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KCS_31 50 15 10_태양열 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50 15 10 태양열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태양열 급탕시스템 및 난방 시스템의 설계, 제작, 검사, 운반, 설치, 기술지원, 시운전 등의 제반사항에 적용한다. (2) (공사범위)태양열 급탕시스템 및 난방 시스템 제작 설치공사로서 일반 시방서, 특기 시방서, 설계도면에 따라 기계 설비 일체를 설계, 제작, 구매, 공급, 설치 및 시운전을 완료하여 사용자에게 인계하는 공사이다. 1.2 참고기준 1.2.1 관련 기준 […]

KCS_31 50 15 05_지열원열펌프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50 15 05 지열원열펌프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수직밀폐형, 지중수평형, 에너지파일형, 스탠딩컬럼웰형 등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 설비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다음 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기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며, 명기되지 않는 일부 기계설비 공사 및 전기공사 등은 KCS 31 00 00에 따른다. 1.2.1 한국산업표준(KS) ● KS T 1057 포장용 폴리염화비닐 점착

KCS_31 50 10 15_내진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50 10 15 내진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KCS 31 50 10 10(1.1(1))  에 따른다.(2) 내진의 중요한 목적은 지진으로 인하여 구조물 및 기타 건축 설비기기 등이 파손 피해를 입거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명의 안전을 도모하며 지진 후에 필요한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기계실 및 공조실에 설치된 기계류, 장비류(변압기, 발전기) 및 덕트나 배관

KCS_31 45 35 15_지하탱크저장소 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35 15 지하탱크저장소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위험물 지하탱크저장소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 적용기준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자재 2.1 저장탱크 (1) 탱크는 두께 3.2mm 이상의 강판으로 틈이 없도록 제작한다.(2) 탱크 전용실에 설치하는 탱크의 외면에는 방청도장을 한다. 2.2 안전장치 KCS 31 45 35

KCS_31 45 15 15_청정소화약제 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15 15 청정소화약제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기기 및 재료 2.1 청정소화약제의 종류 청정소화약제의 종류는 다음 표와 같다. 표 2.1-1 청정소화약제 종류 소화약제 화학식 퍼플루오로부탄(이하 “”FC-3-1-10”이라 한다) C4F10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혼화제 (이하 “HCFC BLEND A”라 한다.)

KCS_31 45 15 10_할로겐화합물소화 설비공사
표준시방서 KCS

KCS31 45 15 10 할로겐화합물소화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참고기준 KCS 31 45 05(1.2) 에 따른다. 1.3 용어의 정의 기준의 용어 정의는 KCS 31 10 10(1.3) 을 참조한다. 2. 기기 및 재료 2.1 약제 저장용기 (1) KCS 31 45 15 05(2.1) 에 따르고, 다음 항목을 추가한다.(2) 하나의 방호구역을 담당하는 저장용기의 소화약제의 체적 합계보다 소화약제의 방출 시

건설기준정보 모음
최신 건설 시방서(KCS), 부동산 관련 법규 및 세무 정보, 그리고
국토교통부 등 정부기관의 공식 질의회시를 제공하는 전문 정보 아카이브입니다. 면책조항: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지 않으며,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정보 및 법률 자문은 반드시 해당 기관 또는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2024 건설기준정보 모음. All Rights Reserved.

위로 스크롤