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CS 접지설비
“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라 한다.)에서 발주하는 공사로서, 전기, 정보통신, 소방설비, 제어, 계측설비, 피뢰설비 등의 접지공사에 적용 한다.(2) 이 기준의 내용은 설계도면의 해당사항만 구분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1.2.1 관련 법규
(1)
1.2.2 관련 기준
(1) 관련 기준은
1.3 용어의 정의
내용 없음
1.4 제출물
(1) 다음 사항은
1.4.1 자재 및 제품 자료
(1) 제작도면① 접지 시험 단자함 외형도(측면도, 정면도 포함)② 접지단자 및 연결버스바 규격 및 형태(2) 시공상세도면① 옥내 및 옥외 접지설비 배선도 ② 건물(바닥, 벽체) 관통 또는 인출입 부분 상세도 ③ 접지도선 인출 및 연결부위 접속상세도 (3) 자재 승인 또는 신고 제품은
1.4.2 견본
(1) 접지극(접지동봉, 심타접지봉) 1조(2) 동선용 나압착 슬리브 및 클램프 각 3개
1.4.3 보고서
(1) 접지저항 측정 보고서
1.5 품질보증
1.5.1 공사전 협의
(1) 접지선과 접지극 매립시 토목공사의 오ㆍ배수관로, 지역난방 및 도시가스 배관 등과 중복되지 않도록 해당 수급인과 사전협의를 하여야 한다.(2) 지하층 내부에 접지시험 단자함을 설치할 때에는 건축 우수 드레인이나 설비배관 등과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자재
2.1 배관
(1) 배관의 종류 및 크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2) 배관은
2.2 접지선
(1) 접지선의 종류 및 크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2)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전력케이블 및 절연전선(HFIX)은 KS C 3341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3) 일반용 단심 비닐 절연 전선(IV(IEC 01))은 KS C IEC 60227-3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4) 접지단자함에서 접지극에 이르는 전선 및 트레이에 시설되는 접지선은 트레이용 접지용 난연 비닐절연전선 (F-GV)을 사용한다.(5) 전선색상은 녹색을 사용하여야 한다.(6) 배선은
2.3 접지 시험단자함
(1) 함 크기 및 설치위치는 설계도면에 따른다.(2) 재질 ① 1극용 접지단자함 : 두께 5mm 이상의 고강도 ABS수지로 하중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RIB를 만들어야 한다.② 기타 접지단자함 : 강판 두께 1.6mm 이상을 사용하여야 하며, 도어는 두께 1.2mm 이상의 스테인리스 재질이어야 한다. (3) 철재함의 도장은 소부도장이나 정전분체도장으로 하여야 한다.① 소부도장은 피도면 내ㆍ외부의 이물질 제거 및 인산염 피막처리를 하고 멜라민 프라이머를 칠한 후 멜라민 도료를 사용하여 가열 건조하여야 한다.(도막두께 45㎛ 이상).② 정전분체도장은 함체의 내ㆍ외면에 인산염 피막처리한 후 도막두께 45㎛ 이상으로 도장을 하고, 표면온도 180℃ 이상에서 14분 이상 가열 건조하여야 한다.(4) 접지단자 및 뚜껑의 볼트는 스테인리스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5) 연결버스는 동대를 가공한 일체형으로 25㎜ × 3㎜ 이상을 사용한다.(6) 베크판은 두께 10㎜ 이상을 사용한다.(7) 접지단자는 20㎜ × 20㎜ × 50㎜ 이상이어야 한다.
2.4 접지극
2.4.1 일반사항
(1) 접지극의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표 2.4.1-1
종 류 | 기 호 | 적용장소 |
건물기초접지 | Eb | ․표준형 접지로 사용되며 지하층 바닥 슬래브 철근에 본딩 |
봉접지(방사형) | Era, Erb | ․건물 기초접지를 할 수 없을 경우 |
봉접지(행열형) | Erc, Erd | ․건물 기초접지를 할 수 없는 좁고 긴 지역 |
심타봉접지 | Ed | ․건물 기초접지를 할 수 없는 협소하거나 깊이에 따라 대지 고유저항이 낮은 지역 |
매설지선접지 | Ec | ․건물 기초접지를 할 수 없을 경우 |
2.4.2 접지극의 구성
(1) 봉접지극은 접지극은 동봉을 사용하고 나연동선 70 ㎟로 접속하며 유형별 규격은 다음을 기본으로 한다. ① 방사형 배치(표준형) : 일반 설치장소에 적용 가. Era : 동봉 Φ14 × 1000㎜ × 1개를 중심으로 2m를 이격하여 동봉 Φ16 × 1800㎜ ×4개를 방사형으로 배치하고 접속한다.나. Erb : 동봉 Φ14 × 1000㎜ × 2개를 상호 2m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접속한다. (다만, 옥외 보안등용은 동봉 Φ14 × 1000㎜ × 1개)
가. Erc : 동봉 Φ16 × 1800㎜를 2m 이격하여 1열로 배치하고 접속하며 접지 저항값에 따라 봉의 수량을 증설한다. 나. Erd : 동봉 Φ16 × 1800㎜를 2m 이격하여 2열로 배치하고 격자형으로 접속하며 접지저항값에 따라 동봉의 수량을 증설한다.
3. 시공
3.1 배관
(1) 배관은
3.2 접지공사의 종류
(1) 접지공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표 3.2-1
종 류 | 저 항 치 |
제 1 종 제 2 종 제 3 종 | 10Ω 이하 150V/1선 지락전류(A) 이하 100Ω 이하 |
공통·통합접지 | 10Ω 이하 |
3.3 접지대상기기
(1) 접지대상기기 및 위치는 설계도면에 따른다.(2) 접지대상기기에 따른 접지공사의 종류는 다음에 따른다.표 3.3-1 전기
접지대상 기기 | 사용전압 | 접지종류 | 비 고 |
피뢰침 | 전 체 | 제 1 종 | 타접지와 공용불가 |
피뢰기 | 전 체 | 제 1 종 | 타접지와 공용불가 |
수배전반, 기기외함 등 | 특별고압 | 제 1 종 | 외함접지 상호공용가능 |
분전반,풀박스,기기외함 등 | 저 압 | 제 3 종 | 외함접지 상호공용가능 |
변압기 중성점(2차측) | “ | 제 2 종 | 변압기상호간 연접가능 |
발전기 중성점 | “ | 제 3 종 | 타접지와 공용불가 |
표 3.3-2 통신
접 지 대 상 기 기 | 접 지 종 류 |
․주배선반 (MDF) ․국선단자함 (101 회선이상) ․국선단자함 (100 회선이하) ․각동 주전화단자함 (101 회선이상) ․각동 주전화단자함 (100 회선이하) ․보안기용접지 ․확성기용 증폭기 | 제 1 종 접지 제 1 종 접지 제 3 종 접지 제 1 종 접지 제 3 종 접지 제 3 종 접지 제 3 종 접지 |
3.4 접지시공
(1) 접지극은 지하 1m 이상의 깊이에 매설한다.(2) 2개 이상의 접지극을 같은 장소에 시공할 경우 접지극 상호간의 간격은 2m 이상이 되도록 한다.(3) 접지선은 가스관으로부터 1.5m 이상 이격시켜야 한다.(4) 접지극은 건축물로부터 2m 이상 이격시켜야 한다.(5)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 등에 넣어서 보호하여야 한다. 다만 피뢰침, 피뢰기용 접지선은 강제금속관에 넣지 않는다.(6) 접지도선의 접속은 전기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7) 설계도면에 따라 접지극을 설치하여도 요구되는 접지저항값을 얻을 수 없는 경우 에는 접지봉의 추가 및 길이 확장, 접지도체의 길이 확장, 접지망의 면적확대, 대지 고유저항의 저감, 접지방식의 변경 등 접지보완 대책을 강구하여 필요한 접지 저항치를 얻도록 하여야 한다. (8) 전등, 전력 및 약전류용 접지는 건물 기초접지로 하고 피뢰침용 접지는 건물로부터 최소 1m 이내 떨어져 보호 건축물 전체를 둘러싸 매설지선을 설치한다.(9) 정보통신공사의 접지는 건물 기초접지에 본딩하여 시공한다.(10) 접지 단자는 접지저항 측정이 편리하게 시설하여야 하며, 접지시험 단자함은 누수가 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11) 접지극과 접지선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기적, 기계적으로 견고히 접속하여야 하며 이종 금속체간은 전식방지에 유의하여야 한다. ① 구조체 강재와 접지선 : 용접 ② 접지봉 및 철근과 접지선 : 접속클램프 또는 용접 ③ 접지선 상호간 : 동슬리브, 접속클램프 또는 용접 (12) 접지저항 측정을 위한 보조접지극은 다음을 기본으로 한다. ① 전력 및 피뢰접지 측정용과 통신접지측정용 보조극은 서로 공용한다. ② 건물외벽 및 측정대상 접지극 매설위치로부터 30m 이상, 보조극간 20m 이상 이격 한다. ③ 보조접지극의 접지저항은 각각 500Ω 이하이어야 한다.(13) 배선은
3.5 현장품질관리
3.5.1 접지저항 측정
(1) 접지저항값은 언제 시험하여도 소정의 저항값 이하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2) 접지저항측정 시 반드시 감독자 입회하에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제출하여야 한다.
3.6 현장 뒷정리
(1) 접지공사 완료 후 공사잔재 등은 깨끗하게 청소하여야 한다.(2) 접지를 위한 터파기 및 되메우기 후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정돈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