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CS 경량기포콘크리트패널
“
1. 일반사항
1.1 적용 범위
(1) 이 기준은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라 한다.)에서 발주하는 공사로서, 비내력벽 벽체인 경량기포콘크리트패널 공사에 대해 규정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 세대간 경계벽, 대피공간등의 벽체에 경량콘크리트 패널 적용 시 관련법령에 따른 생산업체별 인정구조(내화성능, 차음성능 확보) 적용가능.
1.2.2 관련 기준
·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1) 다음 사항은
1.4.1 제품자료
(1) 다음 품목에 대한 제조업자의 제품자료①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② 패널접합 철물③ 보수용 모르타르가. 경량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파손부위의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모르타르
1.4.2 시공계획서
(1) 공동주택의 동별, 층별로 구분하여 작성된시공일정 계획(2) 자재 적치 및 옥내 운반계획(3) 한랭기 공사를 하는 경우 한랭기 시공계획서
1.4.3 시공상세도면
(1)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 나누기도(2) 개구부 위치 및 배관 매입부 홈파기 상세도(3) 고정철물 상세도면가. 콘크리트 면과 접하는 부위, 문틀과 창호의 접합부위에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철물
1.5 품질보증
1.5.1 견본시공
(1) 공동주택의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설치는 평형별 1세대씩 공사감독자(건설사업관리자)가 지정하는 위치에 견본시공을 한다.
1.5.2 공사전 협의
(1) 패널공사 착수 전에
1.6 운반, 보관, 취급
(1)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 적재 및 하역에는 전용장비 및 도구를 이용하여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2) 패널 적치는 원칙적으로 옥내에 하고, 부득이 옥외에 적치할 경우에는 패널이 직접 지면에 닿지 않게 하고 흙탕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튀지 않도록 시트를 덮어 보호한다.(3) 패널은 뒤틀림, 균열등의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목재 등의 받침대를 수평으로 패널길이의 1/6지점 양쪽에 깔고 그 위에 정리하여 쌓는다.
2. 자재
2.1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
(1) KS F 4914의 0.5품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다만,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 압축강도는 400N/cm2 이상이어야 한다.
2.2 철근 및 철물
2.3 보수용 모르타르
(1)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 보수용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 제조업자 또는 모르타르 전문 제조업자가 공장에서 배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한다.
2.4 실링재
(1) 실링재는
2.5 내화 줄눈재
(1) 내화 줄눈재는 KS L 9104의 1호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2.6 ALC 전용마감재
(1) ALC 전용마감재는
2.7 녹막이도장
(1) 녹막이 도료는 KS M 6030 2종에 적합한 방청도료를 사용한다.
3. 시공
3.1 시공 공통사항
3.1.1 일반사항
(1)
3.1.2 가설공사
(1)
3.1.3 운반
(1)
3.1.4 검수
(1)
3.1.5 보관
(1)
3.1.6 현장가공
(1)
절단 부위 | 절단 한계 | 비 고 |
단변방향 | 단변 모서리로부터 210mm 이내 | 절단개소는 1매당 1개소 이하 |
장변방향 | 장변 모서리로부터 250mm 이내 |
3.1.7 용접부 방청처리
(1)
3.1.8 신축줄눈의 내화처리
(1)
3.1.9 충전재 모르타르의 양생
(1)
3.1.10 보수
(1)
3.1.11 설치완료 후의 양생
(1)
3.1.12 연관공사
(1)
3.2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설치
3.2.1 일반사항
(1) 외벽패널의 설치방법은 O‐bolt 공법으로 한다.
3.2.2 설치바탕
(1)
3.2.3 접합철물 설치
(1) 패널고정용 앵글은 구조체 상, 하부와 창 및 현관문의 개구부 주변에 설치한다. 단, 구조체와 직접 접하는 개구부 상, 하부는 제외한다.(2) 상부 패널고정용 앵글은 Strong‐Anchor(Ø12mm)를 사용하여 설치한다.(3) 하부 패널고정용 앵글은 방수턱에 Leveling‐Anchor(D=65mm)를 설치한 후 용접하여 설치한다.(4) 창호주위는 패널에 Pub‐Anchor를 설치한 후 고정용앵글에 용접한다.
3.2.4 패널설치
(1)
3.2.5 마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