 1회/년도중 | ||
③ 믹서 혼합 성능시험시 | ||
④ 1회/100,000㎥ |
시험 | 항목 | 기술내용 |
현장밀도 시험 | 시험방법 | RI(Radio Isotope) |
시험빈도 | ① 5회/일 | |
② 1회/일 | ||
③ 1회/yard | ||
④ 2회/500㎥ | ||
⑤ 1회/500㎥ | ||
⑥ 감독원의 지시에 따라 | ||
⑦ 각 Lane당 | ||
⑧ 1회/1000㎥ | ||
콘크리트 온도측정 | 측정방법 | ① 온도계 |
② strain gauge식 온도계 | ||
③ 저항선형 온도계 | ||
④ 열전대 | ||
측정위치 | ① 2개소/1Lift | |
② 설계도에 의해 지시 | ||
침하량측정 | 측정방법 | 전압전후의 침하량을 측정 |
측정빈도 | ① 1회/1시간 | |
② 2회/일 | ||
③ 1회/일 | ||
④ 각 Lane |
3.10 계측관리
(1) 계측관리는 댐 계측기기 설치·운영관리지침(K-water)을 참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